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Home>토론게시판>핫이슈토론 |
정치 맥아더 동상! 철거해야 하나? 사수해야 하나?
페이지 정보

본문
지난 토요일 오후 인천 자유공원 앞에서 '맥아더 동상 철거'를 주장하는 진보단체와 '맥아더 동상 사수'를 주장하는 보수단체가 투석전까지 했다니 보혁 간의 이념 대립과 갈등이 얼마나 심각한가?
각 단체들의 성격과 주장하는 바가 크게 달라 서로 협의점을 찾기가 여간 힘들어 보이질 않는다.
▶ 맥아더 동상 철거 주장 (전국민중연대와 전국통일연대,한총련 등 진보단체 소속 회원)
1. 맥아더는 양민을 학살한 민족의 원흉이며, 남북통일을 가로막은 원수다.
2. 맥아더 장군은 민족의 학살자, 전쟁광이다. 맥아더의 동상을 역사 속으로 던져야 한다.
3. 맥아더 장군은 '호전론자', '제국주의의 상징'이다. 점령군의 괴수로 규정해야 옳다.
4. 맥아더 장군은 일부 친미주의자들의 자유만 지켰다.
▶ 맥아더 동상 사수 주장 (황해도민회, HID 북파특수임무수행자보국단 등 보수단체 소속 회원)
1. 맥아더 장군은 한국전쟁 당시 인천상륙작전을 성공시켜 적화 위기에 있던 우리를 구한 인물이다.
2. 맥아더 장군의 동상은 절대로 철거해서는 안 될 역사적 기념물이다.
3. 맥아더 장군의 군적은 전세계 자유진영의 박수를 받은 역사적 사건이다.
4. 인천상륙작전과 맥아더를 부인하는 것은 자유 대한민국의 정체성을 부인하는 것이다.
여러분은 맥아더 동상에 대해서 철거해야 한다고 생각하는가? 사수해야 한다고 생각하는가?
임일균:
주한미군의 한국에 대한 법적 책임절차상의 공백이 주된 문제입니다.
소파가 국제법을 참조하여 개정되는 것이 가장 좋은 해결책입니다.
-[09/13]-
박종우: 6.25 전쟁이 남침인지 북침인지에 대해선 찬반 논쟁이 없는 것 같다. 대다수 한국 국민들과 세계인들은 6.25전쟁을 소련과 북한에 의한 남침으로 규정해 놓고 있다. 그렇다면 6.25전쟁의 가장 큰 피해자는 남한 사람들이다. 그 내용과 사상이 어떻든 간에 무력으로 강점 당할 위기에 봉착했던 그 시대 남한 사람들은 필사적으로 적화되는 것을 막아야 했을 것이다. 힘이 모자라면 그 역사적으로 흔하게 벌어진 동맹관계도 맺을수 있었을 것인데... 왜? 지금에 와서 그런 것이 문제가 되는지 이해할 수가 없다. 6.25전쟁에서 남한이 졌다면 맥아더 장군상이 있던 자리에 틀림없이 김일성 동상이나 북한에 도움을 준 구소련, 중공군의 장군 동상이 세워졌을 것이다. 맥아더 장군상 철거를 주장하는 노력의 100분의 1이라도 저 북한의 변화와 개혁을 요구했으면 하는 것이 나의 생각이다. -[09/13]-
임일균:
맥아더 장군의 행적에 문제가 있다면 그대신 인천상륙작전을 형상화한 기념물은 어떨까요? -[09/14]-
박혜민: 맥아더 장군 때문에 우리 나라가 통일이 되지 않았습니다. 하지만 또 맥아더 장군은 우리나라에게 많은 도움ㄷ을 줬습니다. 그러므로 맥아더 장군의 동상을 철거하고 따로 인천상륙작전을 기념하는 기념관을 짓는 것이 좋겠다고 생각합니다. -[09/15]-
조재연: 지금은 그가 양민을 학살한 민족의 원흉이고 남북통일을 가로막은 원수 인지도 모릅니다.
저도 하나였던 몸을 가르고 이제는 둘로 살아가고 또 하나였던 때를 모르는 바보 같은 두 형제는 서로의 얼굴을 기억 하지 못하게 되버린 현실을 만든 장본인 중 하나인 맥아더 장군을 미워 합니다.
하지만 6·25 전쟁 당시 그는 지치고 힘들었던 전쟁 속에서 우리의 영웅이였고 또 결국은 전쟁의 종지부를 찍었습니다. 지금은 민주주의건 공산주의건 개념치 않지만 만약 그가 없었다면 이 땅에 민주주의는 없었을 겁니다.
네, 다 조국이 힘이 없었기 때문입니다. 분단이라는 결과를 낳고 말았지만 우리는 그에게 도움을 받은 사실을 부인할수 없을 것입니다. 우리 대(大!!)한민국은 절대 은혜를 원수로 갚는 나라가 아닙니다. 분하지만 인정해야 한다고 저는 생각합니다. -[09/20]-
최병묵: 《 나의 생각 》
맥아더 동상은 아무런 의미가 없는 것같다. 6.25전쟁 당시 남한이 불리한 상황에서 맥아더는 인천상륙작전을 통해 전세를 역전하여 지금의 남한이 있을 수 있었다. 하지만 맥아더는 우리 민족을 학살하고 남북통일을 가로막았다. 6.25전쟁 당시 맥아더는 영웅과도 같은 인물이었지만 맥아더 동상을 세우는 것은 과다고 생각한다. 맥아더 동상을 통해 우리가 얻은 것을 무엇이고 무슨 의미가 있겠는가? 맥아더 동상을 통해 지금의 남과 북은 서로 좋은 것이 없을 커녕 거리감과 이질감을 들게 한다. 반면 우리가 김일성 동상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는가? 긍정적으로 생각하지는 않을 것이다. 우리나라의 이상적 목표 중 하나는 남북통일이다. 남북통일을 이룩하게 되면 통일 초기에는 약간의 어려움이 있겠지만 북한의 강력한 군사력으로, 북한의 지하자원과 금강산 관광 등과 같은 경제적 등으로 선진국으로 발전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목표를 위해 통일을 가로 막을 맥아더 동상은 철거되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10/19]-
임일균: 맥아더 동상은 인천 앞 바다에 백사장에 일본을 보게 세워둡시다.
이 참에 하나 더 만들어서 야스쿠니에 하나 선물하면 좋을 듯... -[10/30]-
각 단체들의 성격과 주장하는 바가 크게 달라 서로 협의점을 찾기가 여간 힘들어 보이질 않는다.
▶ 맥아더 동상 철거 주장 (전국민중연대와 전국통일연대,한총련 등 진보단체 소속 회원)
1. 맥아더는 양민을 학살한 민족의 원흉이며, 남북통일을 가로막은 원수다.
2. 맥아더 장군은 민족의 학살자, 전쟁광이다. 맥아더의 동상을 역사 속으로 던져야 한다.
3. 맥아더 장군은 '호전론자', '제국주의의 상징'이다. 점령군의 괴수로 규정해야 옳다.
4. 맥아더 장군은 일부 친미주의자들의 자유만 지켰다.
▶ 맥아더 동상 사수 주장 (황해도민회, HID 북파특수임무수행자보국단 등 보수단체 소속 회원)
1. 맥아더 장군은 한국전쟁 당시 인천상륙작전을 성공시켜 적화 위기에 있던 우리를 구한 인물이다.
2. 맥아더 장군의 동상은 절대로 철거해서는 안 될 역사적 기념물이다.
3. 맥아더 장군의 군적은 전세계 자유진영의 박수를 받은 역사적 사건이다.
4. 인천상륙작전과 맥아더를 부인하는 것은 자유 대한민국의 정체성을 부인하는 것이다.
여러분은 맥아더 동상에 대해서 철거해야 한다고 생각하는가? 사수해야 한다고 생각하는가?

주한미군의 한국에 대한 법적 책임절차상의 공백이 주된 문제입니다.
소파가 국제법을 참조하여 개정되는 것이 가장 좋은 해결책입니다.
-[09/13]-


맥아더 장군의 행적에 문제가 있다면 그대신 인천상륙작전을 형상화한 기념물은 어떨까요? -[09/14]-


저도 하나였던 몸을 가르고 이제는 둘로 살아가고 또 하나였던 때를 모르는 바보 같은 두 형제는 서로의 얼굴을 기억 하지 못하게 되버린 현실을 만든 장본인 중 하나인 맥아더 장군을 미워 합니다.
하지만 6·25 전쟁 당시 그는 지치고 힘들었던 전쟁 속에서 우리의 영웅이였고 또 결국은 전쟁의 종지부를 찍었습니다. 지금은 민주주의건 공산주의건 개념치 않지만 만약 그가 없었다면 이 땅에 민주주의는 없었을 겁니다.
네, 다 조국이 힘이 없었기 때문입니다. 분단이라는 결과를 낳고 말았지만 우리는 그에게 도움을 받은 사실을 부인할수 없을 것입니다. 우리 대(大!!)한민국은 절대 은혜를 원수로 갚는 나라가 아닙니다. 분하지만 인정해야 한다고 저는 생각합니다. -[09/20]-

맥아더 동상은 아무런 의미가 없는 것같다. 6.25전쟁 당시 남한이 불리한 상황에서 맥아더는 인천상륙작전을 통해 전세를 역전하여 지금의 남한이 있을 수 있었다. 하지만 맥아더는 우리 민족을 학살하고 남북통일을 가로막았다. 6.25전쟁 당시 맥아더는 영웅과도 같은 인물이었지만 맥아더 동상을 세우는 것은 과다고 생각한다. 맥아더 동상을 통해 우리가 얻은 것을 무엇이고 무슨 의미가 있겠는가? 맥아더 동상을 통해 지금의 남과 북은 서로 좋은 것이 없을 커녕 거리감과 이질감을 들게 한다. 반면 우리가 김일성 동상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는가? 긍정적으로 생각하지는 않을 것이다. 우리나라의 이상적 목표 중 하나는 남북통일이다. 남북통일을 이룩하게 되면 통일 초기에는 약간의 어려움이 있겠지만 북한의 강력한 군사력으로, 북한의 지하자원과 금강산 관광 등과 같은 경제적 등으로 선진국으로 발전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목표를 위해 통일을 가로 막을 맥아더 동상은 철거되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10/19]-

이 참에 하나 더 만들어서 야스쿠니에 하나 선물하면 좋을 듯... -[10/30]-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