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Home>토론게시판>핫이슈토론 |
사회 한국에 알콜중독자가 300만명!?
페이지 정보

본문
우리나라의 술 문제가 어제 오늘의 일은 아니지만 그 심각성이 도를 넘어서고 있답니다.
전체 국민들의 음주율은 매년 증가하고 있고, 특히 청소년과 여성 음주율은 계속 높아지는 추세인데 청소년(12∼19세)의 음주율이 32.3%나 달한다고 하니 이거 놀라지 않을 수 있겠습니까.
술 소비량을 살펴보면 성인 1인당 평균 소주 71.1병, 병맥주 140여병으로 매일 소주 1.5병과 맥주 3병을 마시고 있는 꼴입니다. 이러다보니 주류회사들의 이익은 1조원에 이르고 이들이 한해 내는 주세만 2조원을 넘는다고 하니... 가히 한국을 술의 천국이라 부르지 않을수 있겠습니까.
문제는 국민의 건강악화나 사고 등으로 술이 직접적인 원인이 돼서 사망하는 사람이 2만여 명에 이르고 사회경제적 비용 손실이 14조 9000억 원에 달한다는 것인데 우리나라 건강보험의 총 재정이 20조원을 약간 넘고 1년 국방예산이 20조원 정도라는 것을 고려해보면 실로 어마어마한 액수가 아닐수 없습니다.
가장 큰 문제는 역시 술중독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술은 일종의 화학약품으로 꾸준히 마실 경우 중독에 빠집니다.
술중독을 알콜중독이라고 부르는데 이것은 특정한 물질이나 정신에 '의존'해서 생기는 질병입니다. 이 중곡 현상은 술 뿐만 아니라 마약, 도박 등에서도 찾아 볼수 있는 병이죠.
선진한국 건설을 위해 일에 미쳐 살았던 우리 가장들은 막중한 스트레스에도 불구하고 술 외에는 달리 그것을 풀 방도가 없었습니다. 이러다보니 술에 중독된 사람이 어느덧 300만 명에 이르게 된것이고 이런 문화는 고스란이 우리 청소년들의 정신건강까지 파괴하게 되었습니다. ㅠㅠ 여러분은 300만명에 이르는 알콜의존 환자들을 어떻게 구제해야 한다고 생각하십니까?
댓글목록

Jaewon님의 댓글
Jaewon 작성일
정부와 스스로가 인식하지못하면 뭘하나마나겟지요,,
음주때문에 가정폭력이 더 심해지는듯해요,,솔직히
맨정신으로 사람때리면 그건 정신병이겟지요,,

프로즌좀비님의 댓글
프로즌좀비 작성일저는 술마시거나 담배피면 형에게 맞아 죽는다는....

의마지재님의 댓글
의마지재 작성일사는게 힘드니까 술도 느는것 아닐까요? 힘들면 술마시고, 부유하다 싶으면 마약하고, 중도를 지키기란..

토돌이님의 댓글의 댓글
토돌이 작성일의마지재님 의견에 동감합니다. 시민의 어깨가 무거워 보입니다. 언제나 웃음을 볼수 있을지... 지하철을 타던, 버스를 타던, 택시를 타던 행복한 모습 찾기가 힘들더군요... Let's enjoy pains...

PerFact님의 댓글
PerFact 작성일사는게 힘들어서 그렇죠뭐 정부가 근본적인 문제를 없에야 할텐데

흘러가는시간님의 댓글
흘러가는시간 작성일
알콜중독자 대부분이 어려운환경에 찌들어 있는 분들입니다
이건 개개인의 문제가 아니라 사회전체의 문제입니다
실업과 기타 등등의 사회문제속에서 생겨난
국가가 어느정도의 지원과 치료를 도와야 합니다

앙리님의 댓글
앙리 작성일
이 문제를 재정적 손실로 바꿔 생각하긴 문제가 있습니다.
어디에서 무엇을 하나 재정적 손실은 있기 때문에...
만약 술 이라는 게 없다면 사람들은 다른 놀거리로 많은 낭비를 할 수도 있고,
술을 못한다면 일의 능률이 떨어져 인적피해가 있을 수도 있으니까요.
이건 사회적 문제라고 볼 수 없죠. 개인이 통제해야 할 문제입니다.
술도 그렇지만 다른것들도 모두 문제점과 위험성이 수반되는 일이니까요.

놈현님의 댓글
놈현 작성일
중도.. 무엇이든간에 이것만 지키면, 세상 살아가는데 별 문제 없을겁니다.
힘들어도 중도를 지키는것이 좋을것 같습니다. 물론. 잘 안지켜지겠지만..

논구술의제왕님의 댓글
논구술의제왕 작성일
《Re》흘러가는시간 님 ,
정부는 이곳에 관여할 수가 없습니다. 지금 술 소비량의 80%정도는 아마 중독자들의 소비에 의한 것입니다. 정부가 개입을 한다고 해야 얼마나 하겠습니까? 해봐야 캠패인이나 술 판매량 감소지요. 아니면 술 가격을 올리거나, 하지만 지금까지 담배값 인상으로 인해서 흡연율이 꾸준히 줄어들었습니까? 물론 올리고 난 한달쯤은 내려가지만 그뒤로 다시 꾸준히 올라가는 것을 확인하실겁니다. 국가의 외부적 지원보다는 가정과 개개인의 의지가 중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