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Home>영어토론방 |
Society Adjudicator Feedback Series 26/75
페이지 정보

본문
Debate Topic1: Do you agree or disagree the below motion? Why/Why not?
토론 주제 1 : 아래 주제에 찬성하는가? 반대하는가? 각각의입장을 취했을 때 그 이유는 무엇인가?
Debate Topic 2 : If you translate below English adjudication feedback to Korean,what is the desirable wayof translation? Does translation should reflect the original English contexts and grammar as much as possible?Orthetranslation should reflect the grammar and contexts in Korean?
토론 주제2:아래의 심판 판정문 원문 원본을 한국어로 번역할 때, 영어 원문의 문법과 맥락, 의미에 보다충실하게 번역해야 하는가? 한국어로 번역하는 이상 한국어 문법과 맥락에 맞게바꾸는 것이 바람직한가?
Discussion Topic : How can you translate better than below 1st Korean draft? Please suggest your alternative translation.
토의 주제 : 아래의 한국어 번역문보다 어떻게 더 나은 번역을 할 수 있겠는가? 대체할 만한 번역문을 제시해보시오.
http://debatewise.org/debates/1151
Motion : HEAVY DRINKERS SHOULD BE DENIED LIVER TRANSPLANTS
Defending: Latvia, Opposing: South Korea
Decision by Adjudicator: AndyHume
I awarded this debate, narrowly but ultimately relatively clearly, for the Opposition team.
The Proposition’s case rested on two pillars; efficiency and fairness. I consider that the first argument was better argued and justified than the second; in particular, the point about alcoholics being less likely to undergo transplant surgery successfully, which was clearly explained and not, to my mind, convincingly answered by Opp.
However, even so, the Opp team did a good job of rebutting two of the central contentions of that first argument, viz. risks of relapse, which was answered with statistics demonstrating that only 2% of recipients go on to continue drinking at levels which will cause damage to the new, healthy liver; and the argument that the model would provide an incentive for people not to start drinking in the first place, which Opp quite correctly (in my opinion) exposed as a mere assertion.
As for “fairness”, the Proposition placed a great deal of emphasis on the idea of alcoholism as a “choice”; that addiction to alcohol is “mostly the fault of the alcoholic himself”. This was a bold claim. As a rule, I am enthusiastic about setting up strong positions in a debate which lead to clear water between the sides, but this particular claim was not convincingly proved. It may be the “fault” of the alcoholic in the limited sense that he/she chooses to open the bottle and take the drink, but the point of addiction is that it tends to impair rational decision-making and creates a strong chemical dependency on alcohol which it is very difficult (though not impossible) to override.
Opposition countered this argument strongly and argued persuasively that alcoholism is not simply a “choice” but an unfortunate chain of events that includes lifestyle factors and genetics as well as individual choice. Their argument about how a “merit-based” scheme would impose unfair and unethical burdens on doctors, in particular, was well argued.
I enjoyed the discussion about the philosophical underpinnings of the respective sides’ cases, and both teams showed a great deal of skill and some really good analysis in that regard. Again, though, I felt the Opposition team set out their philosophical viewpoint more persuasively; in their summary, I was particularly struck by the idea that it was ethically abhorrent to deny people the right to extended life simply because they have consumed a legal beverage which is integrated into the lifestyle of our society.
Overall, I felt this was the best of the three debates I have judged in this competition. Thanks to both teams.
Decision by Adjudicator: Omar
The team winning this debate is that in OPPOSITION.
My reasoning is as follows: On a very general level, I felt all the way through this debate that the Opposition had a better grip on the flow of argumentation and pushed the debate into areas that the Proposition were less comfortable in trying to defend. This also indicated a 'power-shift' towards the opposition, in that they consistently adopted strong lines that were advanced in ways that portrayed the Proposition as "brutal and utilitarian" as well as somewhat "arbitrary" in their approach to the issue.
I thought the Proposition's model was indeed simplistic - and the response from the Opposition was already throwing a shadow over the "justice and fairness" claims of the Prop. I thought that this was highlighted in the exchanges over the social contract, with Hobbes and Locke trumping the relapse line - on several occasions, the Opp cleverly referred back to citations made by the Prop (in their evidence) and capitalised on this material to mount a rebuttal attack.
I also didn't really buy the Prop's "everyone has a free choice to become an alcoholic" line later in the debate. There was even the hint of a sliding rearguard action at the point where the Prop conceded that they would treat healthy people first and then give the alcoholics whatever was left over.
Finally, I felt that the Opposition summarised well, based on the refutation of the "most in need" argument, and capped off a very persuasive series of arguments.
Thanks to both teams. I'm off for my 'cerebral atrophy' test now. Beers!
<번역자 : 이민섭>
http://debatewise.org/debates/1151
토론 주제 : 과음주자들은 간 이식을 받지 못하도록 만들어야 한다.
찬성 팀 : 라트비아, 반대 팀 : 한국
심판 판정 : AndyHume
이번 토론은 근소했지만 궁극적으로는 상대적으로 명쾌하게 반대 팀의 승리로 끝났다.
찬성 팀의 주장은 효율성과 공정성이라는 두 개의 기둥에 의지했다. 첫 번째 주장이 두 번째 주장보다 더 잘 만들어지고 정당화 되었다. 특히, 알코올 중독자들이 이식 수술을 성공적으로 받을 확률이 보다 떨어진다는 주장은 잘 설명되었고, 반대 팀이 이에 대해 제대로 답하지 못했다.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반대 팀은 첫 번째 주장의 두 가지 핵심 내용을 성공적으로 반박했다. 하나는 재발의 위험성으로 이식 수술을 받은 이 중 오직 2%만이 건강한 새 간이 손상될 정도로 술을 계속 마신다고 주장한 통계를 인용해 답변한 것이다. 다른 하나는 그 모델이 사람들로 하여금 처음부터 술을 시작하지 않도록 만드는 인센티브를 제공한다는 주장에 대해 반대 팀이(내 의견으로는) 이건 단지 증명되지 않은 주장이라고 꽤나 정확하게 폭로했다.
공정성 문제에 대해 찬성 팀은 알코올 중독증이 선택의 문제라고 강조했다. 알코올 중독은 ‘대부분 중독자 본인의 잘못’이라는 것이다. 이건 대담한 주장이었다. 규칙상 선명한 위치 선정은 양측이 주고받는 주장들까지도 깔끔하게 만들어주므로 환영할 일이기는 하지만, 이 주장의 경우 납득할 만큼 증명되지 않았다. 이건 알코올 중독을 그/그녀가 병을 따고 마시는 제한된 의미로 간주한데서 온 ‘실수’일 수 있다. 하지만 중독이 의미하는 바는 이성적으로 결정하는 능력이 손상되었다는 것이고, 화학 물질에 대해 심각하게 의존하게 되어 그것을 무시하기가 굉장히 어렵다는(불가능하지는 않지만) 것이다.
반대 팀은 이 주장을 강력하게 반박했고 또 알코올 중독증이 단순히 ‘선택’의 문제가 아니라 생활양식이나 유전 등 불행한 요소들의 사슬의 문제이기도 하다는 것을 설득력 있게 주장했다. 그들의 주장은 특히 어떻게 ‘성과 중심’ 계획이 불공정하고 비윤리적인 부담을 의사에게 지우는지도 잘 얘기해줬다.
난 양측 주장의 철학적 토대들과 관련한 논의들을 즐겼고, 양 팀 모두 뛰어난 기술과 몇몇 훌륭한 분석을 보여줬다. 하지만 반대 팀이 그들의 철학적 관점을 보다 설득력 있게 보여줬다고 생각하다. 그들의 요약문에서, 그들이 우리 사회의 생활양식에 포함되어 있는 합법적인 음료를 소비했다는 이유만으로 인간 생명을 연장할 권리를 거부당하는 것은 윤리적으로 혐오스럽다는 주장에 특히 감명을 받았다.
전반적으로, 이번 토론 대회에서 심판을 보았던 세 경기 중 이번이 최고의 경기였다고 생각한다. 양 팀 모두에게 감사 인사를 드린다.
심판 판정 : Omar
이번 토론의 승자는 반대 팀이다.
이유는 다음과 같다. 전반적으로, 반대 팀이 주장 전개의 흐름을 보다 잘 휘어잡았고 찬성 팀이 옹호하기에 불편한 영역으로 전체 토론을 잘 몰고 갔다. 찬성 팀이 사안에 접근하는 방식이 ‘잔혹하고 공리주의적이며’ 어떤 측면에서는 ‘제멋대로라고’ 묘사하면서 반대 팀이 일관성 있게 강력한 흐름을 유지하면서 반대 팀으로 ‘권력의 이동’이 이루어지는 게 눈에 보였다.
난 찬성 팀의 모델이 정말 단순하다고 생각했다. 그리고 반대 팀의 대응은 ‘정의와 공정성’이라고 하는 찬성 팀의 주장에 그림자를 드리웠다. 이 부분은 사회 계약과 관련한 상호 대응 과정에서 강조되었다. 홉스와 로크라고 하는 으뜸 패를 가지고 재발 가능성을 무너뜨리면서 말이다. 여러 차례에 걸쳐 반대 팀은 찬성 팀의 인용을 영리하게 재 위탁 하면서 이 내용물들을 가지고 반박을 강조하고 강화하는 데 사용했다.
찬성 팀이 ‘모든 이는 알코올 중독자가 되느냐 마느냐를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다’고 나중에 가서 언급한 것 또한 높게 살 수 없었다. 무엇이 남았든 간에 건강한 사람들을 먼저 치료하고 나서 알코올 중독자들을 볼 것이라고 하면서 찬성 팀이 인정한 부분에서 뒤로 나자빠진 듯한 느낌도 받았다.
마지막으로, ‘가장 필요한 이’란 주장을 통해 반박했던 것과, 굉장히 설득력 있었던 여러 주장들을 토대로 반대 팀이 토론을 잘 요약했다.
양 팀 모두에게 감사하다. 드디어 나의 ‘지적 위축’ 테스트가 끝났다. 건배!
<?xml:namespace prefix = "o" ns = "urn:schemas-microsoft-com:office:office" />
관련링크
댓글목록

ace나그네님의 댓글
ace나그네 작성일
한국은 애초에 회식에서 폭탄주와 술 게임이 있는 나라이기 때문에 위 정책을 실제로 실행할 것 같지는 않습니다. 제가 최근 회식 문화 추세를 잘못 알아서 한국 사회가 과음주자와 정상 음주자의 경계를 명확히 나누는 곳이라고 해도, 치료가 필요한 환자에게 장기 이식을 못하게 막는다는 것이 실제로 가능할지는 잘 모르겠습니다. 찬성
측은 아무래도 알코올 중독에 대한 치료 없는 단순 간 이식은 망가뜨리는 간만 늘리고 실제로 구할 수 있는 환자를 못 구한다는 이야기를 할 것이고, 반대 측은 과다 음주는 기본적으로 개인 책임이 아니라 술을 권하는 사회 구조적인 문제라고 이야기하거나, 개인 책임이더라도 당연히 인간으로서 치료를 받을 권리가 있다는 식의 이야기를
할 것 같습니다. 아래에 관련 자료를 소개합니다.
1. 학위논문
(1)알코올성 간질환 환자에 있어 간이식 수술 후 임상 경과 및 음주 습관 재발에 대한 분석 http://www.riss.kr/link?id=T10906171
(2)보조생식술을 시행받은 불임 환자의 생활 습관 및 임신율 http://www.riss.kr/link?id=T11552581
2. 책
(1)(유럽 최고의 간박사 이종수교수의) 새로쓰는 간 다스리는 법 http://www.riss.kr/link?id=M7226747
(2)담배(흡연)의 폐해와 금연방법 : 노순규 원장의 130권째 저서 http://www.riss.kr/link?id=M12902871
(3)진료실에서 다 하지 못한 肝이야기 http://www.riss.kr/link?id=M10366262
(4)세계의사회 윤리선언문집 : 2002.1 http://www.riss.kr/link?id=M8306289
(5)대한민국 40代 사망보고서 : 잘못된 생활습관이 죽음을 부른다 http://www.riss.kr/link?id=M10517187
(6)(중년남성 목숨을 소리없이 앗아가는)간암 http://www.riss.kr/link?id=M11891847
(7)간 다스리는 법 http://www.riss.kr/link?id=M8279850
(8)內望顯 : 사람은 사회를 만들고 사회는 질병을 키운다 http://www.riss.kr/link?id=M13209039
3. 학술논문
(1)알코올성 간질환 환자에 있어 간이식 수술 후 임상 경과 및 음주 습관 재발에 대한 분석 http://www.riss.kr/link?id=A7507449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