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Home>토론게시판>핫이슈토론 |
사회 한국 행복지수 178개국 가운데 102위
페이지 정보

본문

영국의 싱크 탱크인 신경제학재단(NEF)은 12일 삶의 만족도와 평균 수명, 생존에 필요한 면적과 에너지 소비량 등의 환경적인 여건 등을 종합해 178개국의 행복 지수 순위를 발표했는데요. 이 조사결과 한국은 하위권인 102위에 랭크됐습니다.
조사 결과에 의하면 가장 행복한 국가 1위는 바누아투 미국은 150위, 일본은 95위, 중국은 31위 등으로 나타났습니다....
이 조사 결과로 알수 있는 것은 행복지수는 국가나 개인의 경제력과는 비례하지는 않는다는 것이었습니다. 알마전에 주제토론방에 행복은 돈으로 살수있는가? 없는가?라는 가치토론을 했었는데요... 실제적으로 이렇게 세계 국가들의 행복지수가 나와 다시 한번 우리나라 국민들의 행복에 대해서 토론해 보고 싶었습니다.

1. 왜? 한국은 다른 국가들에 비해서 행복지수가 현격하게 떨어지는 것일까요?
2. 우리나라 사람들이 생각하는 삶의 철학이 국민 행복지수에 어떤 영향을 미치고 있을까요?
3. 어떤 요인만 잘 해결하면 우리나라 행복지수를 크게 높일수 있을까요?
4. 위 조사결과는 한국의 대다수 국민이 불행을 느끼며 살고 있다는 뜻인데...
불행한 국가에서 현재 본인의 처지와 현실을 말씀해 주시면 고맙겠습니다...
5. 우리나라 정치인과 교육자들을 포함한 지식인들이 한국의 행복지수를 높여주고 있습니까?
6. 본인은 한국 행복지수를 높여주기 위해서 어떤 역할을 할수 있습니까?
7. 여러분의 가정은 현재 행복합니까?

댓글목록

duq님의 댓글
duq 작성일미국이 150위라는 사실에 놀랐습니다. 제 생각으로는 경쟁사회가 심화될 수록 자신의 삶의 만족하는 개인적 가치는 낮아진다고 봅니다. 다른 사람들과 비교하게 되고 그 사람보다 더 나은 삶을 위해 노력하게되면서 누려야 할 것들 보다는 사회적인 성공이나 명예를 위해 참고 버티는 것이 아닐런지요. 특히 우리나라의 경우 인적 자원이 국가 원동력으로 작용하면서 높은 교육열과 취업난등으로 받는 스트레스는 더 할 것 같습니다.

로제드비님의 댓글
로제드비 작성일경제가 잘 풀리면 행복지수가 크게 높아질거라고 생각합니다. 가장 심각한 문제는 고용문제라고 보고 있구요. 한 쪽에서는 자발적인 백수가 있다고 하지만 실상 그들도 설 곳이 없어서 그렇게 된 것이 아닙니까? 이태백, 십장생.. 그런 소리 정말 무섭기만 합니다. 앞으로 사회인이 될 날이 머지 않아 그에 대한 걱정도 있는 편이구요. 그래도 행복은 마음가짐에서 비롯되는 것이 아닌가 싶네요..

프로즌좀비님의 댓글
프로즌좀비 작성일
事事如意. 모든 것이 뜻 대로 된다면 행복하겠죠...
학생으로써 취업,진학 문제가 저를 불행 하게 하는것 같습니다.
고민도 많고 앞으로 어떻게 살아야 하는지 걱정도 되고...
취업하려고 면접보았는데 떨어질것 같습니다. ㅠㅠ

의마지재님의 댓글
의마지재 작성일모르는게 약이다. 라는 말이 있죠. 우리나라도 제법 잘 사는 축에 속하지 않습니까. 적어도 대부분의 국민들이 배를 곯거나 하진 않죠. 이런 상황에서 절대적 빈곤으로 인한 불행이란 건 논점에서 제외됩니다. 남은건 상대적 관점 뿐이죠. 뱁새가 황새 따라가려다 다시가 찢어집니다. 시야가 트일수록 나보다 좋은(애매한 표현이긴 합니다만, 사람마다 다르니까 기준이.) 환경에 사는 사람들이 많이 보이죠. 그러면 행복해질 수 없습니다. 조넨 힘들게 달리는것 뿐입니다. 성인이 아닌이상.

PerFact님의 댓글
PerFact 작성일우리나라가 잘살게 되면서 욕망이 늘어난 탓이겟죠... 아무것도 모르던 그때는 아주 작은것에행복을 느꼈습니다. 사회가 발전 함에 따라 국민 모두에게 많은 것들이 불행하게 느껴졌고 많은 것들을 얻고 살게되었습니다. 그런데 욕구는 무한하다고 하죠? 더욱더 많은것들을 요구 하고 그것을 채우지 못했을시에는 불행하게 느껴질겁니다. 이에 대한 생각으로는 욕망을 억누르지 못합니다만 그것을 적게 줄이고 예전에 생각 사고로 돌아가면 괞찮지 않을가요?

엉뚱이님의 댓글
엉뚱이 작성일
예전에 이런 뉴스 보도가 있었던것 같습니다.
전국에서 서울이 삶의 질에서 최하위라는.
지금의 세계속 한국 전체의 행복지수 순위도 이런게 아닐까요?
실로 짧은 기간동안 우리나라는 대단한 성공을 거두었다고들 하죠?
한강의 기적이니 뭐니하면서.
성장에 급급한 나머지 일어난 현상이 아닐까 합니다.
차차 우리나라도 성장위주에서 삶의 질 위주로 바뀔꺼란 조심스런 전망을
해봅니다.

강승진님의 댓글
강승진 작성일
가지는것이 행복이 아니라 없는것이 오히려 행복인거같습니다....
행복지수로 따지자면 아프리카 세계1위일걸요

수르카님의 댓글
수르카 작성일
기술이 진보함에 따라 인간은 더욱 더 그 것에 대한 욕망이 커지고 그 욕망을 체우지 못하게 됨으로서 행복지수또한 정비례로 곤두박질을...
하지만 그러한 욕망이 있기에 기술 또한 발전이 되는 것이니...

아아아님의 댓글
아아아 작성일나라 꼴이 이모양인데 국민이 과연 행복할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