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judicator Feedback Series 1/75 > 영어토론방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영어토론방Home>영어토론방


Society Adjudicator Feedback Series 1/75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ace나그네
댓글 2건 조회 762회 작성일 17-11-02 00:20

본문

http://debatewise.org/debates/984

Motion : ASSISTED SUICIDE SHOULD BE PERMITTED 2

Defending: Best of Both Coasts, Opposing: Phillips Academy's Philomathean Society

http://debatewise.org/debates/983

Motion : ASSISTED SUICIDE SHOULD BE PERMITTED 1

Defending: USA, Opposing: Team Adium - BD

Decision by Adjudicator: Jonathan Leader Maynard

This debate is being judged as part of a pair: Assisted Suicide Should Be Permitted 1 & 2. From the four sides between the two debates, I have been asked to select one team as winner. That decision is announced below - I encourage all teams, including the winning team, to read more than just the decision, for explanation and feedback.

Winning Team: STJ - New Kids on the Block (Yes Side, Debate 1).

General Comments:

These were two very high quality debates in argumentation, evidence, and sheer quantity of work by all those involved. The first and foremost criticism I would make of all four teams is an under-appreciation of succinctness. I am a rapid reader, and these two debates nevertheless took over two hours just to read through debate 2 was in particular guilty of this error. In written debates, the discipline of debaters must replace formal time-limits on speaking, but the point - retaining audience interest and avoiding needless repetition remains vitally important (so important that in spoken debating, it is not left up to the participants, but formally limited by the rules).

A related criticism is that all four teams displayed an excessive desire to respond to every single point (sometimes even every line of argumentation!) that their opponents made. This is unnecessary, adds vastly to the reading work for audiences/adjudicators, and occasionally forces the sides into making claims that are unpersuasive, just in order to say something in response to the other side. A more strategic approach is advisable - points can often be rendered irrelevant, outmanoeuvred or referenced back to earlier rebuttals. At times, they can simply be conceded without damage to ones case. Thinking about the significance and relevance of arguments, and spotting the most efficient way of dealing with them rather than necessarily the most exhaustive, is one of the many things which marks out debating and persuasion from academic report-writing.

I also think that both debates suffered somewhat from an almost complete failure to import ethical intuitions or precedents from the status quo as regards suicide more generally. All teams seemed, most of the time, to assume that assisted suicide was clearly distinct from suicide by healthy people. This was unfortunate for the debate.

Specific Feedback:

STJ-New Kids on the Block:

STJ won the debate on the basis of a persuasive and sophisticated account of autonomy, a relatively strong ability to present arguments succinctly, and a powerful, if somewhat irreverently introduced, summary. Good strategic concessions were made as relates to palliative care. The presentation of arguments was generally impressive.

That said, the discuss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law and medical ethics, and the debate that ensued with opposition, was rather confused. In both debates opposition denied that PAS was ever justified, such that the claim by STJ that specific cases could be recognised as such was not particularly relevant. In particular, the contributions made under Rebuttal: Law and Medical Ethics, deviated considerably from the original presentation of this argument, which seemed to be concerned simply with allowing an appreciation of the unique nature of individual cases. Lines like If laws truly were a precise barometer of ethics, the need to criminalize an action would not arise confused me this line seems to conflate ethics with beliefs about ethics and precise barometer with universal agreement. This whole discussion could have used some clearing up.

I would argue that greater succinctness would still be an improvement.

Team Adium BD (Adium hereafter):

Adium also showed a better appreciation of succinctness than the teams in debate 2, did some good work to undermine the practical benefits (organ donation etc.) that would yield from STJs policy, and set out a good overview of the problems of abuse that would result from the system.

However, Adium also contributed rather confused contributions to the law and ethics discussion. This debate is about what is ethical, and what should correspondingly be law. If a law doesnt accord with ethics, it seems it should be repealed. As such, I think this whole discussion merely detracted from what was in fact an ethical debate between the two sides. Adium mentioned that the state is capable, and at times better, to make decisions in regards to how people live their lives. This is clearly true, and conceded by STJ. However, Adium provided little compelling reason to believe that, independent of abuse (a separate point) that the state was better placed than an individual in the relevant circumstance of PAS and it is not the case that the state steps in wherever individuals harm themselves. In particular, in light of STJs presentation of ongoing life as often the greater harm, even with the best palliative care available, Adium did not do enough work to indicate why this analysis was false, and thus why the most responsible thing for the state to do was not to allow genuinely desirous individuals from being allowed to die. There was also too much reliance on arguments about palliative care arguments which were easily diffused by STJ by pointing out that improved palliative care was a) not incompatible with their argument, b) didnt address the problem of lives which, even with the best palliative care, may be unbearable, and c) didn't avoid the question as to why the decision should not still rest with the patient. A concluding summary, used by the other three teams, may have also been helpful.

Best of Both Coasts (BOBC hereafter):

BOBC frequently provided a very compelling analysis, and responses to Opposition arguments were effective. I was particularly pleased to see BOBC immediately and correctly dismiss the argument that assisted suicide was different from allowing unassisted suicide in that proposition forced doctors to take part.

But major problems for BOBC arose from the sheer length and number of contributions, and, compared with STJ, a weaker presentation of the argument stemming from the autonomy of the individual. As the debate went on, we repeatedly were going through the same material only at the end did it seem that the team's patience with Opposition ended and references to earlier arguments were finally introduced this happened far too late. Easy strategic moves such as the early and much more forceful emphasis of the compatibility of palliative care and assisted suicide, or the demonstration that problems with abuse would rule out many existing medical practices (which was eventually pointed out about two thirds of the way through the debate) should have been taken at the very first stage.

Also, oppositions burden was occasionally unfairly presented I was not convinced that opposition had to show an overwhelming social harm to oppose the policy; it could be opposed on the unethical nature of the act itself, violations of the Hippocratic oath and so forth. I was unconvinced of either the persuasiveness, but more definitely, the need, to invoke growing encroachments of the state over ones body as an argument in favour of this case. There seemed little reason why this offered any specific advocacy for assisted suicide.

Phillips Academys Philomathean Society (PAPS hereafter):

PAPS opposition started strongly, with good interrogation of BOBCs model, and the point of abuse was convincingly and thoroughly made initially. I appreciated PAPS approach early on of providing short summaries of their points at the top of entries.

However, PAPS were devastatingly excessive in the length and number of arguments many of which were repetitious. There was, significantly I feel, a contradiction that repeatedly appeared in PAPS case. Early on, PAPS stated however highly we value liberty, we value life above all else. At various points throughout the case they then conceded that it was perfectly ok for individuals to commit suicide, or even for medical treatment to cease and patients be allowed to die. If we genuinely value life above all else, these positions, or at an absolute minimum, the latter, could not be sustained the claim to autonomy would fall beneath the superior demand to value life. If PAPS is convinced that this is not true, an explanation of why not is needed. PAPS also frequently claimed that BOBCs case rested on a failure to ignore the third way of palliative care, and while I agree that BOBCs arguments early on did sometimes use excessively binary-sounding language, it should be clear that palliative care is not incompatible with the proposition case in this debate, and PAPS failed to respond adequately to the possibility that even with the best palliative care, some lives may be unbearably painful. Given PAPS concession that removing medical treatment and allowing a patient to die was acceptable, insufficient time was spent on explaining the ethical distinction between this act and actively assisting a patient in suicide. As mentioned in the feedback to BOBC, the claim that this distinction rests in the fact that allowing assisted suicide amounted to forcing doctors to help patients, was simply false, and was well responded to by BOBC. The failure to spell out the nature of the ethical distinction was particularly problematic given the huge amount of time PAPS spent discussing the problem with abuse, a problem that seems equally concerning in cases where doctors simply stop administering treatment at the patients request. If PAPS were fine with the latter, why was abuse uniquely a problem for assisted suicide? I also thought that liberty was occasionally invoked problematically, particularly in the argument about societys conscience, which I found deeply unpersuasive. If liberty consists in the adherence of an individual to societys majoritarian moral values, it appears a mendacious use of the term. I do think a good ethical problem was raised with the possibility of a need to prevent even autonomous choices leading to a later loss in autonomy, but this needed to be used more centrally and developed more fully.

Decision by Adjudicator: Tony Murphy

Of the two debates. overall, I agree with Johnny, I feel that New Kids on the Opp. were the strongest team. I think he has provided a very comprehensive analysis of the two debates,so I have just provided a few short notes on both. I would, however, like to emphasise his point on the need for succinctness.

In what was an interesting and clearly well argued and researched debate, I have decided to side with the Opposition. Generally, I feel that the Opposition engaged better, managing to advance their arguments, while simultaneously relating them back to the flaws of the proposition. I also felt that the standard of argumentation was slightly higher from the Opposition.

I especially liked the defence given fore the Ageism argument. I will mention however that I think the cheaper to kill? argument did need to be made better; while the section on doctors worrying about keeping costs down was persuasive to an extent, the point also seemed to argue that medical companies will now actively encourage patients to kill themselves, which seemed a little overly sensationalist.

I felt that the Proposition was hurt by the argument from the Opposition that the effects of PAS would harm not only those who seek death but also the professional integrity of 800,000 active physicians, serving to give the potential harm much wider scope. The response of the Proposition was to say we respect the rights of any physician to decline to offer assisted suicide, but this was not something which you had outlined in your model, a large oversight, which your response turned into something of a case shift. I considered whether it was enough to mention that PAS would be along similar regulatory lines as is practiced in the states of Oregon and Washington as well as the Switzerland and the Netherlands, but I feel that the role of doctors it too central to the debate to not make clear your position initially.

More generally, I would ask both teams to bear in mind that almost identical arguments were made several times by both, in both rebuttal and substantive. I think this may be a feature of the format, where time constraints are lessened, but please bear in mind that it damages the flow of arguments across the table and unnecessarily lengthened several responses.

<번역자 : 이민섭>

http://debatewise.org/debates/984

토론 주제 : 자살을 돕는 행위는 허용되어야 한다. 2

찬성 팀 : Best of Both Coasts, 반대 팀 : 필립스 아카데미 필로머시언 소사이어티

http://debatewise.org/debates/983

토론 주제 : 자살을 돕는 행위는 허용되어야 한다. 1

찬성 팀 : 미국, 반대 팀 : Team Adium - BD

심판 판정 : Jonathan Leader Maynard

이번에는 ‘자살을 돕는 행위는 허용되어야 한다’는 주제로 벌어진 토론 두 개를 놓고 심사를 했다. 네 팀이 벌인 두 번의 토론에서, 승리 팀을 하나만 골라야 했다. 판정 결과는 아래에 밝힌다. 승리 팀을 포함한 모두가 단지 결과만 볼 것이 아니라 설명과 피드백을 읽어볼 것을 권한다.

승리 팀 : STJ - New Kids on the Block (토론 1의 찬성 팀).

전반적인 평가 :

주장 전개, 증거 제시, 그리고 작업 분량 등 관련된 모든 점을 놓고 봤을 때 두 번의 토론 모두 그 수준이 굉장히 높았다. 네 팀 모두 간결하게 글 써야 한다는 점을 간과한데 대해서는 우선 지적하고자 한다. 난 빨리 읽는 편이다. 그런데도 토론 2만 읽는데 2시간 넘게 걸렸다는 점은 정말 문제다. 글로 하는 토론에서는, 말로 하는 토론에 적용되는 공식적인 시간제한이 없는 대신 토론자들이 스스로 자제력을 발휘해야 한다. 여기서 청중이 흥미를 잃지 않게 하고 불필요한 반복을 하지 않는 것은 정말 중요하다(이 부분이 정말 중요하기 때문에 말로 하는 토론에서는 참가자들에게 맡겨두지 않고 공식 규정을 통해 제한을 둔 것이다).

네 팀 모두 상대 팀의 모든 주장에 대해 일일이 대응하고자 하는 과도한 욕심을 부린데 대해서도 비슷한 이유로 지적하고자 한다(때로는 주장을 한 줄 한 줄 건드리기까지 했다). 정말 불필요한 게, 일단 심판과 독자들이 읽어야 할 분량이 엄청 많아진다. 단지 상대 팀에게 무언가 대응할 말을 만드느라고 그들의 주장이 가지는 설득력을 약화시키기도 한다. 여러분에게 권할만한 보다 전략적인 접근법이 있다. 주장은 종종 그보다 앞서 나왔던 반박에 엮여서 그 연관성을 잃어버리기도 하고 압도당하기도 한다. 때로는 그것들을 양보한다 하더라도 핵심 내용을 지키는 데 아무 문제가 없다. 단지 가장 철저하게 하려고만 생각하지 말고 주장들의 중요성과 관련성을 생각해서 가장 효율적인 방법으로 그것들을 다뤄라. 토론을 통한 설득이 학술적인 보고서 쓰기와 구분되는 지점 중 하나가 바로 이것이다.

두 토론 모두 현재 상황으로부터 윤리적 직관이나 선례를 끌어내는데 거의 실패했다. 그래서 마치 자살이 보다 일반적인 것처럼 여겨졌고 이로 인해 토론에 문제가 좀 있었다. 모든 팀들이 대부분의 경우 자살을 돕는 것과 건강한 사람들이 자살하는 것이 명백히 다르다고 가정했다. 이번 토론에서 이런 전제를 깔고 갔다는 점은 불운이었다.

구체적인 피드백 :

STJ-New Kids on the Block:

STJ는 자율성에 대해 설득력 있고 세련된 설명을 했고, 주장을 간결하게 제시하는 능력이 상대적으로 뛰어났으며, 강력하고도 약간은 빈정대듯 제시된 요약까지 곁들이면서 이번 토론을 승리로 장식했다. 임시방편이라는 주장과 관련해서는 전략적으로 양보하는 좋은 모습도 보여줬다. 제시된 주장들이 전반적으로 인상적이었다.

법과 의료 윤리의 관계에 대한 논의와 뒤이어 나온 반대 팀의 토론은 약간 혼란스러웠다. 두 토론 모두 반대 팀들은 의사가 자살을 돕는 것은 절대로 정당화될 수 없다고 주장했다. 하지만 STJ의 주장에서 제시된 특정한 상황에서는 반대 팀의 그 주장에서 관련성을 찾기가 어려웠다. 특히, 법과 의료 윤리에 대한 반박을 통해 만들어진 내용들이 원래 주장과 동떨어졌고, 이 때문에 각각의 사례가 특별한 속성을 지니고 있다는 점에 공감할 수 있게 되었다. 그 반박에서는, 윤리에 대한 신념들과 관련된 윤리와 보편적 동의에 대한 정확한 지표를 합쳐놓았다. 만약 법이 정말로 도덕원리를 정확하게 반영하는 지표라면, 특정한 행동을 범죄화할 필요성이 있다는 이야기가 날 혼란스럽게 하진 않았을 것이다. 이 부분에 대한 논의 전체가 지금보다는 보다 분명해질 필요가 있었다.

지금보다 더 간결하게 글을 쓴다면 분명히 더 좋아질 것이다.

Team Adium BD (Adium hereafter):

Adium 또한 2번 토론에 참가 했던 두 팀보다는 훨씬 간결하게 글을 썼다. 그리고 STJ 팀의 정책이 의도하는 실질적 이익들을(장기 기증과 같은) 어느 정도는 잘 반박했고, 그 시스템을 오남용해서 문제가 발생할 수도 있다는 큰 그림을 잘 보여줬다.

하지만, Adium 팀 또한 법과 윤리에 대한 논의를 할 때 혼선을 빚었다. 이번 토론은 무엇이 윤리와 관련되었고, 무엇이 법이 되어야 하는 가에 대한 것이다. 만약 법이 윤리와 일치하지 않는다면, 그 법은 폐지되어야 할 것처럼 보인다. 이런 식으로, 이 논의는 실제로 윤리적 토론에 참가하는 양측의 모습으로부터 동떨어져 있다. Adium 팀은 사람들이 그들의 삶을 어떻게 꾸려야 하는지를 결정할 능력이 국가에 있고 어떤 경우는 국가가 개인보다 그 결정을 더 잘 내린다는 언급을 했다. 이건 사실이고, STJ 팀도 이 부분에 동의했다. 하지만, Adium 팀은 오남용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별도의 주장) 자살을 돕는 것을 허용하는 것과 관련된 상황에서 국가가 개인보다 더 잘 결정할 수 있는 위치에 있다는 주장을 믿게 만들 만한 이유를 제시하지 않았다. 그리고 개인들이 스스로를 해하는 모든 경우에 국가가 개입하지도 않는다. 특히, 제아무리 최고의 고통 완화 처치를 통해 삶을 지속하더라도, 종종 결과가 더 안 좋게 된다는 STJ 팀의 이야기에 대해, Adium 팀은 왜 이 분석이 잘못되었으며, 개인은 진심으로 죽음을 원하는 상황에서 왜 다른 누구보다도 국가가 그 개인을 막아야 하는지에 대해 충분히 밝히지 않았다. 고통 완화 처치에 대한 주장에 지나치게 의존한 것은 문제였다. STJ 팀이 다음 일들을 하면서 그것들의 힘을 쉽게 분산시켜 버렸기 때문이다. STJ 팀은 향상된 고통 완화 처치가 첫째, 그들의 주장과 양립할 수 있는 것이며, 둘째, 최상의 고통 완화 처치도 사느냐 죽느냐는 문제는 해결 못하기 때문에 견딜 수 없는 상황에 놓일 수 있으며, 셋째, 왜 환자가 결정권을 가지면 안 되는지에 대한 질문을 피하지 않았다. 다른 세 팀도 결론이 포함된 요약을 하는 것이 도움이 될 터이다.

Best of Both Coasts (BOBC hereafter):

BOBC 팀은 종종 눈을 뗄 수 없게 만드는 굉장한 분석들을 제시했고, 반대 팀의 주장에 대해 굉장히 효과적으로 대응했다. 특히 찬성 팀이 의사들이 그 역할을 맡도록 강제했다는 점에서 타인에게 도움을 받아 행한 자살이 타인에게 도움을 받지 않은 자살을 허용하는 것과 다르다는 주장을 BOBC 팀이 즉각적으로 그리고 정확하게 묵살해버렸다는 점이 특히 만족스러웠다.

하지만 BOBC 팀의 내용물이 그 분량과 수가 너무 많은 게 일단 문제였고, STJ 팀과 비교했을 때 개인의 자율성에서 파생된 주장을 제시하는 데 있어 좀 약했다. 토론이 진행되면서, 같은 내용이 끝까지 반복적으로 나와서 반대 팀의 인내심이 떨어져 버렸고, 앞선 주장들에 대한 참고 자료들을 너무 늦게 제시했다. 쉽게 취할 수 있는 전략적인 움직임은 토론 첫 단계에 이뤄졌어야 했다. 이를테면 고통 완화 처치와 자살을 돕는 것이 양립할 수 있다는 점을 이른 시점에 보다 강조하거나, 오남용으로 인한 문제가 현존하는 수많은 의학적 처치를 불가능하게 한다는 점을 주장하는 것이(토론이 2/3 정도 진행되었을 때 나온 부분이긴 했다) 토론의 첫 단계에서 이뤄졌어야 한다는 것이다.

또한, 반대 팀이 져야 할 부담이 가끔 불공평하게 제시되었다. 해당 정책을 반대함으로 인해 압도적인 사회적 손실이 발생한다는 점을 반대 팀이 보여줄 의무가 있는지에 대해 의구심이 들었다. 행동 그 자체의 비윤리적 속성과, 히포크라테스 선서의 위반 등만 들어도 충분히 반대 의견을 펼 수 있는 것이다. 이 주장에 찬성하는 입장에서, 국가가 개인의 몸에 대해 지금보다 더 침해해도 된다는 언급은 설득력이 있어보이지도 않았고 그 필요성이 있다고 납득이 가지도 않았다. 자살을 돕는 것에 찬성하는 입장에서 왜 이 이야기가 나왔는지 그 이유를 찾기가 어려웠다.

필립스 아카데미 필로머시언 소사이어티 (PAPS hereafter):

반대 팀 PAPS는 강렬하게 시작했고, BOBC 팀의 모델에 의문을 잘 제기했을 뿐만 아니라 처음에 오남용에 대한 주장을 납득이 가도록 빈틈 없이 만들었다. PAPS 팀이 초기에 그들의 주장에 대한 짧은 요약을 목록 상단에 제시한 그 접근법도 좋았다.

하지만, PAPS 팀은 엄청나게 과도한 분량과 숫자의 주장들을 그것도 반복적으로 늘어놓았다. PAPS 팀의 주장에서 모순점이 반복적으로, 그것도 심각한 수준으로 발생했다. 초기에, PAPS 팀은 자유와 생명을 그 무엇보다도 중요하게 여긴다고 언급했다. 주장에 제시된 여러 논점들에서 개인이 자살을 하는 것, 그리고 심지어 의학적 치료의 중단을 통해 환자의 죽음을 허용하는 것이 완벽히 괜찮다고 인정해 버렸다. 만약 우리가 진정으로 생명을 그 무엇보다 소중히 여긴다면, 개인 자율성에 대한 주장은 무너질 수밖에 없다. 자율성 이전에 생명부터 보장해야 하기 때문이다. 만약 이게 사실이 아니고 PAPS 팀의 주장을 신뢰해야 한다면, 왜 그것이 아닌가에 대한 설명이 필요했다. PAPS 팀은 또한 BOBC 팀의 주장이 고통 완화 처치를 하는 데는 제3의 방법이 있다는 점을 무시하는 데에서 비롯되었다는 주장을 종종 했다. 토론 초기부터 BOBC 팀의 주장이 과도한 흑백논리에 기초할 때가 가끔씩 있다는 데는 동의하지만, 고통 완화 처치가 찬성 팀의 입장과 양립가능하다는 점은 분명히 해야 한다. 그리고 PAPS 팀은 최선의 고통 완화 처치를 행하더라도 어떤 경우에는 사는 것 자체가 견딜 수 없는 고통이 될 수 있다는 점에 대해 적절한 대응을 하지 못했다. 의학적 치료를 그만두고 환자가 죽을 수 있도록 허용하는 것을 PAPS 팀이 받아들인 상황에서, 어떻게 PAPS의 양보안과 환자가 자살하는 것을 적극적으로 돕는 행위를 윤리적으로 구분을 할 수 있는지에 대해 충분한 시간을 들여 설명하지 못했다. BOBC 팀에게 피드백 주면서 이야기했듯이, 자살을 돕는 행위를 허용하면 환자들이 자살하도록 의사들이 돕도록 강제하는 지경에 이를 것이라는 주장은 틀렸을 뿐만 아니라, BOBC 팀이 여기에 대해 잘 대답했다. PAPS 팀은 윤리적인 차이점에 대한 본질을 제대로 설명하는 데 실패했고, 그들이 오남용의 문제점에 대해 논의하느라 엄청난 시간을 썼음을 고려할 때 이 실패는 컸다. 의사들이 환자들의 요청으로 단지 치료를 중단하기만 하더라도 오남용 문제는 똑같이 제기될 수 있다. PAPS 팀이 후자의 상황은 괜찮다고 이야기한다면, 왜 오남용 문제가 자살을 돕는 행위에 있어서는 특별히 문제가 되는가? 특히 사회적 양심에 대한 주장에서 자유란 개념이 때때로 잘못 적용되었고, 이 부분에서 그 주장의 설득력이 크게 떨어졌다. 만약 사회 주류의 도덕적 가치를 개인이 고수하는 것이 자유라고 한다면, 이는 자유란 용어를 거짓되게 이용한 셈이다. 비록 자발적인 선택이라고 해도 그것으로 인해 후에 자발성을 잃게 된다면 이를 예방할 필요가 있다는 가능성을 제기한 것은 다루어 볼 만한 좋은 윤리적 문제라고 생각하나, 이 주장은 보다 중요하게 다뤄졌어야 했고 지금보다도 더 심화될 필요가 있다.

심판 판정 : Tony Murphy

두 개의 토론에 있어서 전반적으로 난 Johnny의 의견에 동의한다. 반대 측 New Kids 가 가장 강력한 팀이었다. Johnny가 두 토론에 대해 잘 통합된 분석을 제시했기 때문에, 난 몇 가지 언급만 하고 넘어갈 것이다. 하지만 그가 언급했던 간단명료함의 중요성에 대해서는 나도 다시 한 번 강조하고자 한다.

사전 조사도 잘 이뤄졌고, 주장도 깔끔하게 잘 이뤄진 흥미로운 이번 토론의 승자는 반대 팀이다. 대체로 반대 팀이 상대 팀에 대한 대응을 더 잘했고, 그들의 주장을 잘 진전시켰고, 동시에 이 모든 것들을 찬성 팀의 약점과 잘 관련 시켰다. 반대 팀의 주장이 제시한 기준이 찬성 팀 주장의 그것보다 좀 더 높았다.

노인 차별에 대한 주장 앞에서 이뤄진 옹호도 좋았다. 하지만 죽이는 것이 더 값 싸다는 주장은 보다 잘 만들어질 필요가 있었다. 일군의 의사들이 비용 절감 문제를 신경 쓰고 있다는 점이 설득력을 가진다면, 똑같은 이유로 제약 회사들이 환자들의 자살을 적극적으로 유도할 것이라는 주장이 나올 수 있고, 이건 좀 과도하게 선정적인 이야기가 될 수 있기 때문이다.

자살을 돕는 행위를 허용하게 되면 단순히 죽음을 원하는 이들에게만 해가 되는 것이 아니라 80만에 달하는 현역 의사들의 직업윤리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쳐서, 훨씬 넓은 영역에 걸쳐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는 반대 팀의 주장이 찬성 팀을 효과적으로 공격했다. 찬성 팀은 어떤 의사더라도 자살을 도우라는 제안을 받았을 때 이를 거부할 권리가 있고 이는 존중받아야 된다고 답변했지만, 찬성 팀은 크게 실수한 것이다. 이건 찬성 팀의 모델에 들어있는 부분이 아니다. 그 답변은 입장 바꾸기로 보일 수도 있다. 자살을 돕는 행위를 허용하는 것이 오레곤 주, 워싱턴 주, 스위스, 네덜란드 등에서 행해지고 있는 정책과 비슷한 수준의 규제라는 점을 언급한 것은 괜찮았지만, 의사들의 역할을 토론의 핵심에 놓은 것은 과도했고 찬성 팀의 입장을 분명하게 만들어주지 못했다.

보다 크게 봤을 때, 양 팀은 거의 똑같은 주장과 반박을 여러 번 반복했다는 점을 명심하고 다음에는 똑같은 실수를 하지 않기를 바란다. 이번 토론 형식의 특성상 시간제한이 덜했다는 점은 감안할 수 있지만, 토론에서 제기된 주장의 흐름에 문제를 일으킬 수 있고 답변도 불필요하게 길어졌다는 점을 잊지 않기를 바란다.

첨부파일

댓글목록

profile_image

ace나그네님의 댓글

ace나그네 작성일

찬반 양론 토론자들이 작성한 토론문 원문이 필요하신 분은 별도로 연락바랍니다. 파일 첨부로 토론문 원문을 등록했으나 시험해보니 다운로드가 되지 않아 별도 안내합니다.

profile_image

ace나그네님의 댓글

ace나그네 작성일

'자살을 돕는 행위는 허용되어야 한다.'는 주제의 위 토론에서 여러분의 입장을 정하는 데 도움이 될 관련 자료를 소개합니다.

1. 학위논문-검색어: 자살, 교사, 방조
 (1)자살의 법적 성질과 자살관여죄의 재조명 http://www.riss.kr/link?id=T12517231
 (2)자살관여죄에 관한 연구 http://www.riss.kr/link?id=T12188400
 (3)自殺關與罪에 관한 硏究 http://www.riss.kr/link?id=T2164703
 (4)안락사에 관한 헌법적 연구 : 적극적 안락사를 중심으로 http://www.riss.kr/link?id=T13859153

2. 책-검색어: 자살, 교사, 방조
 (1)한국의 자살 발생의 사회적 요인에 관한 연구 : 자살교사, 자살방조 http://www.riss.kr/link?id=M13755949
 
3. 학술지 논문-검색어: 자살, 교사, 방조
 (1)일반논문 : 자살교사,방조죄의 인정여부 http://www.riss.kr/link?id=A100447346
 (2)자살방조죄에서 방조행위의 범위 http://www.riss.kr/link?id=A99972553
 (3)生命保護의 觀點에서 본 自殺 敎唆·幇助罪의 검토 http://www.riss.kr/link?id=A76486425
 (4)자살관여행위에 대한 형법적 평가 http://www.riss.kr/link?id=A102575679
 (5)「自殺關與罪」를 中心으로한 法律問題 http://www.riss.kr/link?id=A19586511
 (6)자살관여행위의 가벌성 근거 http://www.riss.kr/link?id=A82585835

4. 인터넷 자료
 (1)자살 https://namu.wiki/w/%EC%9E%90%EC%82%B4
 (2)조력 자살 https://namu.wiki/w/%EC%A1%B0%EB%A0%A5%20%EC%9E%90%EC%82%B4

위 자료 중 '조력 자살'의 경우는 토막글로 분류되어 있습니다. 여기서 여러분이 해볼 법한 토론 주제를 하나 더 제시하도록 하겠습니다.

(토론 주제)인터넷 위키의 토막 글에 내용을 추가하는 것이 작성자 개인과 사회에 이익이 되는가?

영어토론방Home>영어토론방
Total 1,076건 27 페이지
영어토론방 목록
제목내용
686 Education
Adjudicator Feedback Series 13/75 
ace나그네 hit:538 11-13
댓글1
685 Society
Adjudicator Feedback Series 12/75 
ace나그네 hit:529 11-06
댓글1
684 Diplomacy
Adjudicator Feedback Series 11/75
ace나그네 hit:469 11-06
댓글1
683 Politics
Adjudicator Feedback Series 10/75 
ace나그네 hit:529 10-29
댓글1
682 Diplomacy
Adjudicator Feedback Series 9/75
ace나그네 hit:450 10-23
댓글1
681 Society
Adjudicator Feedback Series 8/75 
ace나그네 hit:538 10-16
댓글1
680 Diplomacy
Adjudicator Feedback Series 7/75 
ace나그네 hit:537 10-16
댓글1
679 Politics
Adjudicator Feedback Series 6/75 
ace나그네 hit:624 10-04
댓글1
678 Society
Adjudicator Feedback Series 5/75 
ace나그네 hit:604 10-03
댓글1
677 Diplomacy
Adjudicator Feedback Series 4/75 
ace나그네 hit:568 10-01
댓글1
676 History
Adjudicator Feedback Series 3/75 
ace나그네 hit:686 09-17
댓글2
675 Religion
Adjudicator Feedback Series 2/75 
ace나그네 hit:781 09-13
댓글2
열람중 Society
Adjudicator Feedback Series 1/75 
ace나그네 hit:763 11-02
댓글2
673 Notice
(펌글)[YUU Monthly Tournament] 
ace나그네 hit:718 09-04
672 Education
World's Best Judges' Feedback 
ace나그네 hit:894 09-04
댓글1
게시물 검색

회원로그인

회원가입


운영자 SNS커뮤니티


https://www.facebook.com/groups/1987117991524411 https://www.facebook.com/acetraveler12 https://www.facebook.com/FlindersUniversityDebatingSociety https://twitter.com/acetraveler1

https://story.kakao.com/_d36z15 https://band.us/band/72550711 http://cafe.daum.net/acetraveler http://blog.daum.net/acetraveler

https://pf.kakao.com/_xocRxjK https://story.kakao.com/ch/toronsil2001 https://toronsil.tistory.com https://m.post.naver.com/acetraveler

https://blog.naver.com/acetraveler https://cafe.naver.com/toronsilsince2001 https://timeline.line.me/user/_dZVn8dOub0-9zubHJ-7LNDBubziVSzUT0jK3hn0 https://open.kakao.com/o/ghmiAdpc

https://www.instagram.com/acetraveler12 https://www.instagram.com/acetraveler12/channel/ https://www.tumblr.com/blog/toronsil https://www.youtube.com/channel/UChSQEwnxoTgesALkVkL_PKA

https://ameblo.jp/firest12/ http://acetraveler.blogspot.com/ https://www.reddit.com/user/acetraveler12 https://ok.ru/profile/585384389039

https://www.pinterest.co.kr/firest12/%ED%86%A0%EB%A1%A0%EC%8B%A4-%EC%82%AC%EC%9D%B4%ED%8A%B8/ https://vk.com/id614494296 https://vk.com/public198641212

https://tv.kakao.com/channel/3743718 https://www.linkedin.com/in/min-seob-lee-9a1b1729


사이트 정보

대한민국 토론커뮤니티-토론실 대표: 이민섭
☎ TEL 010-7670-7720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회기로 12길 37-5, 401호
Copyright © 2001 ~2025 토론실(toronsil.com) All Rights Reserved.
Mail : acetraveler@naver.com

여럿 빠뜨리고 벼락치기로 몰아서 몇 개 올리는 챗 GP…
대한민국 법원 주요 판결 2024년 6월 12일 아침 …
대한민국 법원 주요 판결 2024년 6월 10일 정리 …
미국 연방 대법원 주요 결정 2024년 6월 9일 정리…
프랑스 헌법재판소 (Le Conseil constitu…
독일 연방헌법재판소 주요 결정 2024년 6월 9일 정…
대한민국 법원 주요 판결 2024년 6월 9일 정리 결…
대한민국 법원 주요 판결 2024년 6월 6일 정리 결…
2024년 6월 1일 대한민국 헌법재판소 주요 결정 정…
2024년 5월 30일 대한민국 법원 주요 판결 정리 …
2024년 5월 27일 대한민국 법원 주요 판결 정리 …
2024년 5월 26일 대한민국 헌법재판소 주요 결정 …
2024년 5월 23일 대한민국 법원 주요 판결 정리 …
(펌글)법무부, ′24년 1차 불법체류 외국인 정부합동…
(펌글)장애인 편의시설 설치율 89.2%로 ‘18년보다…
조규홍 본부장 주재 중앙사고수습본부 제31차 회의 개최…
(펌글)장애인고용공단-아이티센그룹 ‘자회사형 장애인표준…
(펌글)신직업 및 유망산업 분야 현직자의 생생한 취업 …
(펌글)인공지능(AI) 시대의 청년취업, 「고용24」와…
(펌글)(참고) 고용률ㆍ경제활동참가율 3월 기준 역대 …
(펌글)(설명) 환경부는 기후적응법 제정을 추진한 바 …
(펌글)국립공원 암벽장 55곳 합동 안전점검
(펌글)(동정) 제2의 볼티모어 교량 충돌사고 대비한다
(펌글)통일부 북한정보포털 대문 화면
(펌글)2024.4.12. 대한민국 법원 대국민서비스 …
(펌글)발코니 벽 해체에 아랫집 소송···대법원 "위험…
(펌글)전세금 돌려준다 속이고 점유권 이전한 집주인, …
[펌글]국적 잃을뻔한 다문화 남매...대법 "주민등록증…
[펌글]2024. 4. 10. 각급법원(제1,2심) 판…
2022년 12월 9일(금) 일기(다이어트, 청취력 회…
2022년 12월 2일(금) 일기(다이어트, 청취력 회…
2022년 11월 28일(월) 일기(다이어트, 청취력 …
2022년 11월 22일(화) 일기(다이어트, 청취력 …
2022년 11월 17일(목) 일기(다이어트, 청취력 …
2022년 11월 12일(토) 일기(다이어트, 청취력 …
2022년 11월 7일(월) 일기(다이어트, 청취력 회…
2022년 11월 4일(금) 일기(다이어트, 청취력 회…
2022년 10월 17일(월) 일기(다이어트, 청취력 …
2022년 10월 10일(월) 일기(다이어트, 청취력 …
(토론실 사이트 펌글)IDS X KIDA Korea 2…
2022년 9월 24일(토), 25일(일) 일기(다이어…
(토론실 사이트 펌글)IDS X KIDA Korea 2…
2022년 9월 21일(수), 22일(목), 23일(금…
2022년 9월 20일(화) 일기(다이어트, 청취력 회…
2022년 9월 19일(월) 일기(다이어트, 청취력 회…
(토론실 사이트 펌글)IDS X KIDA Korea 2…
2022년 9월 17일(토), 18일(일) 일기
2022년 9월 18일(일) 일기(체중변화 기록, 20…
(토론실 사이트 펌글)IDS X KIDA Korea 2…
2022년 9월 15일(목), 16일(금) 일기
Copyright © toronsil.com.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