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Home>영어토론방 |
Education Adjudicator Feedback Series 13/75
페이지 정보

본문
Debate Topic1: Do you agree or disagree the below motion? Why/Why not?
토론 주제 1 : 아래 주제에 찬성하는가? 반대하는가? 각각의입장을 취했을 때 그 이유는 무엇인가?
Debate Topic 2 : If you translate below English adjudication feedback to Korean,what is the desirable wayof translation? Does translation should reflect the original English contexts and grammar as much as possible?Orthetranslation should reflect the grammar and contexts in Korean?
토론 주제2:아래의 심판 판정문 원문 원본을 한국어로 번역할 때, 영어 원문의 문법과 맥락, 의미에 보다충실하게 번역해야 하는가? 한국어로 번역하는 이상 한국어 문법과 맥락에 맞게바꾸는 것이 바람직한가?
Discussion Topic : How can you translate better than below 1st Korean draft? Please suggest your alternative translation.
토의 주제 : 아래의 한국어 번역문보다 어떻게 더 나은 번역을 할 수 있겠는가?대체할 만한 번역문을 제시해보시오.
http://debatewise.org/debates/2256
Motion : HOME SCHOOLING SHOULD BE BANNED.
Defending: USA, Opposing: Czech Republic
Decision by Adjudicator: Beth
The Opposition team won this debate.
By failing to offer a strong definition of home schooling and the unique and specific nature of any harms it entails, the Proposition team left themselves open to the strong attack parents can still opt for their child's immersion in an environment governed by a sole religious perspective, merely by availing themselves of extant private faith schools. The Opposition team persuasively illustrated the ways in which the Proposition team neglected to offer a solution to the problems they characterised, and as such the Proposition team demonstrably failed to discharge their burden of proving why home schooling causes such damage that a legislative framework should curb it.
Eloquent expression and logical structure were often evinced by the Proposition team, but as a stylistic point, over-reliance on 'debating' lexis such as 'self-actualisation' obstructed a more meaningful discussion of any damage caused to children's' development outside of a school environment . At the level of argumentation, distortion of the likely experience a child has of vaccinations, for instance, made the team's guiding principles seem weak. It seems unlikely, and was never proven by the team, that a child's first reaction to a vaccination would be the inculcation of the lesson that 'their actions have consequences on the greater whole'.
The Opposition team marshalled evidence effectively, and offered well constructed and effective arguments that capitalised on the lack of effective definition and mechanism to win the debate. There was a late argument entitled 'Proposition plan is unfeasible', which offered more analysis on the definitional problems and their implications for the principles advocated by the Proposition team. Whilst an excellent argument, in future debates, I would recommend situating such arguments earlier, as a means of conclusively attacking the definitional and principled foundation of a team's case.
Decision by Adjudicator: tommyt67
I am sorry to say this is an easy decision to make, the Opposition Czech team wins.
There are a number of reasons for this but the decisive one is that in order to carry this motion the Proposition USA team have to prove not only that home schooling is/can be worse than conventional schooling but that it is causing a harm that requires legislation to right. There was scant attempt to do that. Off the back of that prop need to expand upon how it would work and perhaps what sanctions would be in place to penalise offenders. They did neither.
I could agree all day that home schooling is not as good as conventional schooling and still not be able to award the deabate to prop. However I think opp does a very good job of dismantling arguments. They are able to step into the regulation vacuum that prop has left wide open, they have skillfully used evidence of home schooling models which work, and handled criticisms from prop on the definition of what home schooling means (which prop should have defined up front). They have also been able to characterise prop as making perfect the enemy of good by citing substantial evidence that home schooling works well in the majority of cases whilst accepting it can be abused. The prop point about indcotrination by parents was particulalry weak, the one hit they did score was on "non-schooling" though opp did their best to wriggle out of that by saying tha would be no worse than the de facto non schooling via conventional means.
My sense is the USA team is a well drilled unit, very articulate with sound use of evidence. However they did not define nor argue the motion properly, they ceded a lot of ground to their opposition and even on the points they did argue were bested as often as not.
The Czechs, met with an open goal chose to knock the ball in and still had the discipline to argue every point prop threw at them. I liked the tone of your argument and your tactics - your use of evidence was good but may need to be stepped up going forward.
<번역자 : 이민섭>
http://debatewise.org/debates/2256
토론 주제 : 홈스쿨링은 금지되어야 한다.
찬성 팀 : 미국, 반대 팀 : 체코 공화국
심판 판정 : Beth
이번 토론은 반대 팀이 이겼다.
홈스쿨링에 대한 강력한 정의와 홈스쿨링이 수반하는 해악이 고유한 것이라는 점을 제시하는데 실패하여, 찬성 팀은 부모들이 여전히 순전히 종교적인 관점에서, 단지 현존하는 사립 종교 학교들을 이용해서 그 환경을 통해 자녀들의 몰입 경험을 통제하느냐 마느냐를 결정할 수 있다는 강력한 공격에 스스로를 노출시켰다. 반대 팀은 찬성 팀 자신들이 형상화한 문제들에 대한 해결책을 제시해야 한다는 그 방향성을 간과했다는 점을 설득적으로 묘사해냈고, 찬성 팀이 왜 홈스쿨링이 법적 테두리 안에서 반드시 억제되어야 할 만큼의 손해를 야기하는지에 대해서 그들의 증명부담을 명백하게 이행하지 못했다.
찬성 팀은 종종 유창한 표현과 논리적 구조를 분명히 보여주었지만 문체상의 문제에서 ‘자아실현’ 과 같은 ‘토론’ 용어에 대한 과도한 의존은 어린이들이 학교 바깥의 환경에 의해 받는 모든 악영향에 대해 보다 의미 있는 논의를 펼치는 것을 방해했다. 주장 전개의 수준에 있어서, 한 아이가 겪을 수 있는 왜곡된 경험과 같은 것들을 예방할 수 있다는 것을, 예를 들어서, 팀의 지도적 원리로 삼기에는 약해 보였다. 그 예방에 대한 한 아이의 첫 반응이 ‘그들의 행동이 보다 커다란 전체에 영향을 끼친다’ 는 교훈을 깨칠 수 있도록 설득할 수 있다는 것은 그럴 것 같지도 않았고 사실 증명되지도 않았다.
반대 팀은 증거들을 효과적으로 다루었고, 토론을 이기기 위한 효과적인 정의와 메커니즘이 없었다는 점을 강조할 수 있는 효과적이고 잘 만들어진 주장들을 제시했다. ‘찬성 팀 계획이 달성 불가능하다’는 때늦은 주장이 나와서, 찬성 팀이 옹호했던 원리들과 관련해서 정의 측면에서의 문제들과 그 함축적 의미에 대해 보다 많은 분석을 제기하기는 했다. 앞으로의 토론에서 이런 주장들을 제시할 때, 이 주장들을 보다 일찍 내놓을 것을 권장하며, 상대 팀의 주장의 정의와 이론적 기초를 결정적으로 공격하는 수단으로 사용하기 바란다.
심판 판정 : tommyt67
너무 쉽게 판정해서 미안하지만, 반대 팀 체코가 이겼다.
몇 가지 이유가 있기는 했지만 결정적이었던 점은 이번 토론을 가져가기 위해 찬성 팀 미국은 홈스쿨링이 전통적인 학교 교육보다 안 좋을 수 있다는 것뿐만 아니라 그로 인해 발생되는 해로움이 법 제정을 요구할 만한 정당성을 부여한다는 점을 증명해야만 했다. 이 부분에 있어서 정말 시도가 부족했다. 그 점을 그 점을 제쳐놓고라도 찬성 팀은 어떻게 그것이 작동하고 아마도 무슨 제재가 위반자들을 벌할 것인지에 대한 설명을 보다 확장해야 했다. 그들은 이것도 하지 않았다.
나는 매일 매일 홈스쿨링이 전통적인 학교 교육만큼 좋지는 않다는 점에 동의를 할 수는 있지만 여전히 찬성 팀의 손을 들어줄 만하지 않다. 하지만 내 생각에 반대 팀은 주장을 해체시켜버리는 일을 아주 잘 해냈다. 그들은 찬성 팀이 널찍하게 열어놓은 규제의 공백을 잘 파고들 수 있었고, 그들은 홈스쿨링 모델이 작동하는 방식에 대한 증거들을 능수능란하게 이용했고, 홈스쿨링이 무엇인가(찬성 팀이 맨 처음부터 정의 내렸어야 했었던 것)에 대해 찬성 팀이 정의 측면에서 비판한 것들을 처리했다. 그들은 또한 찬성 팀이 좋은 것의 적이라는 점을 비록 오용될 가능성은 있지만 홈스쿨링이 대부분의 경우 잘 돌아가고 있다는 것을 실질적인 증거들을 인용해서 규명해내기도 했다. 부모의 가르침에 대한 찬성 팀의 주장은 특히나 약했고, 그들이 점수를 얻었던 부분은 비록 반대 팀이 전통적인 수단들이 사실상 학교 교육을 받지 않는 것인데 그것보다 더 나쁠 것이 없다고 하면서 최대한 잘 빠져나왔지만 찬성 팀은 ‘학교 교육을 받지 않는 것’에서 점수를 얻었다.
내 생각에 미국 팀은 잘 훈련된 부대였고, 증거를 잘 사용하면서 굉장히 분명하게 표현을 했다. 하지만 그들은 토론 주제를 적절하게 정의하지도 주장하지도 못해서, 많은 부분을 반대 팀에게 양보했고 심지어 그들이 주장했던 요점들조차도 종종 그들을 돕지 않았다.
체코 팀은 열린 목표를 만나서 골을 넣는 것을 선택했고 그러면서도 여전히 찬성 팀이 주장한 모든 요점들을 다 공격했다. 너희 팀의 주장과 전술이 마음에 들었다. 증거 사용은 좋았으나 보다 앞으로 나아갈 필요가 있겠다.
관련링크
댓글목록

ace나그네님의 댓글
ace나그네 작성일
'홈스쿨링'으로만 검색할 경우 관련 자료가 너무 많고, 그렇다고 '홈스쿨링', '금지'로 검색하자니 얼마 검색되지 않아서 '홈스쿨링', '의무', '교육'을 검색어로 해서 찾은 자료들을 아래와 같이 소개합니다. 대학생 이상 성인들 교육에서 사이버 대학이나 학점은행제, 독학사 정도를 유사 사례로 꼽을 수 있지만 홈스쿨링에서 쟁점이 되는 부모의 교육권과 국가가 강제하는 의무교육의 정당성 문제와는 거리가 생기기 때문에 아래 자료들 정도를 소개하면 충분할 것 같습니다. 관심 있는 분들은 다른 자료를 찾아보시면 되겠습니다.
1. 학위논문
(1)의무교육제도의 다양성 보장에 관한 헌법적 연구 : 홈스쿨링을 중심으로 http://www.riss.kr/link?id=T14584574
(2)한국에서의 의무교육 발전 범위와 접근전략에 대한 인식 연구 : 교원, 학부모, 전문가를 중심으로 http://www.riss.kr/link?id=T14040682
(3)의무교육의 공법적 문제에 관한 연구 : 법치주의와 기본권 신장의 문제를 중심으로 http://www.riss.kr/link?id=T10918264
(4)의무교육 유예·면제자의 교육권 보장 방안 http://www.riss.kr/link?id=T13174215
(5)의무교육제도에 대한 헌법적 연구 http://www.riss.kr/link?id=T12682453
(6)代案敎育에 對한 法制的 硏究 = (A) Lagislative Study on Alternative Education http://www.riss.kr/link?id=T8425367
(7)홈스쿨링 법제화에서의 민주시민교육방안 연구 http://www.riss.kr/link?id=T12904077
(8)홈스쿨링 합법화 국제 비교 연구 : 미국과 한국을 중심으로 http://www.riss.kr/link?id=T12936252
(9)한국의 홈스쿨링 운영 연구 http://www.riss.kr/link?id=T10821560
(10)초등학교에서의 대안교육 활성화 방안 http://www.riss.kr/link?id=T9000335
(11)한국 선교사 자녀 교육 현실에 대한 방안 http://www.riss.kr/link?id=T10940548
2. 책
(1)홈스쿨링의 정치학 http://www.riss.kr/link?id=M12052211
(2)홈스쿨링 : 부모·자녀의 소통 http://www.riss.kr/link?id=M13750115
(3)(교육학의 정통파)조화섭 교육학 실전길라잡이 http://www.riss.kr/link?id=M11035011
(4)초.중등교육법령 및 고등교육법령 개편연구 http://www.riss.kr/link?id=M10242167
(5)쫄지마, 학교 밖으로! : 막내딸과 함께한 거침없는 대안교육 에세이 http://www.riss.kr/link?id=M13385315
(6)독일 교육 이야기 : 꼴찌도 행복한 교실 http://www.riss.kr/link?id=M12225126
(7)새로운 길을 여는 부모들의 이야기 : 홈스쿨링·오래된 미래 http://www.riss.kr/link?id=M7843241
(8)미국교사를 보면 미국교육이 보인다 : 현지 뉴욕교사가 들려주는 아이들의 미래를 바꾸는 교육 이야기 http://www.riss.kr/link?id=M11862569
(9)학교탈출! 이제는 선택이다! http://www.riss.kr/link?id=M10252266
(10)(만화와 함께 생각하는)교육논쟁 20 http://www.riss.kr/link?id=M12184420
(11)자퇴매뉴얼 : 학교를 그만두고 싶은 학생과 학부모를 위한 지침서 http://www.riss.kr/link?id=M12503804
(12)자퇴 할까 학교에 남을까 : 자퇴를 고민하는 학생 그리고 교사, 학부모를 위한 가이드 http://www.riss.kr/link?id=M13778663
3. 학술논문
(1)미국의 홈스쿨링의 교육법적 검토 http://www.riss.kr/link?id=A19643783
(2)교육을 받을 권리의 헌법적 개념과 성격 http://www.riss.kr/link?id=A100314841
(3)미국 홈스쿨링의 제도화 과정분석과 시사점 http://www.riss.kr/link?id=A76461387
(4)홈스쿨운동의 전개와 시사 http://www.riss.kr/link?id=A76526427
(5)선교사 자녀들을 위한 홈스쿨링의 운영에 관한 연구 http://www.riss.kr/link?id=A82695430
(6)의무 취학제도 하에서 홈스쿨링 합법화의 의미와 전망 http://www.riss.kr/link?id=A76448399
(7)교육을 받을 권리의 자유권적 성격과 내용 http://www.riss.kr/link?id=A102129606
(8)홈스쿨링의 헌법적 쟁점 http://www.riss.kr/link?id=A103351584
(9)독일 교육법상 대체교육의 법리 http://www.riss.kr/link?id=A101880097
(10)취학의무의 거부와 국가의 교육권한 간 갈등에 대한 헌법적 해석 http://www.riss.kr/link?id=A100652994
(11)미국 의무교육법상 국가의 의무교육 제공과 부모의 교육선택권에 관한 고찰 http://www.riss.kr/link?id=A102128262
(12)日本의 義務敎育制度 考察 http://www.riss.kr/link?id=A825861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