공지사항 '논리 오류법' 제정안 발의(수정중)
페이지 정보
작성자 反ace나그네 작성일 09-02-05 18:19 조회 8,131 댓글 5본문

1조(형식 오류) : 논리 구조(추론의 사슬)에 이상이 있는 것.
1항. 후건 긍정(Affirming the consequent)
1. 정의
2. 검증
1호. 이 논리적 오류가 토론의 주제에 어긋나는 발언을 허용하는가?
2호. 논리적 오류로 지적된 부분이 '상대방의 발언 내용의 논리성'만을 직접적이고 정확하게 지적해야 한다는 원칙에 위배되는가?
3호. 이 논리적 오류가 '형식 오류'로 분류된 것이 합당한가?
3. 사례 및 대응
2항. 전제들을 부정하는 결론(conclusion which denies premises)
1. 정의
2. 검증
1호. 이 논리적 오류가 토론의 주제에 어긋나는 발언을 허용하는가?
2호. 논리적 오류로 지적된 부분이 '상대방의 발언 내용의 논리성'만을 직접적이고 정확하게 지적해야 한다는 원칙에 위배되는가?
3호. 이 논리적 오류가 '형식 오류'로 분류된 것이 합당한가?
3. 사례 및 대응
3항. 모순된 전제들(Contradictory premises)
1. 정의
2. 검증
1호. 이 논리적 오류가 토론의 주제에 어긋나는 발언을 허용하는가?
2호. 논리적 오류로 지적된 부분이 '상대방의 발언 내용의 논리성'만을 직접적이고 정확하게 지적해야 한다는 원칙에 위배되는가?
3호. 이 논리적 오류가 '형식 오류'로 분류된 것이 합당한가?
3. 사례 및 대응
4항. 전건 부정(Denying the antecedent)
1. 정의
2. 검증
1호. 이 논리적 오류가 토론의 주제에 어긋나는 발언을 허용하는가?
2호. 논리적 오류로 지적된 부분이 '상대방의 발언 내용의 논리성'만을 직접적이고 정확하게 지적해야 한다는 원칙에 위배되는가?
3호. 이 논리적 오류가 '형식 오류'로 분류된 것이 합당한가?
3. 사례 및 대응
5항. 부정 전제(Exclusive premises)
1. 정의
2. 검증
1호. 이 논리적 오류가 토론의 주제에 어긋나는 발언을 허용하는가?
2호. 논리적 오류로 지적된 부분이 '상대방의 발언 내용의 논리성'만을 직접적이고 정확하게 지적해야 한다는 원칙에 위배되는가?
3호. 이 논리적 오류가 '형식 오류'로 분류된 것이 합당한가?
3. 사례 및 대응
6항. 실존적 오류(The existential fallacy)
1. 정의
2. 검증
1호. 이 논리적 오류가 토론의 주제에 어긋나는 발언을 허용하는가?
2호. 논리적 오류로 지적된 부분이 '상대방의 발언 내용의 논리성'만을 직접적이고 정확하게 지적해야 한다는 원칙에 위배되는가?
3호. 이 논리적 오류가 '형식 오류'로 분류된 것이 합당한가?
3. 사례 및 대응
7항. 부당 환위(False conversion)
1. 정의
2. 검증
1호. 이 논리적 오류가 토론의 주제에 어긋나는 발언을 허용하는가?
2호. 논리적 오류로 지적된 부분이 '상대방의 발언 내용의 논리성'만을 직접적이고 정확하게 지적해야 한다는 원칙에 위배되는가?
3호. 이 논리적 오류가 '형식 오류'로 분류된 것이 합당한가?
3. 사례 및 대응
8항. 소개념 부당주연(Illicit Process of the Minor Term)
1. 정의
2. 검증
1호. 이 논리적 오류가 토론의 주제에 어긋나는 발언을 허용하는가?
2호. 논리적 오류로 지적된 부분이 '상대방의 발언 내용의 논리성'만을 직접적이고 정확하게 지적해야 한다는 원칙에 위배되는가?
3호. 이 논리적 오류가 '형식 오류'로 분류된 것이 합당한가?
3. 사례 및 대응
9항. 대개념 부당주연(Illicit Process of the Major Term)
1. 정의
2. 검증
1호. 이 논리적 오류가 토론의 주제에 어긋나는 발언을 허용하는가?
2호. 논리적 오류로 지적된 부분이 '상대방의 발언 내용의 논리성'만을 직접적이고 정확하게 지적해야 한다는 원칙에 위배되는가?
3호. 이 논리적 오류가 '형식 오류'로 분류된 것이 합당한가?
3. 사례 및 대응
10항. 부정 전제에서 긍정 결론을 도출하는 논증(Positive conclusion from negative premise)
1. 정의
2. 검증
1호. 이 논리적 오류가 토론의 주제에 어긋나는 발언을 허용하는가?
2호. 논리적 오류로 지적된 부분이 '상대방의 발언 내용의 논리성'만을 직접적이고 정확하게 지적해야 한다는 원칙에 위배되는가?
3호. 이 논리적 오류가 '형식 오류'로 분류된 것이 합당한가?
3. 사례 및 대응
11항. 네 개념(Quaternio terminorum)
1. 정의
2. 검증
1호. 이 논리적 오류가 토론의 주제에 어긋나는 발언을 허용하는가?
2호. 논리적 오류로 지적된 부분이 '상대방의 발언 내용의 논리성'만을 직접적이고 정확하게 지적해야 한다는 원칙에 위배되는가?
3호. 이 논리적 오류가 '형식 오류'로 분류된 것이 합당한가?
3. 사례 및 대응
12항. 중개념 부주연(Undistributed middle)
1. 정의
2. 검증
1호. 이 논리적 오류가 토론의 주제에 어긋나는 발언을 허용하는가?
2호. 논리적 오류로 지적된 부분이 '상대방의 발언 내용의 논리성'만을 직접적이고 정확하게 지적해야 한다는 원칙에 위배되는가?
3호. 이 논리적 오류가 '형식 오류'로 분류된 것이 합당한가?
3. 사례 및 대응
2조(비형식 오류 : 추론 과정은 타당하지만 형식에 비해 내용이 따라가기에 부족한 것. - 언어상의 문제 : 애매한 언어 사용)
1항. 강조(Accent)
1. 정의
2. 검증
1호. 이 논리적 오류가 토론의 주제에 어긋나는 발언을 허용하는가?
2호. 논리적 오류로 지적된 부분이 '상대방의 발언 내용의 논리성'만을 직접적이고 정확하게 지적해야 한다는 원칙에 위배되는가?
3호. 이 논리적 오류가 '비형식 오류-언어상의 문제'로 분류된 것이 합당한가?
3. 사례 및 대응
2항. 애매한 표현(Amphiboly)
1. 정의
2. 검증
1호. 이 논리적 오류가 토론의 주제에 어긋나는 발언을 허용하는가?
2호. 논리적 오류로 지적된 부분이 '상대방의 발언 내용의 논리성'만을 직접적이고 정확하게 지적해야 한다는 원칙에 위배되는가?
3호. 이 논리적 오류가 '비형식 오류-언어상의 문제'로 분류된 것이 합당한가?
3. 사례 및 대응
3항. 결합(composition)
1. 정의
2. 검증
1호. 이 논리적 오류가 토론의 주제에 어긋나는 발언을 허용하는가?
2호. 논리적 오류로 지적된 부분이 '상대방의 발언 내용의 논리성'만을 직접적이고 정확하게 지적해야 한다는 원칙에 위배되는가?
3호. 이 논리적 오류가 '비형식 오류-언어상의 문제'로 분류된 것이 합당한가?
3. 사례 및 대응
4항. 분할(Division)
1. 정의
2. 검증
1호. 이 논리적 오류가 토론의 주제에 어긋나는 발언을 허용하는가?
2호. 논리적 오류로 지적된 부분이 '상대방의 발언 내용의 논리성'만을 직접적이고 정확하게 지적해야 한다는 원칙에 위배되는가?
3호. 이 논리적 오류가 '비형식 오류-언어상의 문제'로 분류된 것이 합당한가?
3. 사례 및 대응
5항. 애매한 단어(Equivocation)
1. 정의
2. 검증
1호. 이 논리적 오류가 토론의 주제에 어긋나는 발언을 허용하는가?
2호. 논리적 오류로 지적된 부분이 '상대방의 발언 내용의 논리성'만을 직접적이고 정확하게 지적해야 한다는 원칙에 위배되는가?
3호. 이 논리적 오류가 '비형식 오류-언어상의 문제'로 분류된 것이 합당한가?
3. 사례 및 대응
6항. 실체화(Reification)
1. 정의
2. 검증
1호. 이 논리적 오류가 토론의 주제에 어긋나는 발언을 허용하는가?
2호. 논리적 오류로 지적된 부분이 '상대방의 발언 내용의 논리성'만을 직접적이고 정확하게 지적해야 한다는 원칙에 위배되는가?
3호. 이 논리적 오류가 '비형식 오류-언어상의 문제'로 분류된 것이 합당한가?
3. 사례 및 대응
7항. 은밀하게 감춰진 한정어(half-concealed qualification)
1. 정의
2. 검증
1호. 이 논리적 오류가 토론의 주제에 어긋나는 발언을 허용하는가?
2호. 논리적 오류로 지적된 부분이 '상대방의 발언 내용의 논리성'만을 직접적이고 정확하게 지적해야 한다는 원칙에 위배되는가?
3호. 이 논리적 오류가 '비형식 오류-언어상의 문제'로 분류된 것이 합당한가?
3. 사례 및 대응
3조(비형식 오류 : 추론 과정은 타당하지만 형식에 비해 내용이 따라가기에 부족한 것. - 관련성 유무 : 필요한 요소 생략, 무관한 요소 개입, 부당한 전제 사용)
1항. 거짓 딜레마(Bogus dilemma : 필요한 요소 생략)
1. 정의
2. 검증
1호. 이 논리적 오류가 토론의 주제에 어긋나는 발언을 허용하는가?
2호. 논리적 오류로 지적된 부분이 '상대방의 발언 내용의 논리성'만을 직접적이고 정확하게 지적해야 한다는 원칙에 위배되는가?
3호. 이 논리적 오류가 '비형식 오류-관련성 유무'로 분류된 것이 합당한가?
3. 사례 및 대응
2항. 집단 특정(Concealed quantification : 필요한 요소 생략)
1. 정의
2. 검증
1호. 이 논리적 오류가 토론의 주제에 어긋나는 발언을 허용하는가?
2호. 논리적 오류로 지적된 부분이 '상대방의 발언 내용의 논리성'만을 직접적이고 정확하게 지적해야 한다는 원칙에 위배되는가?
3호. 이 논리적 오류가 '비형식 오류-관련성 유무'로 분류된 것이 합당한가?
3. 사례 및 대응
3항. 대안의 폄하(Damning the alternatives : 필요한 요소 생략)
1. 정의
2. 검증
1호. 이 논리적 오류가 토론의 주제에 어긋나는 발언을 허용하는가?
2호. 논리적 오류로 지적된 부분이 '상대방의 발언 내용의 논리성'만을 직접적이고 정확하게 지적해야 한다는 원칙에 위배되는가?
3호. 이 논리적 오류가 '비형식 오류-관련성 유무'로 분류된 것이 합당한가?
3. 사례 및 대응
4항. 반론을 모면하기 위한 재정의(Definitional retreat : 필요한 요소 생략)
1. 정의
2. 검증
1호. 이 논리적 오류가 토론의 주제에 어긋나는 발언을 허용하는가?
2호. 논리적 오류로 지적된 부분이 '상대방의 발언 내용의 논리성'만을 직접적이고 정확하게 지적해야 한다는 원칙에 위배되는가?
3호. 이 논리적 오류가 '비형식 오류-관련성 유무'로 분류된 것이 합당한가?
3. 사례 및 대응
5항. 외연 축소(Extensional pruning : 필요한 요소 생략)
1. 정의
2. 검증
1호. 이 논리적 오류가 토론의 주제에 어긋나는 발언을 허용하는가?
2호. 논리적 오류로 지적된 부분이 '상대방의 발언 내용의 논리성'만을 직접적이고 정확하게 지적해야 한다는 원칙에 위배되는가?
3호. 이 논리적 오류가 '비형식 오류-관련성 유무'로 분류된 것이 합당한가?
3. 사례 및 대응
6항. 울타리치기(Hedging : 필요한 요소 생략)
1. 정의
2. 검증
1호. 이 논리적 오류가 토론의 주제에 어긋나는 발언을 허용하는가?
2호. 논리적 오류로 지적된 부분이 '상대방의 발언 내용의 논리성'만을 직접적이고 정확하게 지적해야 한다는 원칙에 위배되는가?
3호. 이 논리적 오류가 '비형식 오류-관련성 유무'로 분류된 것이 합당한가?
3. 사례 및 대응
7항. 무지에 근거한 논증(Argumentum ad ignorantiam : 필요한 요소 생략)
1. 정의
2. 검증
1호. 이 논리적 오류가 토론의 주제에 어긋나는 발언을 허용하는가?
2호. 논리적 오류로 지적된 부분이 '상대방의 발언 내용의 논리성'만을 직접적이고 정확하게 지적해야 한다는 원칙에 위배되는가?
3호. 이 논리적 오류가 '비형식 오류-관련성 유무'로 분류된 것이 합당한가?
3. 사례 및 대응
8항. 돌을 걷어차는 논증(Argumetum ad lapidem : 필요한 요소 생략)
1. 정의
2. 검증
1호. 이 논리적 오류가 토론의 주제에 어긋나는 발언을 허용하는가?
2호. 논리적 오류로 지적된 부분이 '상대방의 발언 내용의 논리성'만을 직접적이고 정확하게 지적해야 한다는 원칙에 위배되는가?
3호. 이 논리적 오류가 '비형식 오류-관련성 유무'로 분류된 것이 합당한가?
3. 사례 및 대응
9항. 반복을 이용하는 논증(Argumentum ad nauseam : 필요한 요소 생략)
1. 정의
2. 검증
1호. 이 논리적 오류가 토론의 주제에 어긋나는 발언을 허용하는가?
2호. 논리적 오류로 지적된 부분이 '상대방의 발언 내용의 논리성'만을 직접적이고 정확하게 지적해야 한다는 원칙에 위배되는가?
3호. 이 논리적 오류가 '비형식 오류-관련성 유무'로 분류된 것이 합당한가?
3. 사례 및 대응
10항. 편향된 분석(One-sided assessment : 필요한 요소 생략)
1. 정의
2. 검증
1호. 이 논리적 오류가 토론의 주제에 어긋나는 발언을 허용하는가?
2호. 논리적 오류로 지적된 부분이 '상대방의 발언 내용의 논리성'만을 직접적이고 정확하게 지적해야 한다는 원칙에 위배되는가?
3호. 이 논리적 오류가 '비형식 오류-관련성 유무'로 분류된 것이 합당한가?
3. 사례 및 대응
11항. 사례를 반박하는 논증(Refuting the example : 필요한 요소 생략)
1. 정의
2. 검증
1호. 이 논리적 오류가 토론의 주제에 어긋나는 발언을 허용하는가?
2호. 논리적 오류로 지적된 부분이 '상대방의 발언 내용의 논리성'만을 직접적이고 정확하게 지적해야 한다는 원칙에 위배되는가?
3호. 이 논리적 오류가 '비형식 오류-관련성 유무'로 분류된 것이 합당한가?
3. 사례 및 대응
12항. 주장 바꾸기(Shifting ground : 필요한 요소 생략)
1. 정의
2. 검증
1호. 이 논리적 오류가 토론의 주제에 어긋나는 발언을 허용하는가?
2호. 논리적 오류로 지적된 부분이 '상대방의 발언 내용의 논리성'만을 직접적이고 정확하게 지적해야 한다는 원칙에 위배되는가?
3호. 이 논리적 오류가 '비형식 오류-관련성 유무'로 분류된 것이 합당한가?
3. 사례 및 대응
13항. 입증책임 전가(Shifting the burden of proof : 필요한 요소 생략)
1. 정의
2. 검증
1호. 이 논리적 오류가 토론의 주제에 어긋나는 발언을 허용하는가?
2호. 논리적 오류로 지적된 부분이 '상대방의 발언 내용의 논리성'만을 직접적이고 정확하게 지적해야 한다는 원칙에 위배되는가?
3호. 이 논리적 오류가 '비형식 오류-관련성 유무'로 분류된 것이 합당한가?
3. 사례 및 대응
14항. 특별 변론(Special pleading : 필요한 요소 생략)
1. 정의
2. 검증
1호. 이 논리적 오류가 토론의 주제에 어긋나는 발언을 허용하는가?
2호. 논리적 오류로 지적된 부분이 '상대방의 발언 내용의 논리성'만을 직접적이고 정확하게 지적해야 한다는 원칙에 위배되는가?
3호. 이 논리적 오류가 '비형식 오류-관련성 유무'로 분류된 것이 합당한가?
3. 사례 및 대응
15항. 허수아비(The straw man : 필요한 요소 생략)
1. 정의
2. 검증
1호. 이 논리적 오류가 토론의 주제에 어긋나는 발언을 허용하는가?
2호. 논리적 오류로 지적된 부분이 '상대방의 발언 내용의 논리성'만을 직접적이고 정확하게 지적해야 한다는 원칙에 위배되는가?
3호. 이 논리적 오류가 '비형식 오류-관련성 유무'로 분류된 것이 합당한가?
3. 사례 및 대응
16항. 예외를 통한 입증(the exception that proves the rule : 필요한 요소 생략)
1. 정의
2. 검증
1호. 이 논리적 오류가 토론의 주제에 어긋나는 발언을 허용하는가?
2호. 논리적 오류로 지적된 부분이 '상대방의 발언 내용의 논리성'만을 직접적이고 정확하게 지적해야 한다는 원칙에 위배되는가?
3호. 이 논리적 오류가 '비형식 오류-관련성 유무'로 분류된 것이 합당한가?
3. 사례 및 대응
17항. 사소한 반대(Trivial objections : 필요한 요소 생략)
1. 정의
2. 검증
1호. 이 논리적 오류가 토론의 주제에 어긋나는 발언을 허용하는가?
2호. 논리적 오류로 지적된 부분이 '상대방의 발언 내용의 논리성'만을 직접적이고 정확하게 지적해야 한다는 원칙에 위배되는가?
3호. 이 논리적 오류가 '비형식 오류-관련성 유무'로 분류된 것이 합당한가?
3. 사례 및 대응
18항. 이심전심을 이용한 생략 삼단논법(Unaccepted enthymemes : 필요한 요소 생략)
1. 정의
2. 검증
1호. 이 논리적 오류가 토론의 주제에 어긋나는 발언을 허용하는가?
2호. 논리적 오류로 지적된 부분이 '상대방의 발언 내용의 논리성'만을 직접적이고 정확하게 지적해야 한다는 원칙에 위배되는가?
3호. 이 논리적 오류가 '비형식 오류-관련성 유무'로 분류된 것이 합당한가?
3. 사례 및 대응
19항. 실현 불가능한 완벽성(Unobtainable perfection : 필요한 요소 생략)
1. 정의
2. 검증
1호. 이 논리적 오류가 토론의 주제에 어긋나는 발언을 허용하는가?
2호. 논리적 오류로 지적된 부분이 '상대방의 발언 내용의 논리성'만을 직접적이고 정확하게 지적해야 한다는 원칙에 위배되는가?
3호. 이 논리적 오류가 '비형식 오류-관련성 유무'로 분류된 것이 합당한가?
3. 사례 및 대응
20항. 가설의 오류(Fallacy of Hypothesis : 필요한 요소 생략)
1. 정의
2. 검증
1호. 이 논리적 오류가 토론의 주제에 어긋나는 발언을 허용하는가?
2호. 논리적 오류로 지적된 부분이 '상대방의 발언 내용의 논리성'만을 직접적이고 정확하게 지적해야 한다는 원칙에 위배되는가?
3호. 이 논리적 오류가 '비형식 오류-관련성 유무'로 분류된 것이 합당한가?
3. 사례 및 대응
21항. 연속(Continuation : 필요한 요소 생략)
1. 정의
2. 검증
1호. 이 논리적 오류가 토론의 주제에 어긋나는 발언을 허용하는가?
2호. 논리적 오류로 지적된 부분이 '상대방의 발언 내용의 논리성'만을 직접적이고 정확하게 지적해야 한다는 원칙에 위배되는가?
3호. 이 논리적 오류가 '비형식 오류-관련성 유무'로 분류된 것이 합당한가?
3. 사례 및 대응
22항. 미세한 차이(Minor difference : 필요한 요소 생략)
1. 정의
2. 검증
1호. 이 논리적 오류가 토론의 주제에 어긋나는 발언을 허용하는가?
2호. 논리적 오류로 지적된 부분이 '상대방의 발언 내용의 논리성'만을 직접적이고 정확하게 지적해야 한다는 원칙에 위배되는가?
3호. 이 논리적 오류가 '비형식 오류-관련성 유무'로 분류된 것이 합당한가?
3. 사례 및 대응
23항. 논리에의 맹종(Ad Logicam : 필요한 요소 생략)
1. 정의
2. 검증
1호. 이 논리적 오류가 토론의 주제에 어긋나는 발언을 허용하는가?
2호. 논리적 오류로 지적된 부분이 '상대방의 발언 내용의 논리성'만을 직접적이고 정확하게 지적해야 한다는 원칙에 위배되는가?
3호. 이 논리적 오류가 '비형식 오류-관련성 유무'로 분류된 것이 합당한가?
3. 사례 및 대응
24항. 전문 용어를 통한 현혹(Blinding with science : 무관한 요소 개입)
1. 정의
2. 검증
1호. 이 논리적 오류가 토론의 주제에 어긋나는 발언을 허용하는가?
2호. 논리적 오류로 지적된 부분이 '상대방의 발언 내용의 논리성'만을 직접적이고 정확하게 지적해야 한다는 원칙에 위배되는가?
3호. 이 논리적 오류가 '비형식 오류-관련성 유무'로 분류된 것이 합당한가?
3. 사례 및 대응
25항. 재력에 의한 논증(Argumentum ad crumenam : 무관한 요소 개입)
1. 정의
2. 검증
1호. 이 논리적 오류가 토론의 주제에 어긋나는 발언을 허용하는가?
2호. 논리적 오류로 지적된 부분이 '상대방의 발언 내용의 논리성'만을 직접적이고 정확하게 지적해야 한다는 원칙에 위배되는가?
3호. 이 논리적 오류가 '비형식 오류-관련성 유무'로 분류된 것이 합당한가?
3. 사례 및 대응
26항. 감정에 호소하는 논증(Emotional appeals : 무관한 요소 개입)
1. 정의
2. 검증
1호. 이 논리적 오류가 토론의 주제에 어긋나는 발언을 허용하는가?
2호. 논리적 오류로 지적된 부분이 '상대방의 발언 내용의 논리성'만을 직접적이고 정확하게 지적해야 한다는 원칙에 위배되는가?
3호. 이 논리적 오류가 '비형식 오류-관련성 유무'로 분류된 것이 합당한가?
3. 사례 및 대응
27항. 삼척동자도 안다(every schoolboy knows : 무관한 요소 개입)
1. 정의
2. 검증
1호. 이 논리적 오류가 토론의 주제에 어긋나는 발언을 허용하는가?
2호. 논리적 오류로 지적된 부분이 '상대방의 발언 내용의 논리성'만을 직접적이고 정확하게 지적해야 한다는 원칙에 위배되는가?
3호. 이 논리적 오류가 '비형식 오류-관련성 유무'로 분류된 것이 합당한가?
3. 사례 및 대응
28항. 발생학적 오류(the genetic fallacy : 무관한 요소 개입)
1. 정의
2. 검증
1호. 이 논리적 오류가 토론의 주제에 어긋나는 발언을 허용하는가?
2호. 논리적 오류로 지적된 부분이 '상대방의 발언 내용의 논리성'만을 직접적이고 정확하게 지적해야 한다는 원칙에 위배되는가?
3호. 이 논리적 오류가 '비형식 오류-관련성 유무'로 분류된 것이 합당한가?
3. 사례 및 대응
29항. 인신공격적 대인 논증(Argumentum ad hominem : 무관한 요소 개입)
1. 정의
2. 검증
1호. 이 논리적 오류가 토론의 주제에 어긋나는 발언을 허용하는가?
2호. 논리적 오류로 지적된 부분이 '상대방의 발언 내용의 논리성'만을 직접적이고 정확하게 지적해야 한다는 원칙에 위배되는가?
3호. 이 논리적 오류가 '비형식 오류-관련성 유무'로 분류된 것이 합당한가?
3. 사례 및 대응
30항. 정황적 대인 논증(Argumentum ad hominem : 무관한 요소 개입)
1. 정의
2. 검증
1호. 이 논리적 오류가 토론의 주제에 어긋나는 발언을 허용하는가?
2호. 논리적 오류로 지적된 부분이 '상대방의 발언 내용의 논리성'만을 직접적이고 정확하게 지적해야 한다는 원칙에 위배되는가?
3호. 이 논리적 오류가 '비형식 오류-관련성 유무'로 분류된 것이 합당한가?
3. 사례 및 대응
31항. 논점 일탈(Ignoratio elenchi : 무관한 요소 개입)
1. 정의
2. 검증
1호. 이 논리적 오류가 토론의 주제에 어긋나는 발언을 허용하는가?
2호. 논리적 오류로 지적된 부분이 '상대방의 발언 내용의 논리성'만을 직접적이고 정확하게 지적해야 한다는 원칙에 위배되는가?
3호. 이 논리적 오류가 '비형식 오류-관련성 유무'로 분류된 것이 합당한가?
3. 사례 및 대응
32항. 부적절한 유머(Irrelevant humor : 무관한 요소 개입)
1. 정의
2. 검증
1호. 이 논리적 오류가 토론의 주제에 어긋나는 발언을 허용하는가?
2호. 논리적 오류로 지적된 부분이 '상대방의 발언 내용의 논리성'만을 직접적이고 정확하게 지적해야 한다는 원칙에 위배되는가?
3호. 이 논리적 오류가 '비형식 오류-관련성 유무'로 분류된 것이 합당한가?
3. 사례 및 대응
33항. 가난을 이용한 논증(Argumentum ad lazarum : 무관한 요소 개입)
1. 정의
2. 검증
1호. 이 논리적 오류가 토론의 주제에 어긋나는 발언을 허용하는가?
2호. 논리적 오류로 지적된 부분이 '상대방의 발언 내용의 논리성'만을 직접적이고 정확하게 지적해야 한다는 원칙에 위배되는가?
3호. 이 논리적 오류가 '비형식 오류-관련성 유무'로 분류된 것이 합당한가?
3. 사례 및 대응
34항. 감정이 실린 말(Loaded words : 무관한 요소 개입)
1. 정의
2. 검증
1호. 이 논리적 오류가 토론의 주제에 어긋나는 발언을 허용하는가?
2호. 논리적 오류로 지적된 부분이 '상대방의 발언 내용의 논리성'만을 직접적이고 정확하게 지적해야 한다는 원칙에 위배되는가?
3호. 이 논리적 오류가 '비형식 오류-관련성 유무'로 분류된 것이 합당한가?
3. 사례 및 대응
35항. 동정심을 유발하는 논증(Argumentum ad misericordiam : 무관한 요소 개입)
1. 정의
2. 검증
1호. 이 논리적 오류가 토론의 주제에 어긋나는 발언을 허용하는가?
2호. 논리적 오류로 지적된 부분이 '상대방의 발언 내용의 논리성'만을 직접적이고 정확하게 지적해야 한다는 원칙에 위배되는가?
3호. 이 논리적 오류가 '비형식 오류-관련성 유무'로 분류된 것이 합당한가?
3. 사례 및 대응
36항. 우물에 독약 타기(Poisoning the well : 무관한 요소 개입)
1. 정의
2. 검증
1호. 이 논리적 오류가 토론의 주제에 어긋나는 발언을 허용하는가?
2호. 논리적 오류로 지적된 부분이 '상대방의 발언 내용의 논리성'만을 직접적이고 정확하게 지적해야 한다는 원칙에 위배되는가?
3호. 이 논리적 오류가 '비형식 오류-관련성 유무'로 분류된 것이 합당한가?
3. 사례 및 대응
37항. 대중을 이용한 논증(Argumentum ad populum : 무관한 요소 개입)
1. 정의
2. 검증
1호. 이 논리적 오류가 토론의 주제에 어긋나는 발언을 허용하는가?
2호. 논리적 오류로 지적된 부분이 '상대방의 발언 내용의 논리성'만을 직접적이고 정확하게 지적해야 한다는 원칙에 위배되는가?
3호. 이 논리적 오류가 '비형식 오류-관련성 유무'로 분류된 것이 합당한가?
3. 사례 및 대응
38항. 훈제 청어(The red herring : 무관한 요소 개입)
1. 정의
2. 검증
1호. 이 논리적 오류가 토론의 주제에 어긋나는 발언을 허용하는가?
2호. 논리적 오류로 지적된 부분이 '상대방의 발언 내용의 논리성'만을 직접적이고 정확하게 지적해야 한다는 원칙에 위배되는가?
3호. 이 논리적 오류가 '비형식 오류-관련성 유무'로 분류된 것이 합당한가?
3. 사례 및 대응
39항. 폭주 기관차(The runaway train : 무관한 요소 개입)
1. 정의
2. 검증
1호. 이 논리적 오류가 토론의 주제에 어긋나는 발언을 허용하는가?
2호. 논리적 오류로 지적된 부분이 '상대방의 발언 내용의 논리성'만을 직접적이고 정확하게 지적해야 한다는 원칙에 위배되는가?
3호. 이 논리적 오류가 '비형식 오류-관련성 유무'로 분류된 것이 합당한가?
3. 사례 및 대응
40항. 미끄러운 비탈길(The slippery slope : 무관한 요소 개입)
1. 정의
2. 검증
1호. 이 논리적 오류가 토론의 주제에 어긋나는 발언을 허용하는가?
2호. 논리적 오류로 지적된 부분이 '상대방의 발언 내용의 논리성'만을 직접적이고 정확하게 지적해야 한다는 원칙에 위배되는가?
3호. 이 논리적 오류가 '비형식 오류-관련성 유무'로 분류된 것이 합당한가?
3. 사례 및 대응
41항. 피장파장(Tu quoque : 무관한 요소 개입)
1. 정의
2. 검증
1호. 이 논리적 오류가 토론의 주제에 어긋나는 발언을 허용하는가?
2호. 논리적 오류로 지적된 부분이 '상대방의 발언 내용의 논리성'만을 직접적이고 정확하게 지적해야 한다는 원칙에 위배되는가?
3호. 이 논리적 오류가 '비형식 오류-관련성 유무'로 분류된 것이 합당한가?
3. 사례 및 대응
42항. 권위를 이용하는 논증(Argumentum ad verecundiam : 무관한 요소 개입)
1. 정의
2. 검증
1호. 이 논리적 오류가 토론의 주제에 어긋나는 발언을 허용하는가?
2호. 논리적 오류로 지적된 부분이 '상대방의 발언 내용의 논리성'만을 직접적이고 정확하게 지적해야 한다는 원칙에 위배되는가?
3호. 이 논리적 오류가 '비형식 오류-관련성 유무'로 분류된 것이 합당한가?
3. 사례 및 대응
43항. 낙관적인 생각(Wishful thinking : 무관한 요소 개입)
1. 정의
2. 검증
1호. 이 논리적 오류가 토론의 주제에 어긋나는 발언을 허용하는가?
2호. 논리적 오류로 지적된 부분이 '상대방의 발언 내용의 논리성'만을 직접적이고 정확하게 지적해야 한다는 원칙에 위배되는가?
3호. 이 논리적 오류가 '비형식 오류-관련성 유무'로 분류된 것이 합당한가?
3. 사례 및 대응
44항. 힘에 의한 논증(Argumentum ad baculum : 무관한 요소 개입)
1. 정의
2. 검증
1호. 이 논리적 오류가 토론의 주제에 어긋나는 발언을 허용하는가?
2호. 논리적 오류로 지적된 부분이 '상대방의 발언 내용의 논리성'만을 직접적이고 정확하게 지적해야 한다는 원칙에 위배되는가?
3호. 이 논리적 오류가 '비형식 오류-관련성 유무'로 분류된 것이 합당한가?
3. 사례 및 대응
45항. 시류에의 부합(Peer Pressure : 무관한 요소 개입)
1. 정의
2. 검증
1호. 이 논리적 오류가 토론의 주제에 어긋나는 발언을 허용하는가?
2호. 논리적 오류로 지적된 부분이 '상대방의 발언 내용의 논리성'만을 직접적이고 정확하게 지적해야 한다는 원칙에 위배되는가?
3호. 이 논리적 오류가 '비형식 오류-관련성 유무'로 분류된 것이 합당한가?
3. 사례 및 대응
46항. 완결(Closure : 무관한 요소 개입)
1. 정의
2. 검증
1호. 이 논리적 오류가 토론의 주제에 어긋나는 발언을 허용하는가?
2호. 논리적 오류로 지적된 부분이 '상대방의 발언 내용의 논리성'만을 직접적이고 정확하게 지적해야 한다는 원칙에 위배되는가?
3호. 이 논리적 오류가 '비형식 오류-관련성 유무'로 분류된 것이 합당한가?
3. 사례 및 대응
47항. 기만적 유비추론(Abusive analogy : 부당한 전제 사용)
1. 정의
2. 검증
1호. 이 논리적 오류가 토론의 주제에 어긋나는 발언을 허용하는가?
2호. 논리적 오류로 지적된 부분이 '상대방의 발언 내용의 논리성'만을 직접적이고 정확하게 지적해야 한다는 원칙에 위배되는가?
3호. 이 논리적 오류가 '비형식 오류-관련성 유무'로 분류된 것이 합당한가?
3. 사례 및 대응
48항. 우연(Accident : 부당한 전제 사용)
1. 정의
2. 검증
1호. 이 논리적 오류가 토론의 주제에 어긋나는 발언을 허용하는가?
2호. 논리적 오류로 지적된 부분이 '상대방의 발언 내용의 논리성'만을 직접적이고 정확하게 지적해야 한다는 원칙에 위배되는가?
3호. 이 논리적 오류가 '비형식 오류-관련성 유무'로 분류된 것이 합당한가?
3. 사례 및 대응
49항. 잘못된 유추(Analogical fallacy : 부당한 전제 사용)
1. 정의
2. 검증
1호. 이 논리적 오류가 토론의 주제에 어긋나는 발언을 허용하는가?
2호. 논리적 오류로 지적된 부분이 '상대방의 발언 내용의 논리성'만을 직접적이고 정확하게 지적해야 한다는 원칙에 위배되는가?
3호. 이 논리적 오류가 '비형식 오류-관련성 유무'로 분류된 것이 합당한가?
3. 사례 및 대응
50항. 전통의 강조(Argumentum ad antiquitam : 부당한 전제 사용)
1. 정의
2. 검증
1호. 이 논리적 오류가 토론의 주제에 어긋나는 발언을 허용하는가?
2호. 논리적 오류로 지적된 부분이 '상대방의 발언 내용의 논리성'만을 직접적이고 정확하게 지적해야 한다는 원칙에 위배되는가?
3호. 이 논리적 오류가 '비형식 오류-관련성 유무'로 분류된 것이 합당한가?
3. 사례 및 대응
51항. 선험적 추론(Apriorism : 부당한 전제 사용)
1. 정의
2. 검증
1호. 이 논리적 오류가 토론의 주제에 어긋나는 발언을 허용하는가?
2호. 논리적 오류로 지적된 부분이 '상대방의 발언 내용의 논리성'만을 직접적이고 정확하게 지적해야 한다는 원칙에 위배되는가?
3호. 이 논리적 오류가 '비형식 오류-관련성 유무'로 분류된 것이 합당한가?
3. 사례 및 대응
52항. 흑백논리(Bifurcation : 부당한 전제 사용)
1. 정의
2. 검증
1호. 이 논리적 오류가 토론의 주제에 어긋나는 발언을 허용하는가?
2호. 논리적 오류로 지적된 부분이 '상대방의 발언 내용의 논리성'만을 직접적이고 정확하게 지적해야 한다는 원칙에 위배되는가?
3호. 이 논리적 오류가 '비형식 오류-관련성 유무'로 분류된 것이 합당한가?
3. 사례 및 대응
53항. 순환 논증(Circulus in probando : 부당한 전제 사용)
1. 정의
2. 검증
1호. 이 논리적 오류가 토론의 주제에 어긋나는 발언을 허용하는가?
2호. 논리적 오류로 지적된 부분이 '상대방의 발언 내용의 논리성'만을 직접적이고 정확하게 지적해야 한다는 원칙에 위배되는가?
3호. 이 논리적 오류가 '비형식 오류-관련성 유무'로 분류된 것이 합당한가?
3. 사례 및 대응
54항. 복잡한 질문(Complex question : 부당한 전제 사용)
1. 정의
2. 검증
1호. 이 논리적 오류가 토론의 주제에 어긋나는 발언을 허용하는가?
2호. 논리적 오류로 지적된 부분이 '상대방의 발언 내용의 논리성'만을 직접적이고 정확하게 지적해야 한다는 원칙에 위배되는가?
3호. 이 논리적 오류가 '비형식 오류-관련성 유무'로 분류된 것이 합당한가?
3. 사례 및 대응
55항. 동시에 발생한 두 사건에 대한 잘못된 인과관계(Cum hoc ergo propter hoc : 부당한 전제 사용)
1. 정의
2. 검증
1호. 이 논리적 오류가 토론의 주제에 어긋나는 발언을 허용하는가?
2호. 논리적 오류로 지적된 부분이 '상대방의 발언 내용의 논리성'만을 직접적이고 정확하게 지적해야 한다는 원칙에 위배되는가?
3호. 이 논리적 오류가 '비형식 오류-관련성 유무'로 분류된 것이 합당한가?
3. 사례 및 대응
56항. 지나친 일반화(Dicto simpliciter : 부당한 전제 사용)
1. 정의
2. 검증
1호. 이 논리적 오류가 토론의 주제에 어긋나는 발언을 허용하는가?
2호. 논리적 오류로 지적된 부분이 '상대방의 발언 내용의 논리성'만을 직접적이고 정확하게 지적해야 한다는 원칙에 위배되는가?
3호. 이 논리적 오류가 '비형식 오류-관련성 유무'로 분류된 것이 합당한가?
3. 사례 및 대응
57항. 사후 통계(Ex-post-facto statistics : 부당한 전제 사용)
1. 정의
2. 검증
1호. 이 논리적 오류가 토론의 주제에 어긋나는 발언을 허용하는가?
2호. 논리적 오류로 지적된 부분이 '상대방의 발언 내용의 논리성'만을 직접적이고 정확하게 지적해야 한다는 원칙에 위배되는가?
3호. 이 논리적 오류가 '비형식 오류-관련성 유무'로 분류된 것이 합당한가?
3. 사례 및 대응
58항. 도박꾼의 오류(The gambler's fallacy : 부당한 전제 사용)
1. 정의
2. 검증
1호. 이 논리적 오류가 토론의 주제에 어긋나는 발언을 허용하는가?
2호. 논리적 오류로 지적된 부분이 '상대방의 발언 내용의 논리성'만을 직접적이고 정확하게 지적해야 한다는 원칙에 위배되는가?
3호. 이 논리적 오류가 '비형식 오류-관련성 유무'로 분류된 것이 합당한가?
3. 사례 및 대응
59항. 냉소적인 논증(non-anticipation : 부당한 전제 사용)
1. 정의
2. 검증
1호. 이 논리적 오류가 토론의 주제에 어긋나는 발언을 허용하는가?
2호. 논리적 오류로 지적된 부분이 '상대방의 발언 내용의 논리성'만을 직접적이고 정확하게 지적해야 한다는 원칙에 위배되는가?
3호. 이 논리적 오류가 '비형식 오류-관련성 유무'로 분류된 것이 합당한가?
3. 사례 및 대응
60항. 새것을 이용하는 논증(Argumentum ad novitam : 부당한 전제 사용)
1. 정의
2. 검증
1호. 이 논리적 오류가 토론의 주제에 어긋나는 발언을 허용하는가?
2호. 논리적 오류로 지적된 부분이 '상대방의 발언 내용의 논리성'만을 직접적이고 정확하게 지적해야 한다는 원칙에 위배되는가?
3호. 이 논리적 오류가 '비형식 오류-관련성 유무'로 분류된 것이 합당한가?
3. 사례 및 대응
61항. 선결문제 요구(petitio principii : 부당한 전제 사용)
1. 정의
2. 검증
1호. 이 논리적 오류가 토론의 주제에 어긋나는 발언을 허용하는가?
2호. 논리적 오류로 지적된 부분이 '상대방의 발언 내용의 논리성'만을 직접적이고 정확하게 지적해야 한다는 원칙에 위배되는가?
3호. 이 논리적 오류가 '비형식 오류-관련성 유무'로 분류된 것이 합당한가?
3. 사례 및 대응
62항. 연속으로 발생한 두 사건에 대한 잘못된 인과관계(Post hoc ergo propter hoc : - 부당한 전제 사용)
1. 정의
2. 검증
1호. 이 논리적 오류가 토론의 주제에 어긋나는 발언을 허용하는가?
2호. 논리적 오류로 지적된 부분이 '상대방의 발언 내용의 논리성'만을 직접적이고 정확하게 지적해야 한다는 원칙에 위배되는가?
3호. 이 논리적 오류가 '비형식 오류-관련성 유무'로 분류된 것이 합당한가?
3. 사례 및 대응
63항. 성급한 일반화(Secundum quid : 부당한 전제 사용)
1. 정의
2. 검증
1호. 이 논리적 오류가 토론의 주제에 어긋나는 발언을 허용하는가?
2호. 논리적 오류로 지적된 부분이 '상대방의 발언 내용의 논리성'만을 직접적이고 정확하게 지적해야 한다는 원칙에 위배되는가?
3호. 이 논리적 오류가 '비형식 오류-관련성 유무'로 분류된 것이 합당한가?
3. 사례 및 대응
64항. 중도를 이용한 논증(Argumentum ad temperantiam : 부당한 전제 사용)
1. 정의
2. 검증
1호. 이 논리적 오류가 토론의 주제에 어긋나는 발언을 허용하는가?
2호. 논리적 오류로 지적된 부분이 '상대방의 발언 내용의 논리성'만을 직접적이고 정확하게 지적해야 한다는 원칙에 위배되는가?
3호. 이 논리적 오류가 '비형식 오류-관련성 유무'로 분류된 것이 합당한가?
3. 사례 및 대응
65항. 무조건 탓하기(thatcher's blame : 부당한 전제 사용)
1. 정의
2. 검증
1호. 이 논리적 오류가 토론의 주제에 어긋나는 발언을 허용하는가?
2호. 논리적 오류로 지적된 부분이 '상대방의 발언 내용의 논리성'만을 직접적이고 정확하게 지적해야 한다는 원칙에 위배되는가?
3호. 이 논리적 오류가 '비형식 오류-관련성 유무'로 분류된 것이 합당한가?
3. 사례 및 대응
66항. 다수를 이용한 논증(Argumentum ad numeram : 부당한 전제 사용)
1. 정의
2. 검증
1호. 이 논리적 오류가 토론의 주제에 어긋나는 발언을 허용하는가?
2호. 논리적 오류로 지적된 부분이 '상대방의 발언 내용의 논리성'만을 직접적이고 정확하게 지적해야 한다는 원칙에 위배되는가?
3호. 이 논리적 오류가 '비형식 오류-관련성 유무'로 분류된 것이 합당한가?
3. 사례 및 대응
67항. 부당 정밀화(False precision : 부당한 전제 사용)
1. 정의
2. 검증
1호. 이 논리적 오류가 토론의 주제에 어긋나는 발언을 허용하는가?
2호. 논리적 오류로 지적된 부분이 '상대방의 발언 내용의 논리성'만을 직접적이고 정확하게 지적해야 한다는 원칙에 위배되는가?
3호. 이 논리적 오류가 '비형식 오류-관련성 유무'로 분류된 것이 합당한가?
3. 사례 및 대응
68항. 격언과 속담에 호소(Appeal to proverb : 부당한 전제 사용)
1. 정의
2. 검증
1호. 이 논리적 오류가 토론의 주제에 어긋나는 발언을 허용하는가?
2호. 논리적 오류로 지적된 부분이 '상대방의 발언 내용의 논리성'만을 직접적이고 정확하게 지적해야 한다는 원칙에 위배되는가?
3호. 이 논리적 오류가 '비형식 오류-관련성 유무'로 분류된 것이 합당한가?
3. 사례 및 대응
69항. 자연스러움의 오류(Appeal to nature : 부당한 전제 사용)
1. 정의
2. 검증
1호. 이 논리적 오류가 토론의 주제에 어긋나는 발언을 허용하는가?
2호. 논리적 오류로 지적된 부분이 '상대방의 발언 내용의 논리성'만을 직접적이고 정확하게 지적해야 한다는 원칙에 위배되는가?
3호. 이 논리적 오류가 '비형식 오류-관련성 유무'로 분류된 것이 합당한가?
3. 사례 및 대응
70항. 명칭에 대한 맹신(Overtrust in names : 부당한 전제 사용)
1. 정의
2. 검증
1호. 이 논리적 오류가 토론의 주제에 어긋나는 발언을 허용하는가?
2호. 논리적 오류로 지적된 부분이 '상대방의 발언 내용의 논리성'만을 직접적이고 정확하게 지적해야 한다는 원칙에 위배되는가?
3호. 이 논리적 오류가 '비형식 오류-관련성 유무'로 분류된 것이 합당한가?
3. 사례 및 대응
71항. 선택받은 일부(Spotlight : 부당한 전제 사용)
1. 정의
2. 검증
1호. 이 논리적 오류가 토론의 주제에 어긋나는 발언을 허용하는가?
2호. 논리적 오류로 지적된 부분이 '상대방의 발언 내용의 논리성'만을 직접적이고 정확하게 지적해야 한다는 원칙에 위배되는가?
3호. 이 논리적 오류가 '비형식 오류-관련성 유무'로 분류된 것이 합당한가?
3. 사례 및 대응
72항. 무차별적 적용(Sweeping Generalization : 부당한 전제 사용)
1. 정의
2. 검증
1호. 이 논리적 오류가 토론의 주제에 어긋나는 발언을 허용하는가?
2호. 논리적 오류로 지적된 부분이 '상대방의 발언 내용의 논리성'만을 직접적이고 정확하게 지적해야 한다는 원칙에 위배되는가?
3호. 이 논리적 오류가 '비형식 오류-관련성 유무'로 분류된 것이 합당한가?
3. 사례 및 대응
73항. 필요조건과 충분조건의 오해(Necessity or Sufficiency : 부당한 전제 사용)
1. 정의
2. 검증
1호. 이 논리적 오류가 토론의 주제에 어긋나는 발언을 허용하는가?
2호. 논리적 오류로 지적된 부분이 '상대방의 발언 내용의 논리성'만을 직접적이고 정확하게 지적해야 한다는 원칙에 위배되는가?
3호. 이 논리적 오류가 '비형식 오류-관련성 유무'로 분류된 것이 합당한가?
3. 사례 및 대응
74항. 유도 심문(Loaded Question : 부당한 전제 사용)
1. 정의
2. 검증
1호. 이 논리적 오류가 토론의 주제에 어긋나는 발언을 허용하는가?
2호. 논리적 오류로 지적된 부분이 '상대방의 발언 내용의 논리성'만을 직접적이고 정확하게 지적해야 한다는 원칙에 위배되는가?
3호. 이 논리적 오류가 '비형식 오류-관련성 유무'로 분류된 것이 합당한가?
3. 사례 및 대응
75항. 가정된 의도(Presumed intentions : 부당한 전제 사용)
1. 정의
2. 검증
1호. 이 논리적 오류가 토론의 주제에 어긋나는 발언을 허용하는가?
2호. 논리적 오류로 지적된 부분이 '상대방의 발언 내용의 논리성'만을 직접적이고 정확하게 지적해야 한다는 원칙에 위배되는가?
3호. 이 논리적 오류가 '비형식 오류-관련성 유무'로 분류된 것이 합당한가?
3. 사례 및 대응
76항. 원칙의 오용(Misuse of Principles : 부당한 전제 사용)
1. 정의
2. 검증
1호. 이 논리적 오류가 토론의 주제에 어긋나는 발언을 허용하는가?
2호. 논리적 오류로 지적된 부분이 '상대방의 발언 내용의 논리성'만을 직접적이고 정확하게 지적해야 한다는 원칙에 위배되는가?
3호. 이 논리적 오류가 '비형식 오류-관련성 유무'로 분류된 것이 합당한가?
3. 사례 및 대응
댓글목록 5
문의현님의 댓글
문의현 작성일...? 反ace나그네? ace나그네? 둘이 아는 사이인가요?
ace나그네님의 댓글의 댓글
ace나그네 작성일그건 말씀드릴 수는 없습니다. 하지만 反ace나그네를 사용하시는 분께서는 그 어떤 상황에서도 제 주장의 타당성을 의심하셔야 하고 제 자신을 지지할 수 밖에 없는 상황이더라도 최소한 침묵을 지킨다는 전제조건을 달고 그 아이디를 만드셨습니다. 제 자신이 反ace나그네의 의견을 수용하는 것은 가능합니다. 왜냐하면 反ace나그네가 토론실에 있는 것은 제 자신을 무조건적으로 비판해서 제 자신의 편향성을 견제하기 위함이니까요.
코알라님의 댓글
코알라 작성일이 글은 무슨 목적으로 쓰여진 글인가요?
反ace나그네님의 댓글의 댓글
反ace나그네 작성일
답변이 늦어져서 죄송합니다. 토론실 회원들이 논리적 오류에 대해 더 잘 알면 자기 자신의 토론 능력을 향상시키는 데 도움이 될 것이고, 그렇게 되면 토론실의 토론 수준이 전반적으로 높아져 토론실에 대한 전반적인 인식이 점점 더 좋아질 것이라는 희망 아래 쓰는 글입니다. 토론 사이트에서 발생하는 인신 공격 문제, 도배글 등에 대처하기 위한 가이드라인도 되고요.
다만, 저작권 문제를 피하기 위해 제가 참고하는 책에서 인용한 부분보다 더 많은 분량의 질문을 위와 같이 삽입해놓았습니다.
그러고 나서 수정하려고 했으나, 제가 너무 게으르기도 했고 바쁘기도 해서 '뼈만 있고 살은 없는' 위 글이 오랜 세월 방치되어 있었습니다.
질문에 감사드리며, 한편으로 토론실 회원 여러분께 정말 죄송합니다.
ace나그네님의 댓글
ace나그네 작성일저는 위 논리 오류법 제정안의 타당성을 판단하는 기준으로 다음을 제안하고자 합니다.
1. 정의 : 위 논리 오류법은 '토론에서 마땅히 이루어져야 할 것'들을 지켜나가는데 기여하는가? 모든 사람들에게 평등하게, 보편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규범인가?
2. 합목적성 : 위 논리 오류법은 '이성주의', '합리주의'에 기초한 문제 해결에 기여하는가?
3. 법적 안정성 : 위 논리 오류법의 권위를 믿고 논리적 오류를 걱정하지 않으면서 토론하는 게 가능한가?
(1)'논리 오류법'은 명확하고 간결해서 토론자들이 이해하기 쉬워야 한다.
(2)'논리 오류법'은 쉽게 변경되지 않을 만큼 타당한 논리적 근거 위에 세워져야 한다.
(3)'논리 오류법'은 토론자들이 쉽게 토론시에 활용가능해야 하며, 지침을 지킬 수 있도록 되어야 한다.
(4)'논리 오류법'은 토론자들의 의식(토론 의식)에 부합해야 하며, 이를 위해 광범위한 논쟁 및 토의에 기반해야 한다.
(추신)다루어야 할 논리적 오류가 많은 관계로 일단 법안의 골격만 잡았다고 합니다. 빨리 빨리 완성하겠다고 전해왔으니 기다려 봐야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