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Home>토론게시판>핫이슈토론 |
사회 서울 생활비 2위! 삶의질 50위!
페이지 정보

본문

오늘 MBC뉴스를 보니까 세계 주요 도시 가운데 우리나라 서울 생활비가 세계 두번째로 높은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비록 월드컵 축구는 16강 문턱에서 졌지만,,, 한국이 세계 2위하는 것이 있어서 유심히 뉴스를 봤습니다... ㅠㅠ
작년에 세계 5위였던 서울 생활비가 일본 도쿄를 제치고 세계 2위로 껑충 뛰었습니다.
이 말은 한국 생활비가 세계에서 두번째로 높아서 많이 든다는 뜻입니다.
미국의 컨설팅업체 MHRC의 조사 결과 세계 1위는 러시아의 모스크바가 차지했고 일본 도쿄가 3위, 홍콩과 영국 런던이 뒤를 이었습니다. 작년 4위였던 모스크바는 최근 부동산붐으로 1위로 올라섰고 작년 1위였던 도쿄는 엔화 약세로 3위로 밀렸습니다. 미국 뉴욕을 100으로 봤을 때 물가지수는 모스크바 124,서울 122, 11등으로 나타났습니다.
한편 같은 회사가 두 달 전 조사한 삶의 질 지수에서는 스위스 취리히,제네바, 캐나다 밴쿠버 등이 높은 점수를 받았습니다.
그런데.... 세계 물가 2위인 서울은 삶의 질에서는 세계 50안에도 들지 못했습니다.
이게 정상적인 나라인가요???

댓글목록

프로즌좀비님의 댓글
프로즌좀비 작성일저금리 정책으로 인해 시중에 돈이 너무 많이풀려서 그돈이 부동산 투기로 이어졌기 때문에 집값이 올라가면서 생활비가 증가 했다고 봅니다. 거품이 붕괴가 될때가 되었는데... 시간이 지나면 괜찬아 지겠죠 정부가 놀고 있는겄도 아니니 말이죠

지킴이님의 댓글의 댓글
지킴이 작성일문제는 가뜩이 돈 없는 사람들의 집장만이 아닌가 생각합니다. 은행권에선 부동산투기 억제정책의 일환으로 이미 서민들의 가계대출을 막았거든요. 이미 올라간 집값을 잡으면 은행부실로 이어지기 때문에 은행들은 신규대출자금을 고육지책으로 막기만할 공산이 큽니다. 그게 쉽기 때문입니다. 이미 대출된 돈을 회수하는 과정이 따라야 집값 폭등을 막을수 있습니다.

오프사이더님의 댓글
오프사이더 작성일정부의 정책이나 은행권의 자세한 정책에 대해 많이 알지는 못하지만, 맨처음 이 기사를 보았을땐, 서울에서 살기가 만만한게 아니구나라는 생각이 들더군요. 평범한 서민의 한사람으로 어떻게 살아가야할까 하는 의문이 생기더라구요. 정부가 새로운 정책이나 어떤 대안을 제시하더라도 그것이 나타나기까지는 시간이 걸리는데 얼마만큼의 시간이 걸릴지 알수도 없으니 말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