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Home>토론게시판>핫이슈토론 |
문화 지단 VS 마테라치
페이지 정보

본문

지단은 "마테라치가 몇차례 나의 셔츠를 잡아 당겨 셔츠를 원한다면 경기 끝나고 교환할 수 있다고 하자 마테라치가 나의 어머니와 누이에 대해 매우 거친 말을 했다. 나는 그의 말을 들으려 하지 않았는데 마테라치가 말을 반복했다."고 말했습니다.
지단은 "나는 자극을 받은 뒤 대응한 사람이다. 대응을 한 사람이 늘 벌을 받고 분노를 유발한 사람은 절대 벌을 받지 않는데 이는 공평하지 못하다."고 불만을 토로했습니다.

바로 지단이 말한 '자극 받은 뒤의 대응'과 '분노를 유발한 사람의 처벌' 관념인데요...
이런 말은 학생들이나 일반인들의 말싸움과 몸싸움 등에 모두 해당되는 일로 매우 중요한 일입니다. 확장 해석하면 북한의 입장과 미국의 입장과도 비교해서 생각해 볼수도 있는 문제가 됩니다...

1. 지단이 분노를 유발한 것인가? 마테라치가 분노를 유발한 것인가?
경기도중 수비하기 위해 지단의 옷을 잡은 마테라치가 분노를 유발한 것인가?
마테라치 행동을 꼬집어 경기 끝나고 셔츠를 교환할 수 있다고 말한 지단이 유발한 것인가?
2. 지단이 말한 자극 받은 뒤의 대응이 공평하다면 '박치기'를 해도 되는가?
3. 분노를 유발한 사람의 처벌로 따지면 지단을 벌해야 하겠는가? 마테라치를 벌해야 하겠는가?
(북한의 테러자금을 동결한 미국과 미국 때문에 고립되고 있는 북한 관계!?)

댓글목록

정찬boy님의 댓글
정찬boy 작성일지단의 박치기보다는 죽탱이를 갈겨야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