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Home>영어토론방 |
Economy Adjudicator Feedback Series 18/75
페이지 정보

본문
토론 주제 1 : 아래 주제에 찬성하는가? 반대하는가? 각각의입장을 취했을 때 그 이유는 무엇인가?
Debate Topic 2 : If you translate below English adjudication feedback to Korean,what is the desirable wayof translation? Does translation should reflect the original English contexts and grammar as much as possible?Orthetranslation should reflect the grammar and contexts in Korean?
토론 주제2:아래의 심판 판정문 원문 원본을 한국어로 번역할 때, 영어 원문의 문법과 맥락, 의미에 보다충실하게 번역해야 하는가? 한국어로 번역하는 이상 한국어 문법과 맥락에 맞게바꾸는 것이 바람직한가?
Discussion Topic : How can you translate better than below 1st Korean draft? Please suggest your alternative translation.
토의 주제 : 아래의 한국어 번역문보다 어떻게 더 나은 번역을 할 수 있겠는가? 대체할 만한 번역문을 제시해보시오.
http://debatewise.org/debates/1052
Motion : ALL TAXES ON INHERITED WEALTH SHOULD BE ABOLISHED
Defending: Lithuania, Opposing: Canada
Decision by Adjudicator: Tony Murphy
I agree with Neil, Prop takes the debate. I also agree it was close.
There was strong argumentation from both teams, on both philosophical and economic grounds. Both teams also deserve credit, I think, for making their economic argumentation both accessible and engaging.
My largest issue was the fact that I don’t believe the opposition rebutted to a level that could keep them competitive for a large part of the debate. Their rebuttal seemed cursory and in several instances did not answer all of the arguments put forward by the Prop. I also feel that Opp did not develop a sophisticated principled stance to inheritance tax until late into the debate, and really they did not give any substantive principled argumentation until their summary. Until that point, a lot of their argumentation was just a general defence of taxation.
Decision by Adjudicator: nhs
This was a very close debate but my vote goes to the Proposition team from Lithuania.
The proposition developed some bold and clear arguments and responded in detail to the opposition's points. Their weakness was in highlighting how easy it is to avoid inheritance taxes, yet claiming that they nonetheless damage entrepreneurialism and wealth creation.
The longest discussion, about one particular study on the issue, seemed a dead-heat to me. It is fair comment to criticise the methodology of this study. It is also fair comment to cite it in your favour. A breadth of evidence using international evidence would have been more persuasive.
Opposition criticised proposition for not grounding their philosophical arguments about property rights. But they went no deeper in their own case for equality and redistribution. The summary was strong and brought Canada back into it. But in the end, while their criticisms were strong, their case for inheritance tax was not well enough developed to win the debate.
Well done to both teams on an enjoyable and enlightening discussion.
<번역자 : 이민섭>
http://debatewise.org/debates/1052
토론 주제 : 모든 상속세는 폐지되어야만 한다.
찬성 팀: 리투아니아, 반대 팀 : 캐나다
심판 판정 : Tony Murphy
나는 Neil에게 동의한다. 찬성 팀이 이겼고, 이번 토론은 근소한 차이로 판가름 났다.
양 팀 모두 철학적 기초와 경제적 기초 양쪽에서 강력하게 주장을 전개했다. 양 팀 모두 경제적 부분에 대한 주장을 이해하기 쉽고 주의를 끌 수 있게 만들어낸데 대해 칭찬받을 만하다.
내 자신의 가장 큰 사안은 반대 팀이 토론의 많은 부분에서 경쟁력을 유지할 수 있는 수준이었다고 반박했던 것을 믿지 못하겠다는 사실이다. 그들의 반박은 피상적이었고 여러 사례들은 찬성 팀이 제시했던 주장들 모두에 대해서 답변해내지 못했다. 난 또한 반대 팀이 토론에서 늦게까지 상속세에 대하여 복잡한 원칙적 입장을 심화하지 못했다고 느꼈고 그들은 사실 어떤 실질적인 원칙적 주장들을 그들의 요약에서 제시하지 않았다. 그 주장이 나올 때까지, 그들의 수많은 주장들은 단지 과세에 대한 일반적인 옹호였을 뿐이다.
심판 판정 : nhs
이번 토론은 굉장한 접전이었지만 찬성 팀 리투아니아의 손을 들어주고자 한다.
찬성 팀은 몇몇 대담하고도 깔끔한 주장들을 심화하고 반대 팀의 주장들에 대해 자세하게 답변했다. 그들의 약점은 상속세를 거부하는 것이 얼마나 쉬운지 강조했다는 것이었고,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기업가 정신과 부의 형성에 해를 끼친다는 점을 주장해내었다.
가장 길었던 논의는, 그 사안에 대한 특정한 하나의 연구에 대한 것이었는데, 내가 보기에는 무승부였다. 이 연구에서 방법론을 비판하는 것은 타당한 언급이었다. 여러분의 선호에 따라 그 언급을 인용하는 것 또한 타당하다. 국제적 증거를 사용할 때 그 증거의 폭넓음이 설득에 도움이 될 터이다.
반대 팀은 찬성 팀이 재산권에 대한 그들의 철학적 주장들에 기초하지 않았다고 비판했다. 하지만 그들은 그들 자신의 평등과 재분배에 대한 주장을 더 깊게 펼치지 못했다. 요약은 강했고 캐나다를 원래 자리로 되돌려놓았다. 하지만 결국, 그들의 비판은 강했지만, 상속세에 대한 그들의 주장이 그들에게 승리를 가져다줄 만큼 강력하게 심화되지 못했다.
양 팀 모두 즐겁고 계몽적인 논의를 해 준데 대해 찬사를 보낸다.
관련링크
댓글목록

ace나그네님의 댓글
ace나그네 작성일
검색어는 '상속세', '폐지'입니다. 한국에서 부의 상속과 대물림, 양극화 문제는 꽤 뜨거운 사안이기 때문에 관련된 자료도 비교적 쉽게 찾을 수 있었습니다. 이해관계자로는 부를 물려주는 사람과 부를 물려받는 사람, 그리고 세금을 걷는 정부와 세금을 내야 하는 상속 당사자들, 그리고 물려줄 부가 많은 이들과 적은 이들 등을 들 수 있습니다. 상속세를 언제 과세하느냐도 문제가 될 수 있고, 상속세율을 단순히 줄이는 것이 아니라 왜 폐지를 해야 하는지를 증명하는 것도 위 주제에서 가능한 주장입니다. 아울러, 상속세 폐지에 반대하는 사람들은 상속세율을 더 올리고 관련 제도를 강화애햐 한다고 할 수도 있겠습니다. 그러면 여기서 여러분의 입장을 정하는 데 도움이 될 아래 자료들을 소개합니다.
1. 학위논문
(1)상속세제도의 합리화 방안에 관한 연구 : 외국의 상속세 폐지동향을 중심으로 http://www.riss.kr/link?id=T12088889
(2)1990년대 이후 미국의 상속세 폐지동향에 관한 비판적 검토 http://www.riss.kr/link?id=T11683129
(3)우리나라 상속세제 현황과 개선방안에 대한 연구 http://www.riss.kr/link?id=T11801723
(4)상속세 및 증여세에 관한 문제연구 : 가업승계과세제도와 무상이전 자본이득과세제도를 중심으로 http://www.riss.kr/link?id=T11917068
(5)상속세 제도에 관한 비교법적 연구 http://www.riss.kr/link?id=T9492864
(6)우리나라의 相續稅 制度와 經營權 相續에 關한 硏究 = A Study on Inheritance Tax System and Succession of The Right of Management in Korea http://www.riss.kr/link?id=T10927639
(7)상속세 및 증여세의 문제점과 자본이득세 과세로의 전환에 관한 연구 http://www.riss.kr/link?id=T11917069
(8)국제상속 과세제도 연구 http://www.riss.kr/link?id=T13748313
2. 책: 책은 극히 일부만 아래에 소개해놓았기 때문에 필요하신 분은 더 찾아보시면 좋겠습니다.
(1)상속세, 경제적 기회균등 보장하는가? http://www.riss.kr/link?id=M10994643
(2)미국의 유산세 폐지와 정책적 시사점 http://www.riss.kr/link?id=M8208251
(3)상속세 및 증여세의 해설 http://www.riss.kr/link?id=M9649333
(4)상속세 및 증여세법 http://www.riss.kr/link?id=M12763580
3. 학술논문
(1)우리나라 상속세제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연구 http://www.riss.kr/link?id=A99614418
(2)피상속인 및 상속인에 대한 과세 http://www.riss.kr/link?id=A76158505
(3)유산세형 상속과세제도에서 우리나라 상속공제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http://www.riss.kr/link?id=A82723153
(4)移轉稅制 개편 논의와 시사점에 대한 고찰 : 미국의 유산세 폐지와 우리 나라의 포괄주의 증여과세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Transfer Taxation Reform : The Abolition of The Federal Estate Tax in the United States and The Catch-all Clause of Korean Gift Tax http://www.riss.kr/link?id=A76522841
(5)합리적인 상속세제 개편방향 http://www.riss.kr/link?id=A101823160
(6)현행 상속세제의 헌법적 의의와 문제점 -이른바 완전포괄주의를 중심으로- http://www.riss.kr/link?id=A99728080
(7)주요국의 상속·증여세 최근 동향 및 시사점 http://www.riss.kr/link?id=A99939722
(8)논문 : 상속,증여세제의 구조적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http://www.riss.kr/link?id=A87030919
(9)상속세 및 증여세제의 개편방안 http://www.riss.kr/link?id=A103542175
(10)경영 승계 역사와 상속세에 관한 연구 http://www.riss.kr/link?id=A103413051
(11)상속 및 증여세 폐지와 자본이득세로의 전환 타당성에 대한 연구 http://www.riss.kr/link?id=A76538187
(12)중소기업의 가업승계 원활화를 위한 법제개선방안 - 기업 상속에 대한 과세를 중심으로 : 중소기업의 가업승계 원활화를 위한 법제개선방안 http://www.riss.kr/link?id=A76490875
(13)미국의 상속세 폐지에 관한 연구 http://www.riss.kr/link?id=A76217738
(14)스웨덴 상속증여세 폐지정책의 정치경제학적 의미와 한국에의 시사성 http://www.riss.kr/link?id=A82630706
(15)시론(時論) : 상속세는 폐지되어야 한다 http://www.riss.kr/link?id=A75761191
(16)대만 상속세제의 변천에 대한 검토 http://www.riss.kr/link?id=A99937728
(17)상속 및 증여세제의 개정과정과 주요국의 동향을 통한 향후 개선방향 http://www.riss.kr/link?id=A10341316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