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conomy 2020 세계 대학교 토론 대회 오픈 부문 준준결승전
페이지 정보
작성자 ace나그네 작성일 20-11-14 17:13 조회 476 댓글 0본문
토론 주제: 본 의회는 개발도상국들이 오픈마켓에서 사업 중인 다국적 기업들의 지분 상당수를 정부가 획득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Motion : This House believes that developing countries should acquire, on the open market, large stakes in major publicly - traded global corporations (eg. google, JP Morgan, Shell, and Pfizer)
원본 동영상 링크 1(Original Video Link): https://www.youtube.com/watch?v=sEOd2IQupeI&list=PL6arReRzs50JWplW4ywEZpPy_PTO1po45&index=5
주제 설명: Quarterfinals를 준준결승전이라고 하지 말고 8강이라고 단순하게 표현하는 게 낫지 않겠느냐는 생각을 했으나, 영국 의회식 토론 형식의 특성상 1경기에 2개 팀이 아니라 4개 팀이 참가한다는 문제가 있었습니다. 결승전은 예외로 치더라도, 준결승 대신 4강이라는 용어를 쓰면 8개 팀이 참가하고, 준준결승전이라고 부르는 대신 8강전이라고 이야기하면 16개 팀이 참가하는 등 용어가 현실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안 되는 상황이 있을 수 있다고 판단했습니다. 그래서 16강전은 준준준결승전이라고 하고, 32강전은 준준준준결승전이라고 부르는 식으로 하고, 그 외에도 상황에 따라 다른 용어를 사용 후 설명을 덧붙이는 식으로 할 생각입니다. 일단 위 주제는 사전 등의 참고 자료를 보고도 배경을 이해하기 어려워서 토론자들의 발언 일부를 확인 후 이 글을 작성했습니다. publicly를 공공연하게, 여론에 의해와 같이 번역할 수도 있기 때문에 다국적 기업의 시장 지분 또는 주식 지분 등을 누가 인수하냐의 문제 등 해석에 따라 토론의 배경 자체가 크게 바뀔 수 있는 복잡한 주제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찬성하는 입장에서는 오픈 마켓 자체가 수요자와 공급자의 자유 진입이 가능한 인터넷 전자상거래 시장이라는 점을 유념해 볼 때, 다국적 기업의 개발도상국 소재 오픈 마켓 사업이 지역 유통 업계나 개발도상국 자국의 산업을 고사시킬 수 있다는 지적을 할 수 있습니다. 경우가 좀 다르다고 하지만 한국의 경우 국내 영화 산업을 보호하기 위해 스크린쿼터제를 운영한다든가, 또는 관세 및 비관세 장벽 등을 통해 국내 산업을 보호하기도 하고, 국내에서 영업하는 외국계 기업에 과세를 하거나 국내법을 따르도록 하기 위해 추가적인 조치를 하는 등의 행위와 맞물려서 생각해 볼 수도 있는 문제입니다. 결국 자국에서 돈을 벌면 자국에 이득이 되게 하고 자국의 규칙도 따르라는 이야기를 할 수 있습니다. 반대하는 입장에서는 결국 사기업의 지분을 정부가 취득해서 경영 간섭을 할 수 잇다는 것이 위 주제가 의미하는 바인데, 개발도상국 정부 상당수가 과연 다국적 기업에 비해 청렴하고 국가와 국민의 이익을 대변할 준비가 잘 되어 있는지 의심된다는 주장을 펼 수 있습니다. 부패한 정부 관리가 지분을 관리하는 과정에서 정부와 기업에 손해를 끼칠 수도 있고, 다국적 기업이 개발도상국 내의 오픈 마켓에서 사업을 하는 과정에서 발휘할 수 있는 창의력을 지분 행사를 통한 간섭으로 무위로 돌릴 수도 있습니다. 아울러 중국 등의 경우는 안 그래도 법적 규제 등을 통해 자유로은 언론과 사상의 유통을 가로막고 있는데 회사의 지분까지 소유해서 기업 활동을 더 제약할 수 있다는 이야기를 할 수 있습니다.
<참고자료>
1. https://en.dict.naver.com/#/entry/enko/9f1f86f37688491592f8934182d102b7
2. https://en.dict.naver.com/#/entry/enko/912444c734e742fc923f37e458243e5e
3. https://en.dict.naver.com/#/entry/enko/785421e4417140b5bc63eaedcab117b7
4.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2064459&cid=42107&categoryId=42107
5. https://en.dict.naver.com/#/entry/enko/0600804c24bf4655bb218e5ea2124066
6. https://en.dict.naver.com/#/entry/enko/fe60b91931fc4f9f8235e927b938802b
토론 대회 소개: World Universities Debating Championships, 세계 대학교 토론 대회는 영어로 진행되는 세계에서 가장 큰 대회입니다. 대학생이 주로 참가하며(대학원생도 참가할 수 있겠습니다만...), 참가자 수로나 참가 대학 수로만 따졌을 때 지역 대회나 국내 대회가 더 클 수도 있기는 하나, 전 세계의 모든 대학교 학생들이 참가 자격을 가지고 있고 대학 졸업 후 일반인들이 정기적으로 참가할 수 있는 세계 토론 대회가 있느냐고 물을 경우 가장 큰 대회가 맞다고 할 수 있습니다. 한국에서는 동북아시아 최초로 세계 대학교 토론 대회가 https://blog.naver.com/debatekorea1/221460296356 와 같이 개최될 예정입니다. 원래는 올해 12월부터 내년 1월까지 진행될 예정이었으나 코로나 바이러스 사태로 인해 https://www.facebook.com/koreawudc2021/posts/2723951557863380 와 같이 2021년 7월 초로 연기되었습니다. 세계 대학교 토론 대회는 https://blog.naver.com/debatekorea1/221987802656 에 제시된 영국 의회식 토론 형식으로 진행됩니다. 2020년도 세계 대학교 토론 대회 동영상부터 https://www.youtube.com/playlist?list=PL6arReRzs50JWplW4ywEZpPy_PTO1po45 의 링크 등에서 차례대로 글을 올린 다음 2019년, 2018년과 같이 거슬러 올라가는 식으로 게시물을 올릴 예정입니다. 2021년 한국 세계 대학교 토론 대회 및 그 이후 대회 동영상이 나올 경우 어떤 순서로 게시물을 등록할지는 고민해보도록 하겠습니다.
토론 주제: 본 의회는 개발도상국들이 오픈마켓에서 사업 중인 다국적 기업들의 지분 상당수를 정부가 획득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Motion : This House believes that developing countries should acquire, on the open market, large stakes in major publicly - traded global corporations (eg. google, JP Morgan, Shell, and Pfizer)
1. 찬성합니다(I agree the motion).
2. 반대합니다(I disagree the motion).
3. 기권합니다(I abstain the motion).
관련링크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