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Home>영어토론방 |
Diplomacy Adjudicator Feedback Series 53/75
페이지 정보

본문

Debate Topic 2 : If you translate below English adjudication feedback to Korean,what is the desirable wayof translation? Does translation should reflect the original English contexts and grammar as much as possible?Orthetranslation should reflect the grammar and contexts in Korean?
토론 주제2: 아래의 심판 판정문 원문 원본을 한국어로 번역할 때, 영어 원문의 문법과 맥락, 의미에 보다 충실하게 번역해야 하는가? 한국어로 번역하는 이상 한국어 문법과 맥락에 맞게바꾸는 것이 바람직한가?
Discussion Topic : How can you translate better than below 1st Korean draft? Please suggest your alternative translation.
토의 주제 : 아래의 한국어 번역문보다 어떻게 더 나은 번역을 할 수 있겠는가? 대체할 만한 번역문을 제시해보시오.
http://debatewise.org/debates/3541
Motion : THERE SHOULD BE NO PERMANENT MEMBERS OF THE UN SECURITY COUNCIL
Defending: Latvia, Opposing: Uzbekistan
All the Yes points
1. Introduction
2. It would increase the legitimacy of the UNSC
3. It would make the UNSC more effective and efficient
4. It will provide more accountability
5. It will lead to fair regional representation, as well as make it more legitimate and flexible
6. Summary - Team Latvia
All the No points
1. Argument 1: PM serves interests of developing countries
2. Argument 2: UNSC sanctions become powerless without PM
3. Argument 3: PM ensures continuity essential to resolving issues of international peace and security
4. Summary (Uzbekistan)
Decision by Adjudicator: lokewf
I award the debate to the Opposition, Uzbekistan.
The following are my reasons:
1. The Case of the Prop, Latvia, was unclear in its scope and policy statement while the Prop's Case of retaining SQ or expanding PM seats was consistent throughout the debate
While stating in the outset that they want to exclude the issues of veto-power abuse by the P5, and regional representation, the Prop went on to use these two issues in their arguments. Prop was also unclear in its electoral mechanism for the elections of non-PM members. More fleshing-out could have made the case of the Prop clearer in its purpose and operationalisation of that proposed vision envisioned by the Prop's case.
2. The Oppn won the key clashes in the debate:
a) On the issue of whether the UNSC will acquire greater legitimacy with elected non-PMs, Prop conceded that emergent power houses like Brazil, Indian South Africa should be admitted to provide fair representation, a point championed by Oppn in its substantive on how expanding seats of PM to these countries will obtained more legitimacy for the UNSC. Oppn won this point.
b) On the issue of which side provides a model for a more efficient and effective UNSC, Prop won the conceptual battle of how the PMs are often locked in stalemates/deadlocks or make decisions based on national interest, to the detriment of the collective interest of global peace, the Oppn gave a strong practical repose that much of the funding for UNSC's peace-keeping activities are funded by the PMs and the aspirant UN members such as Germany and Japan. Oppn won this point with a slight margin.
c) On the issue of which side provides a more accountable system for decision-making for the UNSC, Prop's argument that the PMs do not face any consequences for their vetoes/votes and are protected by the permanency of their membership in the UNSC was compelling. The Oppn's response that the current spotlight on the PMs in the UNSC keep them on the straight and narrow was not convincing. Prop won on this point.
Oppn won the debate by a close but clear margin.
loke wing fatt
<번역자 : 이민섭>
http://debatewise.org/debates/3541
Motion : 유엔 안보리에서 상임 이사국 제도를 폐지해야 한다.
찬성 팀 : 라트비아, 반대 팀 : 우즈베키스탄
찬성 팀의 요점
1. 소개
2. 상임 이사국 제도의 폐지는 유엔 안보리의 합법성을 증대시킬 것이다.
3. 상임 이사국 제도의 폐지는 유엔 안보리를 보다 효과적이고도 효율적으로 만들 것이다.
4. 상임 이사국 제도의 폐지는 유엔 안보리가 보다 책임 있는 기구로 거듭나게 할 것이다.
5. 상임 이사국 제도의 폐지는 보다 공평한 지역적 대표성을 증대시키면서, 유엔 안보리를 보다 합법적이고 유연한 기구로 만들 것이다.
6. 요약 - 라트비아 팀
All the No points
1. 주장 1 : 상임 이사국들은 개도국들의 관심사에 기여하고 있다.
2. 주장 2 : 유엔 안보리의 제재는 상임 이사국들 없이는 힘이 없다.
3. 주장 3 : 상임 이사국들은 국제 평화와 안보 문제에 있어 지속적인 해결 시도를 보장할 수 있는 필수적인 존재들이다.
4. 요약(우즈베키스탄)
심판 판정 : lokewf
반대 측이었던 우즈베키스탄 팀이 이겼다.
아래에 그 이유를 설명하겠다. :
1. 찬성 측이었던 라트비아가 현행 그대로 유엔 안보리를 유지할 것인지 또는 상임 이사국 수를 늘릴 것인지에 대해서는 일관되게 언급했지만 찬성 팀의 전반적인 입장은 설정된 범위가 어디까지인지 그리고 그들이 언급한 정책이란 것이 무엇인지 불분명했다.
서두에서 찬성 팀은 거부권을 행사하는 상임 이사국 5개국과, 지역 대표들에 대한 이슈를 언급하지 않고, 이 두 가지 이슈를 그들의 주장 내에서 다루었다. 찬성 팀은 또한 비상임 이사국들을 선출하는 시스템에 대해서도 분명하게 다루지 않았다. 찬성 팀 주장 안에서 제기 되었던 목표와 운영에 관련해서 보다 세부적이고 완성도 높은 조명이 필요했다.
2. 반대 팀이 이 토론의 핵심적인 쟁점들을 가져갔다 :
a)비상임 이사국을 선출할 때 유엔 안보리에 보다 더 큰 합법성을 요구하는 문제에 있어서, 찬성 팀은 브라질이나 인도, 남아공 등 급부상하는 국가들에 자리를 제공해야 한다고 했는데, 반대 팀이 언급했듯이 문제는 안보리 의석수를 늘리는 게 어떻게 합법성을 더 잘 보장할 수 있는가이다. 반대 팀이 이 부분에서 이겼다.
b) 어느 팀이 보다 효율적이고 효과적인 유엔 안보리를 구성할 수 있는 정책 모델을 제시하는가라는 이슈와 관련해서, 찬성 팀은 상임 이사국들이 필요한 결정을 내리지 않거나 또는 그들의 국가 이익에 기초한 결정을 내림으로써 어떻게 세계 평화에 저해가 되는지에 대해 얘기하면서 개념적 차원에서 승리를 챙겼다면, 반대 팀은 현실적인 측면에서 봤을 때 유엔 안보리의 평화유지 활동을 위한 대부분의 자금을 상임 이사국들이나 독일 또는 일본과 같은 강대국들이 하고 있다고 강력하게 반박을 했다. 반대 팀이 이번 이슈에서 근소한 차이로 이겼다.
c) 어느 팀이 유엔 안보리의 정책 결정 과정과 관련한 보다 합당한 시스템을 제시할지에 대하여, 찬성 팀이 안보리 이사국들은 그들의 거부권이나 투표권의 결과에 구애받지 않고 그들의 의석을 영구히 보장받는다고 주장한 것이 설득력 있었다. 반대 팀의 대응은 현재 안보리 내의 상임이사국들이 올바르게 행동하도록 그대로 그 자리를 유지해야 한다는 것으로 별로 신빙성이 없었다. 찬성 팀이 이번 이슈를 가져갔다.
반대 팀이 근소하지만 분명한 차이로 승자가 되었다.
loke wing fatt
관련링크
댓글목록

ace나그네님의 댓글
ace나그네 작성일
검색어는 '국제', '연합', '안전', '보장', '이사회', '상임', '이사국'입니다. 사실 이렇게 검색어를 세분화하지 않고 찾으면 아래 목록에 나온 자료들보다 더 관련성 높은 자료들을 훨씬 많이 찾을 수는 있지만 그렇게 해도 '폐지'에 관련된 자료를 찾기는 어려웠습니다. 사실 국제 사회에서 힘 있는 국가들은 상임이사국 자리를 유지하거나 상임이사국이 되고 싶어하지 상임이사국 제도 자체를 폐지하기를 원하지는 않는 상황이라 어찌 보면 당연한 상황이기도 합니다. 그리고 상임이사국이나 상임이사국이 되고자 하는 나라들이 학술 자료도 많이 생산하고 세계 언론의 주류를 형성하기도 하기에 상임이사국 폐지를 원하는 목소리가 큰 힘을 얻기는 더더욱 어려울 것 같습니다. 우리나라는 현재 상임이사국이 될 국력이나 입장이 아니라 비상임이사국으로 선출되는 데 주력하는 상황이고, 일본의 상임이사국 진출을 저지하고자 하기도 합니다. 아래에 참고자료 목록을 게시합니다.
1. 학위논문
(1)국가의 상대적 힘과 국제기구의 정치적 취약성 : 국제사법재판소 콜푸해협 판례(Corfu Channel Case)에 대한 사례 연구 http://www.riss.kr/link?id=T13079890
(2)유엔 안전보장 이사회의 러시아 비토권 http://www.riss.kr/link?id=T14427929
(3)국제사회의 북한 및 이란 경제제재 실효성 비교 연구 : 핵무장 저지에 미친 영향을 중심으로 http://www.riss.kr/link?id=T14697611
(4)THE UNITED NATIONS SECURITY COUNCIL : THE REPUBLIC OF KOREA'S SEARCH FOR MEMBERSHIP
http://www.riss.kr/link?id=T4433431
2. 책
(1)중국은 무엇을 꿈꾸고 있는가? : 미리 보는 21세기 중국의 국가전략 http://www.riss.kr/link?id=M9128678
(2)제61차 총회 결과보고서 http://www.riss.kr/link?id=M11726250
(3)국제 평화유지 활동(PK0) http://www.riss.kr/link?id=M40743
(4)세계화시대의 국제관계 http://www.riss.kr/link?id=M7620846
(5)국제법 논점특강 http://www.riss.kr/link?id=M10886987
3. 학술논문
(1)국제법상 북한정권 붕괴 시 국군의 통일을 위한 북한지역 진입의 합법적 방안 선정 검토 http://www.riss.kr/link?id=A101820563
(2)常任理事國의 拒否權問題 : U·N 安保理事會를 中心으로 = Veto of Rights Permanent Members http://www.riss.kr/link?id=A19581465
(3)한국문제를 통한 UN법의 발전 http://www.riss.kr/link?id=A101739335
4. 인터넷 자료
(1)나무위키 '상임이사국': https://namu.wiki/w/%EC%83%81%EC%9E%84%EC%9D%B4%EC%82%AC%EA%B5%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