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judicator Feedback Series 27/75 > 영어토론방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영어토론방Home>영어토론방


Society Adjudicator Feedback Series 27/75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ace나그네
댓글 1건 조회 433회 작성일 16-12-31 23:39

본문

Debate Topic1: Do you agree or disagree the below motion? Why/Why not?
토론 주제 1 : 아래 주제에 찬성하는가? 반대하는가? 각각의입장을 취했을 때 그 이유는 무엇인가?

Debate Topic 2 : If you translate below English adjudication feedback to Korean,what is the desirable wayof translation? Does translation should reflect the original English contexts and grammar as much as possible?Orthetranslation should reflect the grammar and contexts in Korean?
토론 주제2:아래의 심판 판정문 원문 원본을 한국어로 번역할 때, 영어 원문의 문법과 맥락, 의미에 보다충실하게 번역해야 하는가? 한국어로 번역하는 이상 한국어 문법과 맥락에 맞게바꾸는 것이 바람직한가?

Discussion Topic : How can you translate better than below 1st Korean draft? Please suggest your alternative translation.
토의 주제 : 아래의 한국어 번역문보다 어떻게 더 나은 번역을 할 수 있겠는가? 대체할 만한 번역문을 제시해보시오.


http://debatewise.org/debates/2335

Motion : Social Housing Should Be Assigned In A Way Which Engineers Mixed Race Communities

Defending : New Zealand, Opposing : Czech Republic

All the Yes points

1.Migrants and the Threat of Marginalisation.

2.Benefits of forced interaction

3.Safer communities together.

4.Why social integration is a good policy

5.Racial Harmony in the Long Term

6.Racism is wrong, Governments need to work towards integration.

7.Proposition Summary

All the No points

1.Proposition Model Is Unclear & Unfeasible

2.Forced Cohabitation Alienates Everyone

3.Unjustified Undue Government Control

4.Supports Racial Stereotyping

5.Moral Importance of the Freedom of Choice

6.Practical Harms of Violating Volition

7.Summary: Czech Republic

Decision by Adjudicator: Adjudicator Team 1

Loke Wing Fatt

After sleeping over the debate a bit, I have decided to give it to the Opposition, the Czech Republic. The debate was very close. Both sides have fundamental problems in their case. For example, the Prop had a Model which was very unclear at the beginning. The Model was "patched up" along the way as the debate went on by the Prop. Finally, we discovered, all the Prop wanted was "merely" (my word) to insert a race quota, in addition to the other considerations when deploying the poor/new immigrants after they had successfully applied for government-subsided social housing schemes. On the other side, the Oppn was keen to debate in extremes, citing examples of Stalin's forced immigration and China's "Hanisation" of Tibet.

While the Proposition, in the end, was proposing a vague "soft model" case, the Opposition was content in kicking down the arguments of the other side without offering plausible alternative solutions to ensure racial harmony. The Proposition had a clear, hard stand on when Government could curtain individual choice for larger social policy goals when spending tax money. The Opposition's stand that the poor/immigrants' freedom to associate with their racial groups could have been balanced with a strong positive case on that how racial harmony could be attained without all the attendant harms they had enumerated against race-based, socially engineered mixed communities.

The debate suffered from a weak start by both sides, but it was more engagingly enjoyable as it proceeded. I learnt much from judging this WODC Final.

In the end, I gave the debate to the Opposition because:

1. The Opposition convinced me the Model would heighten racial tensions between people who were forced to co-exist in mixed communities, with good evidence ;

2. Conversely, the Proposition did not prove that forced cohabitation would, reasonably, result in the long-term goal of racial harmony they wished to achieved. There was no real substantiated analysis to back this crucial point up. They admitted that it was "counter-intuitive" to use race as a criteria for placement of the poor in social housing while trying to solve racial tensions, but could onl

3. The Opposition won the Choice/Volition exchange and persuaded me that the Model was presenting a false, coercive choice to the poor while the Proposition only response was that Government had a right to "bundle" its social policy goals when the poor come for assistance.

Opposition (Czech Republic) wins

-------------------------------------------------------------------------

Rose Helens-Hart

I cast my ballot for the opposition team from the Czech Republic. My decision hinged on two issues: can forced integration lead to cultural understanding and is it reasonable for racial discrimination/preference (depending on whose lens you look through) to accompany the utilization of a social service. It is not clear from the proposition’s arguments that forcing integration would lead to better ethic and cultural understanding. The Prop offers the example of desegregation of American schools but this example is not analogous to the situation that Prop’s case creates. In America there were laws in place to maintain segregation. When the laws were deemed unconstitutional, segregation became a choice. When black and white children did attempt to attend each other’s schools, it was their (or their parents’) choice not the government’s. The government was obligated to protect these children and also provide opportunities for other voluntary desegregation in the public school system (a social service). The Prop’s case does not provide opportunity for voluntary desegregation thus the opposition’s argument on choice and how actors should be willing to accept change in order for it to happen in a peaceful way becomes more likely to be true. Furthermorethese children were already “Americans,” thus the ethnic tension does not seem similar enough for me to accept it as proof that integration in this manner would be effective in providing a meaningful forum for cultural understanding. The Opp gives several examples of where integration has not been effective and adequately rebuts Props other couple examples such as Spain. The Prop also never explains why “assimilation” is a greater benefit to a migrant in low-income housing than living in a supportive network of individuals with whom they share a cultural history. The Opp at least tells me that migrants would feel happier and more secure in a homogenous community, which seems preferable to the strife they may endure being a minority in their neighborhood. Choice also comes into play in the second issue too. Initially, Prop characterized applying for public housing as a choice. If you believe it is a choice then it is more acceptable for the government to employ a policy of ethnic quotas because participates are willing and accept the conditions of receiving this social service. Opp states ,however, that when people apply for public housing, they are at the point where if they did not receive housing they would become homeless. Thus, public housing is not clearly a choice but a last resort. Prop does not directly respond to this point and so the government’s policy appears to be coercive and damaging. I do not really buy the slippery slope argument that this would lead to other racial discrimination and restriction of liberties but it does seem unwarranted for the government use poor individuals for this “social experiment,” to use Opp rhetoric, when there are not assured benefits and there are reasonable disadvantages. In reality, I would tend to side with that there are other choices to public housing than homelessness but no real “viable alternatives.” Absent clear rebuttal from the Prop I assume they agree with how the Opp characterizes the desperation of the individuals seeking public housing. Prop states that individuals are already limited in choice because they may not get placed in the houses they want just due to demand but then the government isn’t attempting to force them into a situation they may not desire and the perceived manipulation is no longer present. Opposition also used evidence and sources to their advantage and supported their logic while prop relied more on only logic. I thought the debate was close and that the Prop would have been advantaged by using more examples and explaining them. Opp could have explained the ethical and moral concerns of “ free choice.”

Opposition (Czech Republic) wins

Decision by Adjudicator: Adjudicator Team 2

Anne Valkering

The proposition did not propose any form of plan or explanation of mechanisms. This is problematic, because there are so many different forms of social housing programs, some of which grant significantly more freedom of choice than others. The lack of definition explains the different interpretation that opposition had from proposition, although this seemed unnecessary after the first discussions of the plan. In the end, however, it was the proposition that won the day, as they narrowly won both the practical arguments and the moral arguments that were set out. The proposition rightly concluded that the opposition accepted that there was little social interaction and that was not good. It then attempted to show in what way mixed neighborhoods would increase interaction particularly through day-to-day contacts in non-threatening situations. They developed a strong sketch of such situations, although the analysis of what this would do to prejudices could have been done much more systematically, particularly in the third section, where interaction will lead to better understanding and more positive feelings, because there is an incentive to like your neighbours and because there is interaction seemed to be the main line of argumentation. The opposition’s attack on the idea that interaction would produce more understanding consisted of a large number of claims supported by examples that were sometimes mere sentences in a whole section, sometimes the counterexamples and arguments would chip away at part of the argument, but not at the whole and in some cases there was little or no analysis beyond the claim and the example. The government provided more analysis of how their policy would improve the situation. On the other hand, the proposition should really have tried to interact better with the objections raised by opposition, instead of constantly trying to deflect them as irrelevant (which they tried in the case of the school queus, and the short-term versus long-term division of arguments, for example). Claiming that the proposition wins a proposal just because the opposition does not provide us with an alternative is not the strongest defence of a policy either as it never defends the strength of the proposed policy. The differences between different social housing programs and interpretations of the plan influenced how the proposition and opposition dealt with the moral argumentation of how a government can treat its citizens, or in this case, citizens that are dependent on social housing. The proposition’s statement that the government can do this because it is another social good and these people choose to depend on social housing anyways so have little choice must have been informed by a non-Continental European social housing policy, for example, and did not really deal with the more nuanced parts of the opposition’s attack. The opposition, on the other hand, chose to establish the strongest negative consequences possible for this motion. Instead of focussing on argumentation hinted at in their own destructive arguments (like the fact that this could increase racial tensions), they tried to establish how this was similar to other, horrible regimes in the world. Although understandable, it also moved the debate from one discussing whether this policy was morally right, to one that dealt with how similar or non-similar this policy was to other horrible policies, without too much of a focus on why these policies were horrible. For example, the discussion of why this policy goes against the Kantian principle of never using people as means to an end was great, but the proposition really did need to explain why we can never use people as means to ends, particularly when this is exactly what opposition claimed we should do as it is the only way to promote change. Overall, the proposition set up a solid analysis of social processes in neighborhoods with social housing. The opposition was able to chip away at these processes, but their attacks were more shallow than the proposition’s argumentation. This could have been sufficient, however, if it were not for the fact that the opposition, unfortunately, shot itself in the foot by choosing to make the proposition’s proposal seem worse than it actually was, as proposition was able to point out repeatedly. The problematic non-definition by proposition was not sufficient reason to me to compensate opposition for this mistake.

Proposition (New Zealand) wins

-------------------------------------------------------------------------

Andy Hume

Another impressive debate for which both teams deserve a great deal of credit.

After some deliberation I award this debate to the Opposition team. To me the burden on the Prop team was twofold; (a) does Government have the right to engineer communities in order to achieve desirable social goals, and (b) if so, will this policy have that effect in practice? I felt that the Prop made a fair attempt to justify the former contention, but ultimately failed to prove the latter.

Prop’s main justification for the first plank of the case was that people applying for social housing are basically asking for taxpayers’ money, and that they should therefore accept whatever strings may be attached. This is fine in as far as it goes, but it’s not a given that any set of criteria or conditions that the state chooses to attach to such aid, however well-intentioned, are thereby justified. Personally I thought that while the Prop’s reasoning was sound on this point, they did not do enough to rebut the idea from Opp that we should not treat people as means to an end, no matter how desirable.

As for the second element of the case, Prop’s description of the process by which integration leads to more harmonious race relations was clear and quite compelling and the example of bussing in the US South was an excellent one - but I felt that they failed to deal with the quite detailed rebuttal of Opposition since when does forcing disadvantaged minorities together necessarily lead to better inter-community relations? What about the experience of immigrants such as Poles to the UK, with the resulting resentment from the native population towards those they felt were getting preferential treatment from the state? Is forced integration, with its concomitant scramble for resources and benefits from government, not likely to lead to more gang issues, not fewer? In the end, I felt that the Prop had too few answers to these questions.

Opposition win partly through the strength of their rebuttal and partly through their strategic choices in the debate they consistently chose to attack the strongest and most crucial struts of the Proposition case. For example, they strongly hit the idea of forced integration as necessarily a beneficial mechanism for improving race relations, and were strong on the issue of resentment among the ethnic majority. Vitally, they also attacked the idea of racial stereotyping and giving governments excessive control over people’s lives ideas that were, for me, only weakly rebutted by Prop.

I felt that the two major examples they chose were not the best it seemed to me that comparing a little bit of heavy-handed but well-meaning social tinkering with Stalin’s population transfers was, to put it mildly, overblown. But overall Opp did enough, in my opinion, to show significant harms in the Prop case and cast doubt on the foundations on which it rested. A tight Opp win in a very good final.

Opposition (Czech Republic) wins

-------------------------------------------------------------------------

Fred Cowell

This was a proposition win but only just. Proposition should, in my view, count themselves lucky that opp chose some extreme examples and after making some, initially very spirited attacks became a mire of contradictions. That being said both teams out up a tight fight and argued well.

There appears to be a problem in props contention about marginalisation. Firstly opposition points out, this is just a contention that is not really justified and additionally presupposes multicultural equilibrium where all races are represented equally.

There is also a propensity on props part to assume that some of the more controversial parts of their policy will be ‘cost free’ for example the argument in relation to integration does not really engage with the consequences of backlash from such integration. Opposition is correct to outline some of the harms from this policy, such as the harm that is caused by the only subjecting those claiming social housing to such policies.

The chief problem is that these are throw away objections which are never really analysed. Proposition also relies heavily on teleological argumentation which presupposes the eventual striving toward or realisation of racial harmony without any analysis as to how

-------------------------------------------------------------------------

Therefore, the final scores are New Zealand 2 Czech Republic 3

And the winners of the 2010 World Online Debating Championship are...

Czech Republic

Congratulations to them and to New Zealand for a hard fought final.


<번역자 : 이민섭>

http://debatewise.org/debates/2335

Motion : 기술자들이 공공지원주택을 설계할 때 인종이 혼합된 공동체를 이루도록 해야 한다.

찬성 팀 : 뉴질랜드, 반대 팀 : 체코 공화국

찬성 팀의 요점

1. 이주자들과 소외의 위협

2. 상호 교류의 강제로 인한 이익

3. 함께 만들어가는 보다 안전한 공동체

4. 왜 사회적 통합이 좋은 정책인가?

5. 장기적 관점에서의 인종 간 화합

6. 인종주의는 잘못되었고, 정부들은 통합을 위한 작업을 해야 할 필요가 있다.

7. 찬성 팀의 요약정리

반대 팀의 요점

1. 찬성 팀의 정책 방안은 불분명하고 실현불가능하다.

2. 강제된 공동 거주는 모든 사람들이 서로를 경원시하게 만든다.

3. 정당화 될 수 없는 정부의 과도한 통제

4. 인종에 관련된 고정관념만 뒷받침할 뿐이다.

5. 선택의 자유에 걸려 있는 도덕적 중요성

6. 자기 결정권을 침해함에 따르는 실질적인 피해들

7. 요약정리 : 체코 공화국

심판 판정 : 심판단 제1팀

Loke Wing Fatt

잠시 이 토론에서 관심을 떼고 있다가, 체코 공화국, 반대 팀의 손을 들어주기로 결정했다. 이번 토론은 굉장히 근소한 차이로 판가름 났다. 양 팀 모두 그들의 주장에 근본적인 문제점들이 있었다. 예를 들어, 찬성 팀의 정책 방안은 시작부터 굉장히 불분명했다. 정책 방안은 토론이 진행되는 동안 찬성 측에 의해 “임시방편”처럼 제시되었다. 마지막으로, 우리가 발견했듯이, 찬성 팀은 “단지”(내 자신의 말로 하자면) 인종 당 인구 할당량만 설정하고 싶어 했고, 그들이 성공적으로 정부가 보조하는 공공지원주택계획을 정착시킨 후 가난하고 새로 전입하는 사람들을 어떻게 효율적으로 배치할 것인가와 같은 다른 고려 사항들을 빼먹은 것 같다. 반면에, 반대 팀은 스탈린의 강제 이주나 중국이 티베트에서 벌이고 있는 “한화 정책”등과 같은 사례들을 인용하며 토론을 극단적으로 만들었다.

찬성 팀이, 끝내, 모호하고 “물렁한 정책 방안”을 제시하면서 주장을 펼쳤다면, 반대 팀은 인종 간의 조화를 보장할 만한 합당한 대안을 제시하지 않고 상대측의 주장들을 부숴버리려고 했다. 찬성 팀은 정부가 세금을 사용함에 있어서 보다 큰 사회 정책 목표를 추구해야 할 때라면 개인의 자유를 제한할 수 있다는 데 분명하고, 단호한 입장을 취했다. 반대 팀은 빈자들과 이민자들이 인종별로 모일 수 있는 자유가 있다는 점을 표명하여, 사회 공학적으로 혼합된 공동체들 때문에 발생하는 모든 실재하는 문제점들이 사실상 없을 수 있는지에 대해 균형 잡힌 주장을 제시했다.

이번 토론의 시작은 양 팀 모두 상당히 미약했지만, 토론이 진행될수록 보다 서로 대응하는 과정에서 묘미를 더해갔다. 이번 세계온라인토론대회 결승전을 판정하면서 많이 배웠다.

결국은, 반대 팀의 손을 들어줬는데 왜냐하면 :

1. 반대 팀이 찬성 팀의 정책 방안이 공존하고 섞이도록 강제된 공동체 내에서 인종 간 갈등만 증가시킬 뿐이라는 점을 좋은 증거를 제시하면서 납득시켰다 ;

2. 역으로, 찬성 팀은 공존을 강요함으로써, 논리적으로 당연하게, 그들이 성취하기를 원하는 장기 목표로서의 인종 간의 조화를 낳는다는 결과를 증명하지 못했다. 찬성 팀에게 이토록 중요한 요점을 뒷받침하기 위해 진짜로 효력 있는 증거들에 기초한 분석이 없었다. 인종 간의 갈등을 해결하기 위해 공공지원주택을 빈자들의 보금자리로 제공할 때 인종을 기준으로 이용한데 대해 그들 자신이 “직관적으로 맞지 않다”고 인정했지만, ….

3. 반대 팀은 선택과 자유의 문제에서 이기고 빈자들에게 강압적인 선택을 요구하는 정책 방안이 잘못됐다고 설득한 게 먹혔는데 그동안 찬성 팀은 단지 빈자들이 지원이 필요해서 찾아올 때면 정부가 해당 사회 정책 목표에 “부가할” 권리를 가진다고만 대응했을 뿐이다.

반대 팀(체코 공화국)이 이겼다.

-------------------------------------------------------------------------

Rose Helens-Hart

반대 팀인 체코 공화국에게 투표했다. 판정은 크게 두 가지 사안에 의해 좌우되었다: 강제 통합이 문화에 대한 상호 이해로 이어질 수 있는지의 여부와 인종 간의 차별이나 선호가(여러분이 누구의 시각으로 보느냐에 달린) 사회 서비스의 활용을 같이 다루는 것이 합당한가의 여부이다. 강제 통합이 보다 나은 윤리적 부분과 문화적 부분에서의 상호 이해를 증진시킬 것인지에 대한 찬성 팀의 주장들이 불분명했다. 찬성 팀이 미국의 학교들이 인종 간 분할을 철폐하고 있다는 사례를 제시했지만 이 사례로는 찬성 팀의 주장이 제시한 상황에 대한 유추가 되지 않는다. 미국에서는 분리 정책을 유지하는 법들이 존재했었다. 이 법들이 헌법에 반한다고 판결이 난 때부터, 분리는 선택이 되었다. 흑인과 백인 어린이들이 서로 상대방이 다니는 학교들에 등교하기 시작했을 때, 이는 그들의 (또는 그들 부모들의) 선택이었지 정부가 선택한 게 아니다. 정부는 공교육 체제 내에서(사회 서비스) 또 다른 자율적인 분할 철폐 움직임에 동참하는 이들 어린이들을 지키고 기회를 제공하는 의무가 있었다. 찬성 팀의 주장은 자율적으로 분할을 철폐할 기회를 제공하지 않았고 따라서 반대 팀이 선택과 관련해 제시했던 주장과 행동 주체들이 평화적인 방법으로 해결하기 위해 변화를 어떻게 수용해야만 하는지에 대한 얘기가 보다 진실성이 있게 되었다. 더 나아가 - 이 어린이들은 이미 “미국인들”이었고 따라서 인종 갈등 문제에 있어서 찬성 팀이 제시한 방식대로의 통합이 문화적 상호 이해를 위한 의미 있는 공론의 장을 제공하는데 효과적이라는 것을 뒷받침할 증거라고 인정하기에는 그 유사성이 보이지 않는다. 반대 팀은 통합이 효과적이지 않은 것을 증명하는 사례를 여럿 제시하고 찬성 팀이 스페인과 같이 따로 제시한 몇 개의 사례들에 대해 효과적으로 반박을 했다. 찬성 팀은 또한 왜 “동화”가 저소득 이민자들의 거주에 있어 문화적 역사를 공유하는 협조적인 개인들의 연결망 속에서 사는 것보다 더 큰 이익이 되는지 설명하지 않았다. 반대 팀은 최소한 이주자들이 그들의 이웃 속에서 소수자로서 겪는 갈등을 감내하기 보다는, 그들이 보다 선호하는 단일 공동체 속에서 사는 것이 보다 행복하고 안전함을 느낄 것이라는 얘기는 했다. 두 번째 사안에서 선택이 또한 중요한 기능을 했다. 처음에, 찬성 팀은 공공지원주택의 적용이 선택의 성격을 띠고 이뤄질 거라고 얘기했다. 만약 찬성 팀이 이걸 선택이라고 믿는다면, 이주자들은 이런 사회 서비스를 받는 조건에 대해 자발적으로 동의할 것이기 때문에 정부가 인종 간 할당량을 부여하는 정책이 보다 받아들여질 수 있는 선택이 될 것이다. 반대 팀이 말했듯이, 하지만, 사람들이 공공지원주택에 지원할 때, 만약 그들이 주택을 지원받지 못하면 그들이 무주택자가 된다는 문제가 있다. 그래서, 공공지원주택은 명백히 선택사항이 될 수 없고, 마지막에 기댈 수밖에 없는 곳이 된다. 찬성 팀은 이 지적에 대해 직접적인 대응을 하지 않았고 따라서 찬성 팀의 정책 방안은 강압적이고 해로운 것으로 드러났다. 찬성 팀의 정책 방안이 또 다른 인종 차별이나 자유의 제한이라는 미끄러진 비탈길 논증을 그다지 높게 사진 않지만, 찬성 팀이 확실한 이익도 없고 고려될 만한 불이익이 존재하는 상황에서 반대 측의 말마따나 가난한 사람들을 이용한 “사회적 실험”을 하고 있다는 사실이 부당해 보인다. 현실적으로, 무주택자가 되는 것 이외에 공공지원주택 말고 다른 선택지가 있다는 데 손을 들고 싶지만 실제적으로 “실행 가능한 대안들”이 없었다. 찬성 팀의 분명한 반박이 없었기 때문에 반대 팀이 공공지원주택을 구하는 개인들이 절박한 상황 속에 놓여 있다고 형상화한 것을 찬성 팀이 동의한 것으로 가정했다. 찬성 팀은 개인들이 원하는 기간 동안에 그들이 머물 집이 없기 때문에 그들은 이미 제약받고 있다고 언급했으나 정부가 그들이 원하지 않는 상황을 강제하려 시도한 적도 없고 명백한 개입이 더 이상 존재하지도 않는다. 찬성 팀이 오로지 그들의 논리에만 보다 의지하는 동안 반대 팀은 증거와 자료 출처들을 이용해 이점을 취하고 그들의 논리를 뒷받침했다. 찬성 팀이 보다 많은 사례들을 이용하고 그것들을 설명했으면 보다 우세할 수 있었기에 이번 토론은 꽤나 근소한 차이였다는 생각이 든다. 반대 팀은 “자유로운 선택”에 대한 윤리적이고 도덕적인 문제들에 대해 조금 더 설명할 수도 있었는데 못했다.

반대 팀(체코 공화국)이 이겼다.

심판 판정 : 심판단 제2팀

Anne Valkering

찬성 팀은 그 어떤 형태의 계획이나 원리에 대한 설명도 제시하지 않았다. 이건 문제가 되는 것이, 왜냐하면 공공지원주택 프로그램에 관련해서 너무나 많은 형태의 방안들이 있고, 몇몇 방안들은 다른 방안들에 비해 명백히 구별될 정도로 보다 많은 선택의 자유를 부여하기 때문이다. 비록 계획에 관련된 첫 번째 논의 이후에 불필요해지긴 했지만, 정의의 부재는 반대 팀이 찬성 팀과는 다른 해석을 한 이유를 설명해 준다. 결국은, 하지만, 제시가 끝난 실용적 측면에서의 주장들과 도덕적 측면에서의 주장들 모두에서 찬성 팀이 근소한 차이로, 오늘의 승리자가 되었다. 찬성 팀은 반대 팀이 현 상황에서 사회적 교류가 없다시피 하고 그게 좋지 않다는 점을 받아들였다고 옳게 결론 내렸다. 위협적이지 않은 상황 속에서 인종이 혼합된 이웃들이 매일 매일 서로 얼굴을 보는 것을 통해 어떻게 상호 교류를 증가시키는지 보여주고자 노력했다. 비록 그 방안이 편견에 끼치는 영향에 있어서, 특히 네 이웃들과 같은 사람들에게 끼치는 유인책과 상호 교류가 그 주장의 핵심 구절이었기 때문에 상호교류가 보다 나은 상호 이해과 긍정적인 감정을 이끌어낼 것이라고 얘기한 세 번째 부분에 관련해서, 좀 더 심도 있는 분석이 필요할 수 있었지만, 어쨌든 찬성 팀은 이런 상황에 대한 강력한 밑그림을 그리고자 노력했다. 상호 교류가 보다 많은 상호 이해를 만들어낸다는 주장에 대한 반대 팀의 공격은 때때로 단지 한 부분 전체가 문장들의 조합으로 그치는 사례들로 뒷받침되었거나, 때때로 반대 팀이 찬성 팀의 특정 주장을 날려버릴 만한 반례나 주장을 제시했지만, 전체적으로 다 반박한 것도 아니고 어떤 경우에는 주장이나 사례를 넘어선 분석이 거의 없는 것들로 뒷받침된 다수의 주장들로 구성되어 있었다. 찬성 팀이 그들의 정책이 어떻게 상황을 개선할 것인지에 대해 보다 많은 분석을 제공했다. 반면에, 찬성 팀은 반대 팀의 반박에 대해 일관성이 없다고 계속 거부하는 대신에, 그 반박들에 대해 조금 직접적으로 대응하고자 노력했어야 했다(학교 내의 줄에 관련된 주장과, 단기간 대 장기간의 구분을 다룬 주장들, 예를 들어). 찬성 팀이 그들의 정책을 가장 강력한 방법으로 변호하지도 않았고 그들이 제안한 정책의 강점을 옹호하지도 않았음에도 그들이 이겼다고 주장할 수 있는 이유는 단지 반대 팀이 대안을 제시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서로 다른 공공지원주택 프로그램들과 그리고 계획에 대한 해석의 차이점들은 어떻게 정부가 그들의 시민들을 대할지, 또는 이 경우에, 공공지원주택에 의존하는 시민들에 대해 찬성 팀과 반대 팀이 관련된 도덕적 주장들을 어떻게 다뤄 나갈지에 영향을 미쳤다. 찬성 팀의 주장은 그들의 정책이 또 다른 공공선으로 이어지고 공공지원주택에 의존하는 사람들은 어찌되었든 다른 선택지가 없어서 그 선택밖에 할 수 없기 때문에 정부가 찬성 팀의 정책을 실행할 수 있다는 것인데, 비유럽 대륙 국가들의 경우를 상기시켜줬어야만 했고 반대 팀의 공격에 담긴 보다 미묘한 부분들을 제대로 다루지도 않았다. 반대 팀은, 반면에, 이번 토론 주제와 관련해서 발생 가능한 최악의 결과를 보여주고자 했다. 그들 자신의 파괴력 있는 주장들에 논증을 집중하는 대신에(토론 주제가 인종 간의 갈등을 증가시킬 수 있다는 것과 같은 사실들), 그들은 이 정책이, 세계의 끔찍한 정권들이 행하고 있는 정책들과 얼마나 비슷한지 보여주고자 했다. 비록 이해는 가지만, 반대 팀의 이러한 시도는 토론 주제에서 다루는 정책이 도덕적으로 정당하냐는 문제에서, 왜 이 정책들이 끔찍한지를 얘기하지도 않고 이 정책이 다른 끔찍한 정책들과 얼마나 비슷하고 안 비슷한지를 따지는 것으로 토론의 초점을 옮겨버렸다. 예를 들어, 사람들을 수단이 아닌 목적으로 대우하라는 칸트의 원리에 이 정책이 왜 반할 것인지에 대한 논의를 한 것 자체는 훌륭했지만, 특히 반대 팀이 우리가 이 일을 반드시 해야 하고 이 방법만이 변화를 이끌어낼 수 있는 방법이라는 주장을 한 이상 찬성 팀은 왜 우리가 사람들을 목적을 위한 수단으로 이용해서는 안 되는지 설명할 필요가 있었다. 전반적으로, 찬성 팀은 찬성 팀은 공공 지원 주택에 얽힌 이웃 간의 사회적 상호작용에 대해서 탄탄한 분석을 제시했다. 반대 팀은 이 주장을 조금씩 깎아 내릴 수 있었지만, 그들의 공격은 찬성 팀의 주장이 다룬 것보다 그 대상 범위가 좁았다. 반대 팀이 이 전략을 취한 것이 충분할 수도 있었지만, 즉, 찬성 팀의 제안이 실제 그러한 것보다 상황이 더 악화될 것이라는 식으로 공격했던 것은, 사실 찬성 팀이 그 부분을 반복적으로 지적할 수 있는 한 충분하지 않았다. 찬성 팀이 정의를 제대로 하지 않은 문제가 반대 팀이 저지른 실수를 충분히 보상해줄만한 이유는 되지 못했다.

찬성 팀(뉴질랜드)이 이겼다.

-------------------------------------------------------------------------

Andy Hume

양 팀 모두 정말 잘 했다는 칭찬을 받을 만큼 굉장히 감명 깊었던 토론이었다.

숙고를 조금 한 결과 반대 팀이 이겼다는 생각이 들었다. 내 생각에 찬성 팀의 증명 부담은 두 가지이다. (a)정부가 바람직한 사회적 목표를 위해서 공동체를 설계할 수 있는 권리를 갖고 있는가, 그리고 (b)만약 그렇다면, 이 정책은 실제로 효과가 있는가? 찬성 팀이 전자를 증명하고자 하는 노력은 충분히 기울였지만, 후자를 증명하는 데에는 결국 실패했다는 느낌이 들었다.

첫 번째 증명 부담에 대한 찬성 팀의 주된 정당화 논리는 공공 지원 주택에서 사는 사람들은 기본적으로 납세자들이 낸 돈의 혜택을 받는 것이고, 따라서 그들은 그 어떤 조건이 붙든 간에 그 조건을 받아들여야 한다는 것이다. 여기까지는 괜찮았지만, 정부가 비록 의도가 좋다고는 하지만 무슨 기준과 조건 하에서 그런 종류의 조건을 덧붙여야 하는 지를 정당화해 줄 만한 설명이 주어지지 않았다. 개인적으로 이 사안에 대한 찬성 팀의 논증이 합당하다는 생각은 들었지만, 얼마나 바람직하든 간에 인간을 특정한 목적을 위한 수단으로 취급해서는 안 된다는 반대 팀의 주장에 대해 찬성 팀은 충분한 반박을 하지 않았다.

두 번째 증명 부담에 대해서, 통합이 인종 간의 관계를 보다 조화롭게 만들어나가는 그 과정이 분명하고 꽤나 설득력 있게 묘사되었고, 미국 남부에서 다인종 통합 교육을 위한 버스 통학제를 실시했던 사례를 제시했던 것은 정말이지 훌륭했지만, 찬성 팀은 반대 팀이 꽤나 자세하게 제시했던 반박을 제대로 다루지 못했다는 느낌이 들었다. 차별 받았던 소수자들을 강제적으로 같이 살게 만드는 것이 공동체 내에서 인종 간의 관계를 더욱 낫게 만든 적이 도대체 언제였는가? 폴란드 국민들이 영국으로 이주했을 때, 영국인들은 그들의 정부가 폴란드인들에게 우선권을 주고 있다고 생각하면서 분노하는 결과를 낳지 않았는가? 강제된 통합이 정부로부터 주어지는 자원과 이익에 대한 쟁탈전을 수반한다면, 패거리 문제가 줄었으면 줄었지 더 심해질리 만무하지 않은가? 결국, 내 생각에 찬성 팀이 이 질문들에 대해 거의 대답을 하지 않았다.

반대 팀은 그들의 반박이 가져다 준 힘과 토론 내에서 그들이 선택한 전략적 선택들이 그들의 승리에 부분적으로 기여했다. 그들은 찬성 팀 주장에서 가장 강력하고도 가장 중요한 버팀목을 끊임없이 공격했다. 예를 들어, 그들은 강제된 통합이 인종 간 관계를 개선하는 데 있어서 이롭고도 필요한 문제 해결 방법이라는 주장을 강하게 공격했고, 이를 통해 다수 인종 집단의 분노라는 문제에서 강세를 보였다. 근본적으로, 그들은 또한 인종적 고정 관념 형성 문제와 사람들의 삶에 대해 정부에 과도한 통제권을 주는 것을 또한 공격했다. 이 주장들은, 내가 보기엔, 찬성 팀의 반박이 매우 약했다.

내 생각에 반대 팀이 제시했던 두 개의 주된 사례들은 최선의 선택이 아니었다. 내가 보기에는 약간 가혹하지만 좋은 의도로 시행하는 사회적 땜질과 스탈린의 인구 이주 정책을 비교하는 것은 조심스럽게 말하자면, 잔뜩 부풀려졌다. 하지만 반대 팀은 찬성 팀 주장이 가져다 줄 중차대한 해악을 충분히 보여주고 찬성 팀의 주장이 기댈 수 있는 토대가 무엇인지 의문을 제기했다. 굉장히 좋은 결승전이었고 반대 팀이 정말 근소한 차이로 이겼다.

반대 팀(체코 공화국)이 이겼다.

-------------------------------------------------------------------------

Fred Cowell

찬성 팀이 이기긴 했지만 겨우 이겼을 뿐이다. 내 시각에서 찬성 팀을 보았을 때, 반대 팀이 몇몇 극단적인 사례들을 제시하고, 모순의 구렁텅이를 만들어내는 굉장히 열정적인 공격을 단행한 것 때문에 찬성 팀에게 운 좋게 작용했다는 점을 반드시 인식해야 한다. 하지만 양 팀 모두 힘든 싸움을 했고 주장들을 잘 펼쳤다.

소외와 관련해서 찬성 팀이 내세운 주장에 문제점이 발견되었다. 우선 반대 팀이 지적하듯이, 이건 모든 인종이 동등하게 대표되는 다문화적 평형이 정당화 되지도 않았고 추가적으로 전제되지도 않은 단지 주장일 뿐이라는 점이다.

찬성 팀은 또한 그들 정책의 보다 논쟁적인 부분 몇몇이 ‘비용 부담 없다’고 가정하는 경향을 보였는데 예를 들어 찬성 팀은 통합에 얽힌 사회관계에 대한 주장을 할 때 이런 종류의 통합에 대한 반발이 가져다 줄 결과에 대해 제대로 대응하지 않았다. 반대 팀은 찬성 팀의 정책이 가져다줄 몇몇 해악에 대해 옳은 밑그림을 그렸는데, 예를 들자면 이런 종류의 공공 지원 주택의 수혜를 받는 사람들 몇몇 때문에 발생하는 문제들이 될 수 있다.

여기서 가장 큰 문제는 제대로 분석되지 않은 부분에 대해 그들의 반박 기회를 허비했다는 것이다. 찬성 팀은 또한 그들의 방안이 인종간의 화합을 실현시키고자하는 궁극적인 노력이라고 주장하면서도 어떻게 해서 그런 결과를 낳는지에 대한 분석이 없어 결국은 목적론적인 주장 전개에 엄청나게 의지했다.

-------------------------------------------------------------------------

따라서, 최종 판정은 뉴질랜드 2명 지지 대 체코 공화국 3명 지지이다.

그리고 2010년도 세계온라인토론대회의 승자 팀은...

체코 공화국이다.

이번 결승전에서 정말 치열하게 토론해준 체코 공화국과 뉴질랜드에게 축하 인사를 건넨다.

댓글목록

profile_image

ace나그네님의 댓글

ace나그네 작성일

한국은 인종 간 갈등을 미국에서처럼 주류 언론에서 다루는 나라는 아닙니다. 다만 인종이란 요소를 배제할 경우, 소득 수준 등이 다양한 사람들이 한 지역이나 주거 단지 등에 모여 살게 하면서 사회적 통합을 강화하려는 시도는 많이 있었고, 이와 관련된 자료는 꽤 찾을 수 있었습니다. 학위논문과 책의 경우는 '공공', '주택', '혼합', 공동체', '지원' 이라는 5개의 검색어를 사용했으나, 이 경우에는 국내 학술논문에서 관련 논문을 찾을 수 없어 학술논문 검색시에는 '지원'과 '공동체'를 제외했습니다. 과연 정부가 사회적 통합을 위해 공공지원주택에 사는 이들로 하여금 다른 계층 사람들과 어울려 살게 하는 것이 바람직한가, 이로 인해 사회가 보다 통합될 것인가 아니면 입주자간 갈등이 더 커질 것인가 등이 쟁점이 될 수 있습니다. 아래에 관련 자료를 소개합니다.

1. 학위논문
 (1)사회통합에 관한 혼합단지 내 주거만족도 조사 연구 : 수원 매탄 주공 그린빌 아파트를 중심으로 http://www.riss.kr/link?id=T11311502
 (2)재개발 아파트 내 임대주택혼합 유형 및 커뮤니티시설 배치유형별 주민인식에 관한 연구 : 서울시 주택재개발 아파트 임대주택중심으로 http://www.riss.kr/link?id=T11233277
 (3)장기공공임대주택 운영관리시스템 비교분석을 통한 개선방안 연구 : 한국, 영국, 일본을 중심으로 http://www.riss.kr/link?id=T11207164
 
2. 책
 (1)공동주택관리의 새로운 패러다임 http://www.riss.kr/link?id=M14370037
 (2)도시 주거공간의 사회통합 실현방안 연구 http://www.riss.kr/link?id=M11355627

3. 학술논문
 (1)사회적 혼합 유형별 공공임대아파트 거주자의 주거만족도에 관한 연구 : 서울특별시를 중심으로 http://www.riss.kr/link?id=A103304432
 (2)가구특성에 따른 국민임대주택단지의 혼합방안 선호도 차이 - 남양주별내와 고양삼송국민임대주택단지를 중심으로 http://www.riss.kr/link?id=A76473151
 (3)공공임대주택 사회적 혼합에 대한 시민들의 의식 http://www.riss.kr/link?id=A102598954
 (4)프랑스 공공임대주택의 사회적 변화에 관한 연구 http://www.riss.kr/link?id=A76487167
 (5)사회적 혼합 유형별 공공임대주택 거주자의 주거만족도에 관한 비교 분석 : 서울특별시를 중심으로 http://www.riss.kr/link?id=A103494196
 (6)보금자리주택단지의 사회적 혼합 방안 http://www.riss.kr/link?id=A82349262
 (7)공동주택의 사회적 혼합 형태별 입주자 만족도 분석 - 서울시 공공아파트를 중심으로 - http://www.riss.kr/link?id=A102412434
 (8)PFI와 계층혼합형 용도지역제에 기초한 임대주택 확충방안 http://www.riss.kr/link?id=A45011108
 (9)혼합주택단지에 대한 법적 연구 http://www.riss.kr/link?id=A102971693
 (10)공공임대주택과 사회적 배제에 관한 연구 http://www.riss.kr/link?id=A76470975
 (11)미국의 HOPE VI 프로그램을 통해서 본 사회적 혼합정책이 쇠퇴지역의 커뮤니티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http://www.riss.kr/link?id=A103120127
 (12)임대아파트 단지에 대한 사회적 배제의 실증연구 :  용인시 동백지구를 사례로 http://www.riss.kr/link?id=A77003849
 (13)서울시 혼합단지의 갈등사례 및 인식조사 연구 http://www.riss.kr/link?id=A102137426

영어토론방Home>영어토론방
Total 1,076건 26 페이지
영어토론방 목록
제목내용
701 Politics
Adjudicator Feedback Series 28/75
ace나그네 hit:412 01-01
댓글1
열람중 Society
Adjudicator Feedback Series 27/75
ace나그네 hit:434 12-31
댓글1
699 Society
Adjudicator Feedback Series 26/75
ace나그네 hit:431 12-25
댓글1
698 Wellbeing
Adjudicator Feedback Series 25/75
ace나그네 hit:400 12-25
댓글1
697 Culture
Adjudicator Feedback Series 24/75
ace나그네 hit:444 12-18
댓글1
696 Policy
Adjudicator Feedback Series 23/75
ace나그네 hit:406 12-11
댓글1
695 Wellbeing
Adjudicator Feedback Series 22/75
ace나그네 hit:459 12-10
댓글1
694 Environment
Adjudicator Feedback Series 21/75 
ace나그네 hit:697 12-05
댓글1
693 Culture
Adjudicator Feedback Series 20/75 
ace나그네 hit:501 12-03
댓글1
692 Wellbeing
Adjudicator Feedback Series 19/75 
ace나그네 hit:531 11-28
댓글1
691 Economy
Adjudicator Feedback Series 18/75 
ace나그네 hit:548 11-27
댓글1
690 Policy
Adjudicator Feedback Series 17/75
ace나그네 hit:493 11-20
댓글1
689 Economy
Adjudicator Feedback Series 16/75 
ace나그네 hit:590 11-20
댓글1
688 Society
Adjudicator Feedback Series 15/75
ace나그네 hit:485 11-18
댓글1
687 Society
Adjudicator Feedback Series 14/75 
ace나그네 hit:579 11-14
댓글1
게시물 검색

회원로그인

회원가입


운영자 SNS커뮤니티


https://www.facebook.com/groups/1987117991524411 https://www.facebook.com/acetraveler12 https://www.facebook.com/FlindersUniversityDebatingSociety https://twitter.com/acetraveler1

https://story.kakao.com/_d36z15 https://band.us/band/72550711 http://cafe.daum.net/acetraveler http://blog.daum.net/acetraveler

https://pf.kakao.com/_xocRxjK https://story.kakao.com/ch/toronsil2001 https://toronsil.tistory.com https://m.post.naver.com/acetraveler

https://blog.naver.com/acetraveler https://cafe.naver.com/toronsilsince2001 https://timeline.line.me/user/_dZVn8dOub0-9zubHJ-7LNDBubziVSzUT0jK3hn0 https://open.kakao.com/o/ghmiAdpc

https://www.instagram.com/acetraveler12 https://www.instagram.com/acetraveler12/channel/ https://www.tumblr.com/blog/toronsil https://www.youtube.com/channel/UChSQEwnxoTgesALkVkL_PKA

https://ameblo.jp/firest12/ http://acetraveler.blogspot.com/ https://www.reddit.com/user/acetraveler12 https://ok.ru/profile/585384389039

https://www.pinterest.co.kr/firest12/%ED%86%A0%EB%A1%A0%EC%8B%A4-%EC%82%AC%EC%9D%B4%ED%8A%B8/ https://vk.com/id614494296 https://vk.com/public198641212

https://tv.kakao.com/channel/3743718 https://www.linkedin.com/in/min-seob-lee-9a1b1729


사이트 정보

대한민국 토론커뮤니티-토론실 대표: 이민섭
☎ TEL 010-7670-7720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회기로 12길 37-5, 401호
Copyright © 2001 ~2025 토론실(toronsil.com) All Rights Reserved.
Mail : acetraveler@naver.com

여럿 빠뜨리고 벼락치기로 몰아서 몇 개 올리는 챗 GP…
대한민국 법원 주요 판결 2024년 6월 12일 아침 …
대한민국 법원 주요 판결 2024년 6월 10일 정리 …
미국 연방 대법원 주요 결정 2024년 6월 9일 정리…
프랑스 헌법재판소 (Le Conseil constitu…
독일 연방헌법재판소 주요 결정 2024년 6월 9일 정…
대한민국 법원 주요 판결 2024년 6월 9일 정리 결…
대한민국 법원 주요 판결 2024년 6월 6일 정리 결…
2024년 6월 1일 대한민국 헌법재판소 주요 결정 정…
2024년 5월 30일 대한민국 법원 주요 판결 정리 …
2024년 5월 27일 대한민국 법원 주요 판결 정리 …
2024년 5월 26일 대한민국 헌법재판소 주요 결정 …
2024년 5월 23일 대한민국 법원 주요 판결 정리 …
(펌글)법무부, ′24년 1차 불법체류 외국인 정부합동…
(펌글)장애인 편의시설 설치율 89.2%로 ‘18년보다…
조규홍 본부장 주재 중앙사고수습본부 제31차 회의 개최…
(펌글)장애인고용공단-아이티센그룹 ‘자회사형 장애인표준…
(펌글)신직업 및 유망산업 분야 현직자의 생생한 취업 …
(펌글)인공지능(AI) 시대의 청년취업, 「고용24」와…
(펌글)(참고) 고용률ㆍ경제활동참가율 3월 기준 역대 …
(펌글)(설명) 환경부는 기후적응법 제정을 추진한 바 …
(펌글)국립공원 암벽장 55곳 합동 안전점검
(펌글)(동정) 제2의 볼티모어 교량 충돌사고 대비한다
(펌글)통일부 북한정보포털 대문 화면
(펌글)2024.4.12. 대한민국 법원 대국민서비스 …
(펌글)발코니 벽 해체에 아랫집 소송···대법원 "위험…
(펌글)전세금 돌려준다 속이고 점유권 이전한 집주인, …
[펌글]국적 잃을뻔한 다문화 남매...대법 "주민등록증…
[펌글]2024. 4. 10. 각급법원(제1,2심) 판…
2022년 12월 9일(금) 일기(다이어트, 청취력 회…
2022년 12월 2일(금) 일기(다이어트, 청취력 회…
2022년 11월 28일(월) 일기(다이어트, 청취력 …
2022년 11월 22일(화) 일기(다이어트, 청취력 …
2022년 11월 17일(목) 일기(다이어트, 청취력 …
2022년 11월 12일(토) 일기(다이어트, 청취력 …
2022년 11월 7일(월) 일기(다이어트, 청취력 회…
2022년 11월 4일(금) 일기(다이어트, 청취력 회…
2022년 10월 17일(월) 일기(다이어트, 청취력 …
2022년 10월 10일(월) 일기(다이어트, 청취력 …
(토론실 사이트 펌글)IDS X KIDA Korea 2…
2022년 9월 24일(토), 25일(일) 일기(다이어…
(토론실 사이트 펌글)IDS X KIDA Korea 2…
2022년 9월 21일(수), 22일(목), 23일(금…
2022년 9월 20일(화) 일기(다이어트, 청취력 회…
2022년 9월 19일(월) 일기(다이어트, 청취력 회…
(토론실 사이트 펌글)IDS X KIDA Korea 2…
2022년 9월 17일(토), 18일(일) 일기
2022년 9월 18일(일) 일기(체중변화 기록, 20…
(토론실 사이트 펌글)IDS X KIDA Korea 2…
2022년 9월 15일(목), 16일(금) 일기
Copyright © toronsil.com.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