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judicator Feedback Series 6/75 > 영어토론방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영어토론방Home>영어토론방


Politics Adjudicator Feedback Series 6/75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ace나그네
댓글 1건 조회 623회 작성일 16-10-04 00:26

본문

Debate Topic1: Do you agree or disagree the below motion? Why/Why not?

토론 주제 1 : 아래 주제에 찬성하는가? 반대하는가? 각각의입장을 취했을 때 그 이유는 무엇인가?

Debate Topic 2 : If you translate below English adjudication feedback to Korean,what is the desirable wayof translation? Does translation should reflect the original English contexts and grammar as much as possible?Orthetranslation should reflect the grammar and contexts in Korean?

토론 주제2:아래의 심판 판정문 원문 원본을 한국어로 번역할 때, 영어 원문의 문법과 맥락, 의미에 보다충실하게 번역해야 하는가? 한국어로 번역하는 이상 한국어 문법과 맥락에 맞게바꾸는 것이 바람직한가?



Discussion Topic : How can you translate better than below 1st Korean draft? Please suggest your alternative translation.
토의 주제 :아래의 한국어 번역문보다 어떻게 더 나은 번역을 할 수 있겠는가?대체할 만한 번역문을 제시해보시오.


http://debatewise.org/debates/2201

Motion : IN PARLIAMENTARY DEMOCRACIES, A CHANGE OF PRIME MINISTER SHOULD AUTOMATICALLY TRIGGER A GENERAL ELECTION.

Defending: Estonia, Opposing: Australia

Decision by Adjudicator: jmartin

Win: Team Australia

In a broad sense I think that the better debating was done by the Australian team. 1) Australia presented much more specific analysis on the topic, in terms of the range of possible scenarios discussed, as well as individual arguments. A) I was not overly concerned with the setting of the debate in Western Liberal Democracies because while Australia brings up some interesting possibilities were this policy to be implemented in, for example Haiti, Estonia points out that Australia's proposed alternatives would suffer equally undesirable results. Mostly though, I felt there was plenty of analysis applied to Western Democracies to evaluate this debate on without the less developed forays into underdeveloped democratic systems. B) I was unconvinced that the possibilities and frequencies proposed by Estonia in which a Prime Minister could be removed from office were either the most plausible or most common in our world. Australia offered up several other instances with recent applicable examples to back them up that seemed to better ground the debate in a real sense of how international politics worked. 2) Estonia severely needed to contextualize their points in terms of real parties, leaders and systems of governments where their claims have actually been seen. A) The only three references to leaders outside of Tony Blair and the new left of the Labour Party made by Estonia are Obama, Mccain, and Bush Republicans vs Mccain Republicans. While those might have somewhat supported the arguments being made I would have appreciated a) leaders from a parliamentary democracy b) more analysis on the leaders c) more examples in general as there are a plethora that would fit the debate. B) Australia managed to dominate the debate in terms of empirics with strong and in depth analysis on Australia (of course), New Zealand, Japan, and much more detail on the UK 3) Estonia's arguments were largely assertive. As I read through their case I came across numerous statements that either seemed questionable on face value or had huge potential to turn into an interesting discussion, but in either case there was no analysis backing up those claims to warrant them receiving credit as a flushed out idea. A) Examples of aforementioned statements include "new prime minister who was not elected, might feel restrained (especially if the predecessor was highly unpopular) and not make the most effective decisions." "it allows people to be ruled by leaders (and their policies) they have not voted for" "incentivise shifts in politics (because the other leader has other priorities, because other wing of the party is in power etc) without democratic permission" ((The latter two quotes coming after an argument stating the system self corrects manipulation))

Overall these issues resulted in the Australian team winning the vast majority of arguments in a way that convinced me they had a better grasp of the debate, parliamentary systems, and a way to make them work.

Decision by Adjudicator: Monika B.

In order to win the debate Team Estonia had to prove why the change of a Prime Minister (hereinafter ? the “PM”) under any circumstances is so significant that it should automatically trigger a general election.

Team Estonia presented two main ideas: 1) that the PM is a key element of a party and on that account powerfully affects the electors votes and the implementation of the party policy; 2) that as the PM plays such a strong role in a party, it would be illegitimate to allow for the party to remain in the Government because the voters did not vote for a party without this certain leader. I believe that Team Australia has dealt effectively with these arguments by showing that: 1) the PM is solely a representative of the party policy through an image dictated by the party; 2) even though there’s a change in the leadership, the party stays with it’s core focuses and ideas the voters have voted for and that the party elected has to follow through with the fulfillment of it’s promises made for the voters and that the change of a PM is not a reason enough not to do so. I find the examples of Japan and Australia excellent for showing how the PM might change rather swiftly in a parliamentary democracy. I think that Team Australia handled the argument on the role of the PM very well in their own constructive when they elaborated on his overestimated role. Additionally Team Australia also presented arguments on: 1) instability; 2) inconsistency with democratic ideals; and 3) social and political impacts. I evaluate Team Estonia’s rebuttal to these arguments as follows: 1) I feel that the team tried to run away from the argument through some generalities, although Team Australia has once again put some clever illustrations on the table; 2) I believe Team Estonia nicely pointed out the possibility of different political views in the same party, however that didn’t clash the raised idea on the legitimate expectation of the voter to have it’s representative remaining in the office for a full term; 3) the idea that the politicians will resign more carefully after the implementation of their policy is slightly weaker than the argument of instability, since resigning from a position as a PM already has such a strong impact on a politicians carrier, his party and political stability that such decision is made carefully enough.

In general I believe that this was a very strong debate, I would like to thank the teams for that. To my point of view, despite Team Estonia presented a solid case on the motion, Team Australia did a great job rebutting their arguments and building up their own constructive, which resulted in Team Estonia’s failure to prove that the change of the PM should trigger general elections.

I grant the win to Team Australia.

Best luck for the teams in the upcoming debates.


<번역자 : 이민섭>

http://debatewise.org/debates/2201

토론 주제 : 의회식 민주주의 국가들의 경우 수상을 교체할 때 반드시 총선을 다시 치러야 한다.

찬성 팀 : 에스토니아, 반대 팀 : 오스트레일리아

심판 판정 : jmartin

오스트레일리아 팀이 이겼다.

전반적으로 오스트레일리아 팀이 토론을 더 잘했다. 1)오스트레일리아 팀이 주제에 대해 보다 구체적인 분석을 했고, 가능한 시나리오들과 각각의 주장에 대한 논의도 했다. 첫째, 오스트레일리아 팀이 아이티 사례를 들면서 이 정책이 적용되었을 때 발생 가능한 몇 가지 흥미로운 가능성들을 제시한 데 대해서 에스토니아 팀이 오스트레일리아 팀의 대안들 또한 똑같이 달갑지 않을 결과를 부를 것이라고 지적했고, 이 상황에서 토론의 범위가 서구 자유 민주주의 국가들로 정해진 데 대해 그렇게까지 관심을 가지지는 않았다. 그렇다고는 하지만, 미성숙 민주주의 체제와 관련한 어정쩡한 심화는 없었고 이번 토론을 평가하기에 충분할 만큼 서구 민주주의 국가들에 대한 분석이 이루어졌다. 둘째, 우리 세계에서 수상이 집무실에서 쫓겨날 수 있다는 것이 가장 타당하다거나 흔할 것이라는 에스토니아 팀의 그 가능성과 빈도에 대해 납득이 가지 않았다. 현실적으로 국제 정치가 어떻게 돌아가는지에 대해 최근의 적용 가능한 사례들과 다른 여러 사례들을 같이 제시한 오스트레일리아 팀이 토론에서 보다 좋은 자리를 점했다. 2)그들의 주장에서 실제로 들어난 것보다 에스토니아 팀이 실제 정당들, 지도자들, 정부 시스템에 대해 훨씬 더 강력하게 맥락과 관련지었어야 했다. 첫째, 토니 블레어와 신좌파 노동당을 제외하고 에스토니아가 제시했던 세 가지 참고 자료는 오바마와 맥케인, 그리고 부시의 공화당과 맥케인 공화당의 대조였다. 비록 이들이 찬성 팀의 주장을 어느 정도 뒷받침하기는 했다. 하지만 의회식 민주주의의 지도자들, 지도자들에 대한 분석, 토론에 부합하면서도 과다하다 싶을 정도로 많은 사례들이 더 나왔다면 더 좋았을 뻔했다. 둘째, 오스트레일리아(당연히), 뉴질랜드, 일본, 그리고 영국에 대한 세부내용을 경험주의자들답게 강력하고 깊이 있는 분석을 오스트레일리아 팀이 보여주면서 토론을 지배했다. 3)에스토니아 팀의 주장들은 대개 뒷받침되지 않았다. 그들의 주장을 읽다보면 수많은 언급 가운데서 그 액면가가 의심스럽기도 하고 또 몇몇은 흥미로운 논의로 이어질 거대한 잠재력을 보여주었다. 하지만 양쪽 경우 모두 주장들을 뒷받침할 분석이 없어서 점수를 주기에 부족했고 그냥 봇물 터진 아이디어 꼴이 되어 버렸다. 첫째, ‘선출되지 않은 새 수상이 구속받는다고 느낄 수 있고(특히 전임자가 정말이지 인기 없을 때), 가장 효과적인 결정을 내릴 수 없다.’ ‘이 정책 때문에 사람들은 그들이 투표하지 않은 지도자(그리고 정책들)의 지배를 받게 된다’ ‘민주주의적 절차에 의거한 허가가 없이 정치에서 변화를 부추겨서(다른 날개에 있는 정당이 권력을 쥐는 등 다른 우선순위를 가진 다른 지도자들이 등장할 것이라서)’((그 시스템이 자정할 수 있도록 조종된다는 주장이 나온 다음에 위에서 언급한 뒤 쪽 두 개의 인용구가 나왔다))

전반적인 사안들을 놓고 봤을 때 오스트레일리아 팀이 대부분의 주장을 가져갔다. 그들은 토론을 보다 잘 장악하고 있었고, 의회시스템과 그것이 작동하도록 만드는 방법에 대해서 나를 납득시켰다.

심판 판정 : Monika B.

에스토니아 팀이 이 토론을 가져가기 위해서는 왜 수상의 교체가((아래에서는 수상(의 약어)로 표기한다)) 어떤 상황에서든 그렇게 중요하며 또 총선으로 자동으로 이어져야 하는지를 증명해야만 했다.

에스토니아 팀은 두 개의 주요 주장을 꺼내들었다. 첫째, 수상은 정당의 핵심 인물로서 유권자들이 투표권을 행사하고 정당이 정책을 적용하는 데 강력한 영향력을 행사한다. 둘째, 수상이 정당 내에서 그렇게나 강력한 역할을 맡고 있기 때문에, 그 정당이 계속 정부에 남아있도록 만드는 것은 정당하지 않다. 왜나면 유권자들은 그 지도자가 없었다면 그 정당에 투표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오스트레일리아 팀이 다음 사항들을 보여주면서 이들 주장에 대해 효과적으로 대처했다. 첫째, 수상은 정당이 만들어낸 이미지에 따라 단지 정당의 정책을 대표하기만 할 뿐이다. 둘째, 설령 대표직에 변화가 생기더라도 정당은 자신들의 핵심 초점과 사상에 머물러 있다. 왜냐면 그 것들 때문에 유권자들이 그 정당에 표를 줬기 때문이기에, 그 것들을 따르는 것은 유권자와의 약속을 지키는 것이며, 수상의 교체가 그 것들을 하지 않을만한 이유는 되지 않기 때문이다. 나는 일본과 오스트레일리아 사례들에서 어떻게 수상의 교체가 의회 민주주의 내에서 급격히 발생할 수 있는지 훌륭하게 보여주었다고 생각한다. 난 오스트레일리아 팀이 수상의 역할에 대한 주장을 굉장히 잘 다뤘다고 생각했다. 그들이 그들 자신의 주장 내에서 수상의 역할이 과대평가되었다고 부연 설명을 했을 때 말이다. 게다가 오스트레일리아 팀은 다음 주장들을 추가로 제시했다. 첫 째, 불안정성, 둘째, 민주주의적 이상과의 불일치, 그리고 셋째, 사회 정치적 영향을 들 수 있다. 나는 이 주장들에 대한 에스토니아 팀의 반박을 다음과 같이 평가했다. 1)나는 찬성 팀이 몇몇 추상론들을 통해 그 주장으로부터 도피하고자 했다고 느꼈다. 오스트레일리아 팀이 몇몇 영리한 묘사를 다시금 제시했는데도 말이다. 2)에스토니아 팀은 같은 정당 내에서도 다른 정치적 시각들이 존재할 가능성에 대해 정말이지 잘 지적했다고 보았지만, 이 지적은 투표자들이 그들의 대표가 집무실에 머물면서 임기를 다 채워야 한다는 정당한 기대를 하고 있다는 주장과 맞붙지는 못했다. 3)정책이 적용된 다음에 정치인들이 사임할 때 보다 조심스러워 질것이라는 주장은 불안정성에 대한 주장보다 조금 약했다. 수상직의 사임은 한 개인의 정치적 경력과 그의 정당과 정치적 안정성에 크나큰 영향을 이미 끼치기 때문에 그런 종류의 결정은 이미 충분할 정도로 신중하게 이뤄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나는 이번 토론이 굉장히 튼실했다고 생각하며, 양 팀에게 감사 인사를 전하고자 한다. 내 시각에서 보자면, 비록 에스토니아 팀이 토론 주제와 관련해 견고한 주장을 제시하기는 했지만, 오스트레일리아 팀이 반박을 너무나 잘했고 그들 자신의 내용물 또한 너무 잘 만들었다. 그래서 결과적으로는 에스토니아 팀이 수상의 교체가 반드시 총선으로 이어져야 한다는 것을 증명하는 데 실패하게 되었다.

승자는 오스트레일리아 팀이다.

다음 토론 경기를 뛰는 팀들에게 행운이 함께하기를 바란다.

댓글목록

profile_image

ace나그네님의 댓글

ace나그네 작성일

보다 관련성 높은 자료를 찾기 위해서는 의회 민주주의 대신
내각제로 번역해야 하지 않았나 싶지만,
일단 아래와 같이 관련 자료를 첨부합니다.

1. 학위논문
 (1)일본 정치주도 정책결정의 가능성 모색 : 민주당 정부를 중심으로 http://www.riss.kr/link?id=T14024133
 (2)日本國憲法上의 議院內閣制에 관한 硏究 = (A) Study of parliamentary government in the Constitution of Japan http://www.riss.kr/link?id=T9132123
 (3)프랑스 第5共和國의 大統領의 權限에 관한 硏究 http://www.riss.kr/link?id=T7269930
 (4)(The) general election in 2008 : a watershed in the political history of Malaysia? http://www.riss.kr/link?id=T11784903

2. 책
 (1)比較政府論 http://www.riss.kr/link?id=M1299472
 (2)영국정치론 http://www.riss.kr/link?id=M8246298
 (3)동유럽 국가 연구 http://www.riss.kr/link?id=M12820237
 (4)日本 : 民主化의 挫折 http://www.riss.kr/link?id=M10490788
 (5)比較政治論 : 유럽 篇 http://www.riss.kr/link?id=M10424220
 (6)근현대일본정치사 http://www.riss.kr/link?id=M11248992
 (7)영국 그 나라를 알고 싶다 http://www.riss.kr/link?id=M7660

3. 학술논문
 (1)스페인 1978년 헌법의 성립과정에 관한 연구 http://www.riss.kr/link?id=A101895576

영어토론방Home>영어토론방
Total 1,076건 27 페이지
영어토론방 목록
제목내용
686 Education
Adjudicator Feedback Series 13/75 
ace나그네 hit:538 11-13
댓글1
685 Society
Adjudicator Feedback Series 12/75 
ace나그네 hit:529 11-06
댓글1
684 Diplomacy
Adjudicator Feedback Series 11/75
ace나그네 hit:469 11-06
댓글1
683 Politics
Adjudicator Feedback Series 10/75 
ace나그네 hit:529 10-29
댓글1
682 Diplomacy
Adjudicator Feedback Series 9/75
ace나그네 hit:450 10-23
댓글1
681 Society
Adjudicator Feedback Series 8/75 
ace나그네 hit:537 10-16
댓글1
680 Diplomacy
Adjudicator Feedback Series 7/75 
ace나그네 hit:537 10-16
댓글1
열람중 Politics
Adjudicator Feedback Series 6/75 
ace나그네 hit:624 10-04
댓글1
678 Society
Adjudicator Feedback Series 5/75 
ace나그네 hit:604 10-03
댓글1
677 Diplomacy
Adjudicator Feedback Series 4/75 
ace나그네 hit:568 10-01
댓글1
676 History
Adjudicator Feedback Series 3/75 
ace나그네 hit:686 09-17
댓글2
675 Religion
Adjudicator Feedback Series 2/75 
ace나그네 hit:781 09-13
댓글2
674 Society
Adjudicator Feedback Series 1/75 
ace나그네 hit:762 11-02
댓글2
673 Notice
(펌글)[YUU Monthly Tournament] 
ace나그네 hit:718 09-04
672 Education
World's Best Judges' Feedback 
ace나그네 hit:894 09-04
댓글1
게시물 검색

회원로그인

회원가입


운영자 SNS커뮤니티


https://www.facebook.com/groups/1987117991524411 https://www.facebook.com/acetraveler12 https://www.facebook.com/FlindersUniversityDebatingSociety https://twitter.com/acetraveler1

https://story.kakao.com/_d36z15 https://band.us/band/72550711 http://cafe.daum.net/acetraveler http://blog.daum.net/acetraveler

https://pf.kakao.com/_xocRxjK https://story.kakao.com/ch/toronsil2001 https://toronsil.tistory.com https://m.post.naver.com/acetraveler

https://blog.naver.com/acetraveler https://cafe.naver.com/toronsilsince2001 https://timeline.line.me/user/_dZVn8dOub0-9zubHJ-7LNDBubziVSzUT0jK3hn0 https://open.kakao.com/o/ghmiAdpc

https://www.instagram.com/acetraveler12 https://www.instagram.com/acetraveler12/channel/ https://www.tumblr.com/blog/toronsil https://www.youtube.com/channel/UChSQEwnxoTgesALkVkL_PKA

https://ameblo.jp/firest12/ http://acetraveler.blogspot.com/ https://www.reddit.com/user/acetraveler12 https://ok.ru/profile/585384389039

https://www.pinterest.co.kr/firest12/%ED%86%A0%EB%A1%A0%EC%8B%A4-%EC%82%AC%EC%9D%B4%ED%8A%B8/ https://vk.com/id614494296 https://vk.com/public198641212

https://tv.kakao.com/channel/3743718 https://www.linkedin.com/in/min-seob-lee-9a1b1729


사이트 정보

대한민국 토론커뮤니티-토론실 대표: 이민섭
☎ TEL 010-7670-7720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회기로 12길 37-5, 401호
Copyright © 2001 ~2025 토론실(toronsil.com) All Rights Reserved.
Mail : acetraveler@naver.com

여럿 빠뜨리고 벼락치기로 몰아서 몇 개 올리는 챗 GP…
대한민국 법원 주요 판결 2024년 6월 12일 아침 …
대한민국 법원 주요 판결 2024년 6월 10일 정리 …
미국 연방 대법원 주요 결정 2024년 6월 9일 정리…
프랑스 헌법재판소 (Le Conseil constitu…
독일 연방헌법재판소 주요 결정 2024년 6월 9일 정…
대한민국 법원 주요 판결 2024년 6월 9일 정리 결…
대한민국 법원 주요 판결 2024년 6월 6일 정리 결…
2024년 6월 1일 대한민국 헌법재판소 주요 결정 정…
2024년 5월 30일 대한민국 법원 주요 판결 정리 …
2024년 5월 27일 대한민국 법원 주요 판결 정리 …
2024년 5월 26일 대한민국 헌법재판소 주요 결정 …
2024년 5월 23일 대한민국 법원 주요 판결 정리 …
(펌글)법무부, ′24년 1차 불법체류 외국인 정부합동…
(펌글)장애인 편의시설 설치율 89.2%로 ‘18년보다…
조규홍 본부장 주재 중앙사고수습본부 제31차 회의 개최…
(펌글)장애인고용공단-아이티센그룹 ‘자회사형 장애인표준…
(펌글)신직업 및 유망산업 분야 현직자의 생생한 취업 …
(펌글)인공지능(AI) 시대의 청년취업, 「고용24」와…
(펌글)(참고) 고용률ㆍ경제활동참가율 3월 기준 역대 …
(펌글)(설명) 환경부는 기후적응법 제정을 추진한 바 …
(펌글)국립공원 암벽장 55곳 합동 안전점검
(펌글)(동정) 제2의 볼티모어 교량 충돌사고 대비한다
(펌글)통일부 북한정보포털 대문 화면
(펌글)2024.4.12. 대한민국 법원 대국민서비스 …
(펌글)발코니 벽 해체에 아랫집 소송···대법원 "위험…
(펌글)전세금 돌려준다 속이고 점유권 이전한 집주인, …
[펌글]국적 잃을뻔한 다문화 남매...대법 "주민등록증…
[펌글]2024. 4. 10. 각급법원(제1,2심) 판…
2022년 12월 9일(금) 일기(다이어트, 청취력 회…
2022년 12월 2일(금) 일기(다이어트, 청취력 회…
2022년 11월 28일(월) 일기(다이어트, 청취력 …
2022년 11월 22일(화) 일기(다이어트, 청취력 …
2022년 11월 17일(목) 일기(다이어트, 청취력 …
2022년 11월 12일(토) 일기(다이어트, 청취력 …
2022년 11월 7일(월) 일기(다이어트, 청취력 회…
2022년 11월 4일(금) 일기(다이어트, 청취력 회…
2022년 10월 17일(월) 일기(다이어트, 청취력 …
2022년 10월 10일(월) 일기(다이어트, 청취력 …
(토론실 사이트 펌글)IDS X KIDA Korea 2…
2022년 9월 24일(토), 25일(일) 일기(다이어…
(토론실 사이트 펌글)IDS X KIDA Korea 2…
2022년 9월 21일(수), 22일(목), 23일(금…
2022년 9월 20일(화) 일기(다이어트, 청취력 회…
2022년 9월 19일(월) 일기(다이어트, 청취력 회…
(토론실 사이트 펌글)IDS X KIDA Korea 2…
2022년 9월 17일(토), 18일(일) 일기
2022년 9월 18일(일) 일기(체중변화 기록, 20…
(토론실 사이트 펌글)IDS X KIDA Korea 2…
2022년 9월 15일(목), 16일(금) 일기
Copyright © toronsil.com.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