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Home>영어토론방 |
Diplomacy Adjudicator Feedback Series 7/75
페이지 정보

본문
Debate Topic1: Do you agree or disagree the below motion? Why/Why not?
토론 주제 1 : 아래 주제에 찬성하는가? 반대하는가? 각각의입장을 취했을 때 그 이유는 무엇인가?
Debate Topic 2 : If you translate below English adjudication feedback to Korean,what is the desirable wayof translation? Does translation should reflect the original English contexts and grammar as much as possible?Orthetranslation should reflect the grammar and contexts in Korean?
토론 주제2:아래의 심판 판정문 원문 원본을 한국어로 번역할 때, 영어 원문의 문법과 맥락, 의미에 보다충실하게 번역해야 하는가? 한국어로 번역하는 이상 한국어 문법과 맥락에 맞게바꾸는 것이 바람직한가?
Discussion Topic : How can you translate better than below 1st Korean draft? Please suggest your alternative translation.
토의 주제 : 아래의 한국어 번역문보다 어떻게 더 나은 번역을 할 수 있겠는가?대체할 만한 번역문을 제시해보시오.
http://debatewise.org/debates/2193
Motion : ASEAN SHOULD SUSPEND BURMA'S MEMBERSHIP UNTIL IT HOLDS FREE ELECTIONS
Defending: New Zealand, Opposing: Indonesia
Decision by Adjudicator: maledictus
My vote goes to the Proposition side of the debate. In my view, the Proposition sufficiently proved that suspension of Burmese membership in ASEAN will actually lead to concrete benefits to the people and political situation within the country. The Opposition did not sufficiently prove how continued engagement through membership can actually lead to a positive change in the situation, given that most of their rebuttal and some of their constructive was centred on the idea that ASEAN should not and can not interfere in the internal affairs of their nations, to which the Proposition said that it is not a violation of sovereignty but rather a denial of the benefits of ASEAN membership to the military regime. The Opposition side did not sufficiently prove that the problem the Proposition side was claiming was not there and did not prove how other agents could affect change in a more productive way; also, their claim that the reality in Burma is changing to the better was sufficiently dealt with by the Proposition, when they stated that the situation is by no means satisfactory and that if change occurs to that degree, Burmese membership would be reactivated anyway. Finally, I felt that the Proposition engaged with the Opposition case fully and comprehensively, whereas Opposition’s refutation at times left a lot to be desired in terms of content and analysis, especially when it came to the points of international isolation and its effects on the current situation.
Decision by Adjudicator: AndyHume
I award this debate to the Proposition team.
The Proposition team had some clear strengths - they were well organized, used evidence intelligently and argued their points clearly, both in absolute terms and also in comparison with their opponents. While they did a good job in setting out the moral / ethical case for condemning Burma’s human rights records, they struggled to clearly show that suspension of Burma’s ASEAN membership would in fact have any material effect on the plight of the Burmese people. However, this relative failure was balanced by a similar lack of evidence on the Opposition side that constructive engagement could work to improve life for Burmese citizens, either.
Crucially, in my opinion, the Prop went further in demonstrating the beneficial effects that suspension would have not just for the Burmese themselves but also for other ASEAN nations and the credibility of the bloc itself. These arguments were not in my opinion engaged with as strongly by the Opposition. The Proposition, by contrast, entered a number of strong rebuttals of the Opp case and several of these clashes were won by the Prop team. While they did not necessarily convince in their assertions that suspension of membership was consistent with ASEAN rules, they made a strong case that doing so would be both beneficial and the morally correct course of action.
In my view the Opposition failed to demonstrate that the status quo, which is basically a policy of constructive engagement by other ASEAN nations, has had any effect on the situation in Burma. I accepted in principle that engaging with Burma might be preferable to sanctions and isolation, but the assertion that the situation was “improving” was not really backed up by the evidence provided. Opp may have shown the desirability of constructive dialogue but not its feasibility.
The argument about national sovereignty was not justified as clearly or as well as it might have been. Opposition seemed to be implying that anything a government does within its own borders is not a matter for the international community, when clearly this is not the case. Their example of Switzerland’s assisted dying law was, as the Proposition noted, not really appropriate to the topic ? slightly more interesting examples might have been the use of the death penalty in many countries, or the status of women, homosexuals or ethnic minorities; issues which are of concern to the international community but which remain essentially domestic matters.
Finally, Opposition seemed to put a very great deal of weight on the principle of non-intervention ? but, while this was a strong point, they did not really address the Prop’s discussion of the human rights provisions in the new ASEAN Charter, fully justify the idea that suspension equates to “intervention” in a state’s domestic affairs, nor the fact that several ASEAN nations do indeed wish to see a human rights / democracy dimension to membership of the bloc.
I found the adjudication enjoyable and wish to commend both teams on their approach to this debate!
<번역자 : 이민섭>
http://debatewise.org/debates/2193
토론 주제 : 아세안은 미얀마가 자유선거를 실시할 때까지 그 회원권을 정지시킬 것이다.
찬성 팀 : 뉴질랜드, 반대 팀 : 인도네시아
심판 판정 : maledictus
찬성 팀의 손을 들어줬다. 내가 봤을 때 찬성 팀은 미얀마의 회원권 정지가 그 나라의 사람들과 정치적 상황에 실질적인 이득을 가져다 줄 것이라는 점을 충분히 증명했다. 반대 팀은 회원권을 통한 지속적인 관계가 어떻게 상황의 긍정적 변화를 이끌어낼 수 있는지 충분히 증명하지 않았다. 그들의 반박 대부분과 그들의 주장 몇몇은 아세안이 회원국들의 국내 일에 개입해서는 안 되고 그럴 수도 없다는 생각에 기초하고 있고, 이 부분에 대해서는 찬성 팀이 이것은 주권 침해가 아니라 오히려 군사 정권에 아세안 회원권을 주는 것을 거부하는데서 오는 이득이라고 잘 받아쳤다. 찬성 팀이 주장했던 무제점이 존재하지 않는다는 점을 반대 팀이 충분히 증명하지 못했고 또 다른 행위자들이 어떻게 보다 생산적인 방법으로 변화를 이끌어낼 수 있는지도 증명하지 않았다. 또한, 미얀마의 현실이 이미 개선되고 있다고 하는 반대 팀의 주장은 찬성 팀이 충분히 다뤄줬다. 찬성 팀은 상황이 충분히 만족스럽지 않으며 만약 변화가 그 정도로 이뤄진다면 미얀마의 회원권은 어찌되었든 다시 유효할 것이라고 언급한 것이다. 마지막으로, 찬성 팀은 반대 팀의 주장에 대해 완전하고도 철저하게 응전했으나, 반대 팀의 반박은 때로 그 내용과 분석에 있어서 더 많은 것이 필요했다. 특히 국제적 고립과 그것이 현 상황에 끼치는 영향이란 주장을 꺼냈을 때 더더욱 그랬다.
심판 판정 : AndyHume
이번 토론에서 찬성 팀의 손을 들어줬다.
찬성 팀은 몇몇 분명한 강점을 보여주었다. 절대적인 의미에서나 상대 팀과 비교했을 때나 그들은 잘 조직되어 있었고, 증거를 영리하게 사용하고 그들의 주장을 깔끔하게 펼쳤다. 그들은 미얀마의 열악한 인권 실태를 고발하는 도덕적·윤리적 상황 설정을 잘 해냈지만 미얀마의 아세안 회원권 정지가 미얀마 인들이 겪고 있는 곤경에 어떤 실질적 변화를 가져다 줄 것이라는 점을 깔끔하게 증명하는데 애를 먹었다. 하지만, 이런 상대적인 실패는 반대 팀의 건설적인 관계가 미얀마 시민들의 삶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주장이 비슷한 정도로 증거가 결여되었을 때 균형을 맞추었다.
중요한 점은, 회원권을 정지시켰을 때 단순히 미얀마 사람들에게 뿐만 아니라 다른 아세안 회원국들과 아세안 자체의 신뢰성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끼친다는 찬성 팀의 주장이 한발 더 앞서 나갔다는 것이다. 반대 팀은 이 주장들에 대해 충분한 대응을 보여주지 못했다. 반면에 찬성 팀은 반대 팀의 주장에 대한 몇몇 강력한 반박을 제시해서 여러 쟁점을 가져오는 데 성공했다. 비록 그들은 회원권의 정지가 아세안의 규칙에 비춰봤을 때 일관성 있는 조치였다는 점을 굳이 납득시키고자 할 필요는 없었지만, 그 조치가 이롭고 또 도덕적으로 정당한 것이었다는 강력한 주장을 만들어냈다.
기본적으로 다른 아세안 국가들이 건설적인 상호 교류를 하는 정책을 펴고 있는 현 상황에서 미얀마의 상황에 어떤 영향을 끼치는지에 대해 반대 팀이 주장하는 데에 실패했다. 미얀마와 계속 교류하는 것이 제재해서 고립시키는 것보다 더 낫다는 원칙은 받아들일 우 있으나, 주어진 증거들 가지고는 상황이 나아지고 있다는 주장이 제대로 뒷받침되었다고는 생각 할 수 없었다. 반대 팀은 건설적인 대화가 바람직하는 점을 보여줬는지는 모르겠지만 그 실행 가능성을 보여주지는 않았다.
국가의 주권에 대한 주장은 사실 더 잘 만들어질 수도 있었지만 결국 충분히 정당화되지 못했다. 정부가 국경 안에서 무엇을 하든 그건 국제 사회가 상관할 일이 아니라고 반대 팀이 의도했는지는 모르겠지만 그건 명백히 경우가 아니었다. 죽음과 관련된 스위스의 법을 반대 팀이 사례로 제시했는데 그건 찬성 팀이 지적한 대로 이번 주제와는 맞지 않았다. 수많은 국가들에 남아 있는 사형제, 여성과 동성애자들을 비롯한 다른 성적 소수자들의 지위와 같은 조금 더 흥미로운 사례들을 쓸 수는 있겠다. 그 사안들은 국제 사회의 관심을 끌고 있기는 하지만 본질적으로는 국내 문제로 남아 있는 것들이다.
마지막으로, 반대 팀은 불개입주의와 관련해 엄청나게 힘을 실었던 것 같다. 이 주장이 강하기는 했지만, 새로운 아세안 헌장에 제시된 인권 규정에 대해 찬성 팀이 논의한 데 대해서는 반대 팀이 별 말을 하지 않았다. 상당수의 아세안 회원국들이 아세안 회원권과 관련해 인권과 민주주의를 중시한다는 사실을 제쳐놓더라도, 그리고 설령 회원권 정지가 한 나라의 국내 문제에 '개입하는 것'과 동의어라고 해도 그 헌장이 이를 정당화하고 있다.
이번 판정을 내릴 때 상당히 즐거웠으며 양 팀이 이번 토론에서 보여준 접근법에 대해 찬사를 보낸다!
관련링크
댓글목록

ace나그네님의 댓글
ace나그네 작성일
이번에는 미얀마, 아세안, 선거, 자유와 같은 핵심어를 넣기도 하고 빼기도 하면서 아래 참고자료들을 찾았습니다. 이미 아웅산 수지가 권력을 잡고 있어 위 주제가 이미 철 지났다고 생각할 수도 있지만, 역사 토론의 범주에 넣을 수도 있고 독재 정권에 대한 국제 사회의 제재 문제는 과거나 미얀마 만의 일이 아니라 지금과 미래, 그리고 세계 곳곳에 있는 여러 나라에 해당하는 문제이므로 본 글이 위 토론 주제나 유사 주제에 대한 여러분의 입장을
정하는 데 도움이 되기를 바랍니다.
1. 학위논문
(1)미얀마 외국인직접투자 결정요인 http://www.riss.kr/link?id=T13866935
(2)미얀마와 베트남의 외국직접투자 결정요인 연구 http://www.riss.kr/link?id=T12848859
(3)미얀마로 진출한 한국 기업에 미치는 외부 환경요인에 대한 연구 http://www.riss.kr/link?id=T14197248
(4)미·중 경쟁과 미얀마의 정치 변동 연구 http://www.riss.kr/link?id=T14396882
2. 책
(1)미얀마의 정치경제와 개혁개방 : 성과와 과제 http://www.riss.kr/link?id=M13120668
(2)2010년 총선 이후 미얀마 체제변동 전망과 그에 따른 한국의 진출 전략 http://www.riss.kr/link?id=M12798768
3. 학술논문
(1)미얀마의 정치적 자유화와 정당정치: 미얀마식 민주주의를 향하여? http://www.riss.kr/link?id=A99720950
(2)미얀마, "질서 있는 이행" 모델: "체제 내 변화"에서 "체제 변화"로의 진화 http://www.riss.kr/link?id=A101805762
(3)2015년 미얀마 총선과 정치변동: 선거의 민주화와 불확실한 미래 http://www.riss.kr/link?id=A101805763
(4)동남아와 아세안 2016: 기대와 혼돈 속에 커져가는 불확실성 http://www.riss.kr/link?id=A1029569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