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Home>영어토론방 |
Wellbeing Adjudicator Feedback Series 33/75
페이지 정보

본문
Debate Topic1: Do you agree or disagree the below motion? Why/Why not?
토론 주제 1 : 아래 주제에 찬성하는가? 반대하는가? 각각의입장을 취했을 때 그 이유는 무엇인가?
Debate Topic 2 : If you translate below English adjudication feedback to Korean,what is the desirable wayof translation? Does translation should reflect the original English contexts and grammar as much as possible?Orthetranslation should reflect the grammar and contexts in Korean?
토론 주제2:아래의 심판 판정문 원문 원본을 한국어로 번역할 때, 영어 원문의 문법과 맥락, 의미에 보다충실하게 번역해야 하는가? 한국어로 번역하는 이상 한국어 문법과 맥락에 맞게바꾸는 것이 바람직한가?
Discussion Topic : How can you translate better than below 1st Korean draft? Please suggest your alternative translation.
토의 주제 : 아래의 한국어 번역문보다 어떻게 더 나은 번역을 할 수 있겠는가? 대체할 만한 번역문을 제시해보시오.
http://debatewise.org/debates/3526
Motion : NATIONS BORDERING SOMALIA SHOULD OPEN THOSE BORDERS TO EASE THE FAMINE
Defending: Kenya, Opposing: Israel
All the Yes points
All the No points
1. Opening the borders encourages the weak to take perilous risks
2. Opening the borders displaces and widens the problem
3. Those who remain in Somalia are those most in need of aid
4. A Local Solution is the best way to contain and combat the problem
5. Opposition Summary & Conclusion
Decision by Adjudicator: Protagoras
Although there was no Government case established, Opposition did a superb job of debating. This debate is a great example of what to do if you face silence, or even if you face an incoherent, or difficult to understand Government advocacy.
The Opposition did several things well:
1. They kept everything organized. It was very easy to follow, read, and go back to look at support or arguments again. 2. They research well. The support they chose was good, not too overwhelming, and most importantly, they explained to us how to read it before they showed it to us. That part cannot be overestimated. 3. They gave us a sense of what a Government case would look like. They wouldn't have much persuasive force unless they told us what they thought the advocacy would be. It would be like serving a cake without a knife.
There are a few things that Opposition could improve:
1. Although they gave a Government advocacy, they should have given a range. I wonder if the Government team would just throw open the borders, as they suggest. I think it's reasonable to believe that most Government teams would put some qualifiers on the border regulations. I believe a range of possible options is a better way to handle an incoherent or absent Government model, especially in a debate where many arguments will hinge on the topos of "degree" (i.e. how many get in, what kind get in, etc).
2. I was very persuaded about the point of wealth. I hoped Opposition would bring in more examples or more details about how our urge to help usually transforms into a policy that helps only the privileged. I also think there's room here to argue that only locally powerful people can really help at all, even if they aren't that motivated to help. I also wonder about long-term solutions in the face of issues like famines, but I guess it depends on what you believe caused the famine.
Either way, Opposition wins, and they do it in great style and demonstrating many strategies that future debaters should keep in mind. This is a good model of how to handle a far too common situation in debates.
<번역자 : 이민섭>
http://debatewise.org/debates/3526
Motion : 소말리아와 국경을 접하고 있는 국가들은 기아 문제를 완화하기 위해 그들의 국경을 개방해야 한다.
찬성 팀 : 케냐, 반대 팀 : 이스라엘
찬성 팀의 요점
반대 팀의 요점
1. 국경 개방은 아주 위험한 손실 부담을 부를 수 있는 취약점을 키운다.
2. 국경 개방은 새로운 문제를 부르거나 문제를 더 키울 수 있다.
3. 소말리아에 여전히 남아있는 사람들이야말로 가장 원조가 필요한 사람들이다.
4. 지역 내에서 해결책을 마련하는 것이야말로 문제를 억제하고 문제와 싸우는 가장 나은 방법이다.
5. 반대 팀의 요약정리 & 결론
심판 판정 : Protagoras
비록 찬성 팀의 주장이 단 하나도 제시되지 않았지만, 반대 팀은 굉장히 토론을 잘했다. 이번 토론은 만약 침묵이나, 알아들을 수 없는 말, 또는 찬성 팀이 옹호하고자 하는 바를 이해하기 어려울 때 어떻게 해야만 하는지를 보여주는 정말 훌륭한 사례이다.
반대 팀은 다음과 같이 몇 가지 잘한 것들이 있다 :
1. 그들은 모든 것을 지속적으로 조직화했다. 반대 팀의 내용은 굉장히 따라가고, 읽고, 그리고 그들이 지지하는 바와 주장들로 다시 돌아가서 살펴보기에 굉장히 쉬웠다. 2. 반대 팀은 자료 조사를 잘 했다. 그들의 주장을 뒷받침하기 위한 뒷받침 내용들은 굉장히 좋았고, 과도하지 않았으며, 그리고 가장 중요한 점은, 그들이 그 뒷받침 내용들을 소개하기 전에 먼저 어떻게 그 자료들을 읽어야 하는지 설명해 줬다는 점이다. 이 부분에 대해서는 절대 과대평가한 것이 아니다. 3. 반대 팀은 찬성 팀이 제시할 수 있었던 것이 무엇이었는지 감을 잡을 수 있게 해 주었다. 만약 찬성 팀이 무엇을 옹호할 수 있다고 반대 팀이 예상했는지에 대해 이야기하지 않았다면, 반대 팀이 그렇게 강력한 설득력을 보여주지는 못했을 것이다. 만약 그랬다면 이건 마치 칼 없이 케이크만 준 셈이었을 것이다.
여기에 반대 팀이 좀 더 개선했으면 하는 부분들을 설명하겠다.
1. 비록 그들이 찬성 팀이 옹호할 만한 것들을 제시하긴 했는데, 그들은 그 범위도 함께 제시했어야 했다. 반대 팀이 제시한 대로 찬성 팀이 아마도 단순히 국경 개방만 얘기하는 것으로 끝냈을까하는 의문이 들었다. 대부분의 찬성 팀들이라면 아마도 국경에 관련된 규제에 부합하는 몇몇의 자격 있는 사람들에 대한 얘기를 논리적으로 봤을 때 당연히 꺼냈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든다. 알 수도 없었거나 또한 존재하지도 않았던 찬성 팀의 정책 모델을 다루는 데 있어, 특히 “정도”와 관련된 주제가 다수의 주장들을 좌지우지하는 토론에서라면 가능한 옵션들에 대한 범위를 설정하는 것이 보다 나은 대처법이 됐으리라고 본다. (이것은. 얼마나 많은 난민들이 타국으로 들어갈 수 있는가, 무슨 자격을 갖춘 사람들이 들어갈 수 있는가, 기타 등등을 얘기한다).
2. 부와 관련된 요점에 의해 굉장히 많이 설득되었다. 반대 팀이 어떻게 우리가 현재 특권층만 돕고 있는 현 정책을 변화시키는 것을 돕도록 권할 것인지에 대해 보다 많은 사례들과 세부적인 설명들을 제시했으면 하는 희망이 있었다. 비록 지역 내의 유지들이 그럴 동기가 없다고 하더라도, 오직 지역 유지들만이 실질적으로 이 문제에 있어 전적인 도움을 줄 수 있다고 주장할 수 있었다는 생각도 든다. 또한 기아와 같이 직면한 문제들에 대한 장기적인 해결책이라는 것들에 대해서도 의문이 들긴 했지만, 그건 반대 팀이 무엇이 기아의 원인이라고 생각하느냐에 달린 문제라는 생각을 해 본다.
어느 쪽이든, 반대 팀은 이겼고, 그들은 미래의 토론자들이 명심해야 할 훌륭한 토론 진행 방식과 많은 전략들을 보여주었다. 이번 토론은 토론들에서 굉장히 흔하게 발생할 수 있는 공통된 상황들에 대해 어떻게 대처해야 하는 지에 대한 정말 좋은 본보기이다.
관련링크
댓글목록

ace나그네님의 댓글
ace나그네 작성일
검색어는 '소말리아', '기아' 입니다. 개도국이나 아프리카 등 범위를 넓혀서 검색을 했다면 관련 자료가 많았겠으나, 소말리아라는 하나의 국가만 놓고 검색하기에는 한국에서 소말리아에 대한 관심이 그렇게 큰 것 같지 않습니다. 국경을 개방했을 때 주위 국가들이 충분히 소말리아인들을 감당할 수 있느냐, 그리고 국경 개방이 장기적으로 소말리아의 식량 사정을 개선하는 데 도움이 되느냐 등의 문제로 쟁점이 형성될 수 있습니다. 위 주제는 다른 이유로가 아니라 기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국경을 개방해야 한다는 것이기에 국경을 개방해서 얻을 수 있는 다른 부수적인 이익 등은 본 토론의 주제와 무관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문제점들의 경우는 기아 문제와 비교했을 때 그 심각성이나 관련성 등이 크다고 관련 될 경우 설득력을 가질 겁니다. 그러면 이 시점에서 아래에 관련 자료를 소개합니다.
1. 학위논문
(1)A STUDY ON THE EFFECTIVENESS OF PEACEKEEPING OPERATION IN SOMALIA http://www.riss.kr/link?id=T8547093
(2)국제정치와 분배정의 : 존 롤스의 국제정치사상에 대한 연구 http://www.riss.kr/link?id=T8022734
(3)아프리카 빈곤과 폭력의 재생산 : 복합위기의 원인과 과정 및 국제적 함의 http://www.riss.kr/link?id=T12291895
(4)신자유주의로 인한 세계의 빈곤화와 한국교회의 경제윤리 http://www.riss.kr/link?id=T11789675
2. 책
(1)왜 세계의 절반은 굶주리는가? http://www.riss.kr/link?id=M14033811
(2)사랑의 빵을 들고 땅 끝까지 : 전 월드비전 회장 이윤구 박사의 생명구호 SOS http://www.riss.kr/link?id=M10982969
(3)배고픔에 관하여 http://www.riss.kr/link?id=M14064905
3. 학술논문
(1)아프리카 기아문제에 관한 연구 : 소말리아를 중심으로 http://www.riss.kr/link?id=A99635034
(2)초국가적 위협에 대한 한국의 대응방안 : 소말리아 해적위협을 중심으로 http://www.riss.kr/link?id=A82602958
(3)아프리카 분쟁과 테러리즘에 관한 연구 http://www.riss.kr/link?id=A10189118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