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Home>영어토론방 |
Society Adjudicator Feedback Series 66/75
페이지 정보

본문

http://debatewise.org/debates/1047
Motion : SAME-SEX MARRIAGE SHOULD BE LEGAL
Defending: USA, Opposing: South Africa
Decision by Adjudicator: Jonathan Leader Maynard
This was a high quality debate - the best online debate I have yet adjudicated, with sophisticated, well explained and elegantly written arguments on both sides.
Ultimately, though by a narrow margin, the winning team is: South Africa.
Specific Feedback - USA
The USA's points were well chosen, frequently sophisticated and covered most of the Proposition arguments I would have expected to have come out. I was pleased, having judged this team in the qualifying rounds, to see that they took advice towards succinctness on board. I felt that the Team were on their strongest ground with their well argued analyses of the way in which government failure to legalise same-sex marriages impacts upon people's self-identification, and maintains stereotypes of inadequacy in society, though I felt this point was perhaps slightly exaggerated in the extent of its effects.
The central problem, I feel, for the USA, was a strategic one. The team failed to show an appreciation, from the outset, of the significance of the distinction between Civil Unions and 'Marriages'. In light of this, South Africa were able to diffuse many early USA arguments by simply illustrating that a plausibly well constructed system of Civil Unions would be able to accomodate the Proposition's demands. In light of this, it was unwise to leave arguments as to why Civil Unions were inadequate, and why the lack of marriage itself, not merely legal union, was central, until midway through the USA's case (with the exception of some brief exposition in the USA's first point - this was insufficient). The USA's engagement with South Africa was also relatively weak, and the failure to provide rebuttal to South Africa's latter (Rebuttal) points was a problematic lapse. I did agree that some of the legal problems that a lack of marriage creates, while not false, were exaggerated.
Specific Feedback - South Africa
South Africa's central strength was it's rebuttal of USA's points, which successfully defeated or outmaneouvred almost all of them. The substantive material was also well argued, though may have been problematised by more extensive responses, which fortunately for South Africa, the USA did not provide.
South Africa should, as I advised the USA in previous rounds, endeavour to be more succinct. The lack of any equivalent to a speech's time limit in online debating is no more of a reason to be verbose than a removal of time limits in verbal debating would be a reason to talk for half an hour - you need to maintain the interest of your audience for them to be persuaded. This debate was, again, too long. I would caution the team, both in regards to this round, and for future rounds, about a tendency to not fully grasp the persuasive potential of some of their opponents points. While the occassionally derisive style of South Africa's rebuttal was at times appropriate, on occassion I felt it was misrepresentative or willfully failing to interpret the USA's points. I was not convinced that at any point USA lapsed into homophobic presuppositions, and felt that the claims of hyperbole, while partially true, were themselves overstated. Most significantly, I felt South Africa were too dismissive of a) the extent of existing homosexual discrimination and exclusion in many countries and b) the possibility of such exclusion and discrimination being exacerbated by legal norms (i.e. of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attitudes in society and norms and the way those norms are entrenched). South Africa did not engage with these ideas very analytically, but instead upon the factual assertion that USA was again being hyperbolic - I was not convinced this was the case, and analytical engagement is always strategically wiser than an assertion which depends upon your judge having the same perspective as you. I would also caution South Africa about an over-reliance on 'damage-limitation' arguments. Much of their rebuttal aimed at undermining the extent of the harms the USA outlined. This is acceptable, but less effective than actually defeating or disproving the other side's arguments. If you merely limit how true their arguments are, but they still remain true, those arguments are still on the table and are still doing effective work in the debate. It was not too big a problem in this debate, but it is a strategic issue it is important to keep an eye on.
Decision by Adjudicator: Tony Murphy
Wins goes to Team South Africa, in opposition. In terms of the definition, first of all, I feel Prop made their case more difficult by using the blanket term marriage, not civil marriage, making it much easier for Opp to introduce religious based arguments from the get go. In relation to the Opp, though, I do not feel the definition was vague and that it clearly specified that it saw gay marriage as the ‘end goal’ in all countries, not as something they wished to impose. This hurt some of Opp’s arguments, which were based clearly around the notion of imposition.
However, the broader principals of Opp’s case, in relation to states’ rights, differing moral attitudes to gay marriage and social backlash, to a lesser extent, still stood as principled issues, and enough to beat the arguments of the Prop. Argumentation was better from the Opp, more substantive and better enunciated. The lack of response to Opp’s rebuttal, which was substantial, also hurt Prop strongly. A few things:
Watch the Hyperbole, as Opp pointed out in the ‘Expanding the Right to Marry Serves the State’ point, Prop was exaggerating when they said ‘the legal system would be strained beyond belief’. It hurts your own arguments if you make them sound so unrealistic.
I feel Prop should have brought the Civil Unions point out much earlier. One of the chief contentions of the definition was that civil unions were inadequate, something which was always going to be a major point of argument. Waiting so long to raise the issue allowed Opp to praise the role of civil unions in their rebuttal before Prop even brought the issue up. The more general point here is to identify which of your arguments are more important, and to always bring those up as early as you can.
In the ‘Governments should not discourage people from their identity’ point, I assume the ‘gay lifestyle’ part of the false dichotomy was meant as a misconception. It was a little vague and allowed the Opp to portray the Prop as not understanding the issues they were discussing. And congratulations to both teams for correctly identifying Mary Coughlan as an incompetent wingnut.
Tony
<번역자 : 구글 번역, 번역 일자: 2017. 10. 14.>
http://debatewise.org/debates/1047
토론 주제 : 동성 결혼은 합법화되어야 한다.
찬성 팀 : 미국, 반대 팀 : 남아프리카 공화국
심판 판정 : Jonathan Leader Maynard
이것은 양질의 논쟁이었습니다. 양측 모두에서 정교하고 잘 설명되고 우아하게 서술 된 논쟁과 함께 제가 아직 판결 한 최고의 온라인 논쟁이었습니다.
궁극적으로, 좁은 마진으로이기는 팀은 남아프리카입니다.
특정 피드백 - 미국
미국의 요점은 잘 선택되었고, 자주 정교 해졌고, 나왔을 것으로 예상되는 법안 논쟁의 대부분을 다루었습니다. 예선 라운드에서이 팀을 심사 한 결과, 그들이 간판에 대한 조언을 얻었 음을 알게되어서 기뻤습니다. 나는 동성 결혼을 합법화하지 않는 정부의 실패가 사람들의 자기 동일시에 영향을 미치는 방식에 대해 잘 분석 된 분석을 통해 팀이 가장 강한 기반에 서 있다고 느끼고 있었고, 아마도이 점이 아마도 사회에 부적합하다는 고정 관념을 유지할 것이라고 생각했다. 그것의 효력의 범위에서 경미하게 과장했다.
미국의 핵심 문제는 전략적 목표였습니다. 팀은 처음부터 시민 연합과 '결혼'사이의 구별의 중요성을 인식하지 못했습니다. 이 점에서 남아공은 시민 연합이 그럴듯하게 잘 구축 된 체계가 법안의 요구를 수용 할 수 있다는 것을 단순하게 설명함으로써 많은 초기 미국 주장을 확산시킬 수있었습니다. 이것에 비추어 볼 때 시민 동맹이 왜 불충분한지, 왜 합법적 인 노동 조합이 아니라 결혼 그 자체가 부족한가에 대한 논거를 남겨 두는 것은 현명하지 못했다. 미국의 첫 번째 요점 - 이것은 충분하지 못했습니다.) 남아공과의 미국의 참여도 상대적으로 약했으며, 남아공의 후반 (반란군) 점에 대해 반론을 제공하지 못하는 것은 문제가되는 것이었다. 나는 결혼의 결여가 만들어내는 법적인 문제 중 일부가 허위가 아니라 과장되었음을 인정했다.
특정 피드백 - 남아프리카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핵심 강점은 미국의 요점에 반론을 썼다. 거의 모든 점을 성공적으로 능가하거나 능가했다. 실질적인 자료는 또한 논쟁의 여지가 있었지만, 다행스럽게도 남아공의 경우 미국이 제공하지 않은보다 광범위한 대응으로 문제가 될 수있다.
남아프리카 공화국은 이전 라운드에서 미국에게 권고했듯이 좀 더 간결해야한다. 온라인 토론에서 연설의 시간 제한과 동등한 것이 없기 때문에 구두 토론에서 시간 제한을 제거하는 것이 30 분 동안 이야기 할 이유가 될 것입니다. - 당신은 당신의 관심을 유지할 필요가 있습니다. 잠재 고객이 설득되도록 유도합니다. 이 논쟁은 너무 오래되었습니다. 이 라운드와 관련하여, 그리고 미래 라운드에서, 상대방 포인트 중 일부의 설득력있는 잠재력을 완전히 파악하지 못하는 경향에 대해 팀에게주의 할 것입니다. 때때로 때때로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반론의 비폭력적 스타일이 적절한시기에 있었지만, 때때로 나는 그것이 미국의 주장을 잘못 해석하거나 의도적으로 해석하지 못했다고 느꼈다. 나는 어느 시점에서든 미국이 동성애 혐오증에 빠져 있음을 확신하지 못했으며, 과장된 주장은 부분적으로는 사실이지만 과장된 것이라고 생각했다. 가장 중요한 것은 남아프리카 공화국이 많은 국가에서 동성애의 기존 차별과 배제의 정도와 b) 그러한 배제와 차별이 법적인 규범에 의해 악화 될 가능성 (즉, 사회에서의 사회적 태도와 규범 및 그 규범이 확립되는 방식). 남아프리카 공화국은 이러한 생각을 분석적으로 다루지는 않았지만, 미국이 다시 과장되어 있다는 사실에 대한 주장 대신, 나는 이것이 사실이라고 확신하지 못했고, 분석적 참여는 항상 당신의 판사가 가지고있는 주장보다 전략적으로 더 현명하다. 당신과 같은 관점. 나는 또한 남아공에 '피해 제한'에 대한 과도한 의존에 대해주의를 환기시킬 것이다. 그들의 반발의 대부분은 미국이 제시 한 해악의 범위를 약화시키는 것을 목표로 삼았다. 이는 받아 들일 수는 있지만 상대방의 주장을 실제로 물리 치거나 반증하는 것보다 덜 효과적입니다. 그들의 주장이 얼마나 진실인지를 단지 제한하지만, 여전히 진실이라면, 그 논쟁은 여전히 논쟁의 여지가 있으며 여전히 논쟁에서 효과적인 작업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이 논쟁에서 너무 큰 문제는 아니었지만, 계속 주목하는 것이 중요한 전략적 문제입니다.
심판 판정 : Tony Murphy
이기는 것은 야당에서 팀 남아프리카 공화국으로갑니다. 정의의 측면에서 우선, 나는 법안이 시민 결혼이 아니라 담요 임기 결혼을 사용함으로써 그들의 사건을 더욱 어렵게 만들었다 고 느낀다. Opp과 관련하여, 나는 정의가 모호하고, 게이 결혼이 부과하기를 바라는 것이 아니라 모든 국가에서 동성애 결혼을 '최종 목표'라고 분명히 명시했다. 이것은 Opp의 주장 중 일부를 손상 시켰는데, 이는 부과라는 개념을 중심으로 명확하게 나타났습니다.
그러나 동성애자의 결혼에 대한 도덕적 태도와 사회적 반발의 정도가 다소 다른 주정부의 권리와 관련하여 Opp 사건의 더 넓은 원칙은 여전히 원칙적인 쟁점으로 남아 있었고 법안의 주장을 이길 수있는 정도였다. Opp에서, 더 실제적이고 더 나은 enunciated. 상당한 Opp의 반론에 대한 응답이 없기 때문에 Prop는 강력하게 상처를받습니다. 몇 가지:
Opp이 '결혼 할 권리를 확대하는 것이 국가에 도움이된다'는 지적에서 Hyperbole을 지켜보십시오. 법안은 '법률 시스템이 신념을 넘어서지 않을 것'이라고 말하면 과장되었습니다. 너무 비현실적으로 들리게 만들면 자신의 주장에 상처를줍니다.
나는 소품이 훨씬 이전에 시민 연합이 지적 했어야한다고 생각한다. 그 정의에 대한 주요 논쟁 중 하나는 시민 조합이 부적절하다는 것이었고, 항상 논쟁의 주요 포인트가 될 것이었다. 이 문제를 제기하기까지 오랫동안 기다리 자마자 법안에서 문제를 제기하기도 전에 Opp은 그들의 반론에서 시민 조합의 역할을 칭찬했습니다. 좀 더 일반적인 요점은 당신의 주장 중 더 중요한 것이 무엇인지를 확인하고, 가능한 한 빨리 그 주장을 제기하는 것입니다.
'정부가 국민의 정체성을 방해해서는 안됩니다.'라는 점에서 잘못된 이분법의 '게이 라이프 스타일'부분은 오해라고 생각합니다. 그것은 다소 모호했고 Opp이 그들이 논의하고있는 이슈를 이해하지 못하는 것으로 Prop을 묘사하도록 허용했습니다. 그리고 두 팀 모두 Mary Coughlan을 무능한 날개로 올바르게 확인한 것을 축하드립니다.
토니
관련링크
댓글목록

ace나그네님의 댓글
ace나그네 작성일
검색어는 '동성', '결혼', '합법'입니다. 방향만 놓고 보면 이성 간의 혼인만 합법화되었던 기존의 법률혼에 비해 보다 다양한 형태의 결혼을 허용하고 개인들의 자유를 국가가 보다 폭넓게 보장한다는 의미가 있지만, 중혼이나 일부다처제, 다부일처제 등 다른 형태의 혼인까지 허용하는 것이 아니라면 결국 '왜 여기까지는 되고 여기부터는 되지 않는가'라는 질문을 맞이할 수 밖에 없습니다. 물론 개인들의 애정 행위등을 넘어 국가나 사회가 그 결합을 공식적으로 인정하고 법률적, 사회적 혜택을 부여해야 하는가가 문제가 될 경우 국가나 사회 등도 나름의 잣대를 제시하고 그 잣대에 개인들이 부합하는가 아닌가를 따질 수는 있겠습니다. 결국 사회 질서/도덕/관습 등과 개인 자유 사이에 절충점을 어디에 놓을 것인가, 사회가 궁극적으로 지향하는 방향이 어디이고 개개인들의 어떤 행동을 허용하고 금지했을 때 그 방향으로 옳게 갈 수 있느냐는 질문이 핵심입니다. 그럼 여기에서 참고할 만한 자료를 소개합니다.
<참고자료>
1. 학위논문
(1)인간의 성과 사랑 표현 연구 http://www.riss.kr/link?id=T13975886
(2)중국사회에서 동성애에 대한 인식과 차별:중국20대 동성애자의 현황에 대해 http://www.riss.kr/link?id=T14136758
2. 책
(1)미국은 어떻게 동성결혼을 받아들였나 : 미국법원의 동성결혼 합법화 12대 판결 http://www.riss.kr/link?id=M14173560
3. 학술논문
(1)동성결혼 합법화 과정에서 나타난 미국 연방 대법원의 위헌심사기준 변화에 대한 논의 http://www.riss.kr/link?id=A101887012
(2)동성결혼을 축복할 수 있는가? : 동성결혼에 대한 기독교 윤리학적 분석 http://www.riss.kr/link?id=A100086776
(3)“하나님의 피조물, 예수의 친구, 교회의 동반자” 교회(대한예수교장로회 총회)의 “동성애와 동성결혼 합법화 반대”에 대한 여성신학자들의 입장 외 http://www.riss.kr/link?id=A105047324
(4)동성결혼 합법화는 어떻게 가능하였는가?: 여론과 정당정치 그리고 연방주의 http://www.riss.kr/link?id=A101744308
(5)연구논문 : 미국 동성 간 혼인 합헌 판결에 대한 비판적 고찰 http://www.riss.kr/link?id=A1013292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