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Home>토론게시판>핫이슈토론 |
경제 '10대 지표 전부 마이너스' 한국이 무너지고 있다
페이지 정보

본문
한국경제 10대 지표, 전부 마이너스…"구조적 장기 침체"
전경련 "구조개혁과 함께 신성장 동력 확보 시급"
최근 한국 경제를 짓누르는 경기부진 문제가
일시적인 것이 아니라 5년 이상 지속돼온 결과라는 주장이 제기됐다.
6일 전국경제인연합회(전경련)에 따르면
2010년 1분기 20.4%까지 올랐던 노동생산성 증가율은
2012년 4분기 1.2%를 기록한 이후 마이너스대로 하락해
2015년 3분기까지 11분기 연속 0% 이하의 증가율을 보이고 있다.
전경련은 이러한 지표 분석을 바탕으로 "현재 우리 경제는
구조적 장기 침체로 인해 경제 기반이 무너지고 있는 상태"라고 진단했다.
제조업 평균가동률도 2011년 80.5%를 기록한 이래
4년 연속으로 하락해 2015년 74.2%까지 떨어졌다.
이는 IMF 외환위기 때인 1998년(67.6%) 이후
가장 낮은 수치로 글로벌 금융위기 직후인 2009년(74.4%)보다 낮은 것이다.
상장기업의 매출액도 예년에 비해 크게 감소했다.
특히 30대 기업의 하락세는 더욱 커서
2014년 2분기 이후 6분기 연속 마이너스 증가율을 기록 중이다.
수출은 최근 14개월 연속 하락세를 기록하며 최장 기록을 갈아치웠다.
1960년대와 1970년대 40%대를 유지하던 수출 증가율은
1980년대에 들어서면서 10%대로 하락했고,
2010년 이후에는 평균 7.1%대에 그치고 있다.
수출단가는 2010년을 100으로 놓고 봤을 때
2011년 8월 108.4 기록한 이후 지속적인 하락세를 보였다.
2016년 1월에는 77.8로 1988년 통계 산정 이래 최초로 80 이하로 떨어졌다.
민간소비 역시 부진을 면치 못하고 있다.
2007년 5.1%의 성장률을 보이던 것에 비해
2012년 이후로는 2% 전후의 증가율에 그치고 있다.
이에 따라 전체 GDP에서 민간소비가 차지하는 비율도
2012년 51.4%에서 2013년 50.9%, 2014년 50.4%로 하락했다.
국내 총투자율도 하락세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설비투자 감소 등으로 2012년 2월 이후 30%를 넘지 못하고 있다.
투자율 하락은 미래의 경제 성장률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인구 감소 역시 한국경제에 암운을 드리우는 주요 요인이다.
생산가능인구(15∼64세)가 올해를 정점으로 감소할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경제활동이 가장 활발한 나이인
25∼49세에 해당하는 인구는 이미 감소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보출처: http://daily.hankooki.com/lpage/economy/201603/dh20160306145928138060.htm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