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Home>토론게시판>핫이슈토론 |
정치 청와대가 사이버논객 관리했다고?
페이지 정보

본문
청와대가 친노 성향의 사이버 논객들을 집중적으로 관리하고 있다는 주장이 제기돼 인터넷 공간이 뜨겁게 달아 오르고 있다. 브레이크뉴스(www.breaknews.com)는 13일 ‘청와대, 논객 통해 사이버 여론 조작 의혹’, ‘인터넷논객, 청와대 향응 받았다 밝혀 파문’등 2건의 기사를 올려 청와대가 사이버 논객들을 선별해 집중관리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브레이크뉴스에 따르면, 청와대가 지난해 토론사이트 서프라이즈(http://www.seoprise.com) 등에서 활동 중인 사이버 논객 10여명과 수차례 만나 식사를 하면서 “글을 잘 써줘서 고맙다, 앞으로도 잘 부탁한다”고 말했으며 이라크 파병문제나 부안 사태에 관한 의견을 나눴다는 것.
이와 관련 서프라이즈의 공희준 편집장은 식사 모임에 참석한 8명의 명단을 이날 자사 게시판에 공개하고 “지난해 3월과 11월 박주현 청와대 국민참여수석과 저녁모임을 가진 것은 사실이지만 시중 여론을 청취하는 정도의 사적인 자리였다”고 해명했다. 그러나 칼럼니스트 진중권씨가 진보누리 사이트에 ‘서프 논객의 고백을 촉구합니다’라는 글을 올리면서 네티즌들의 논란은 계속 확산되고 있다. 진중권씨는 “인터넷 논객들이 청와대의 초대를 받아 주기적으로 밥을 먹으며 글 청탁을 받아왔다는 것은 그 자체만으로 스캔들이며 중대한 반칙”이라고 주장했다.
네티즌들도 “노대통령이 왜 서프라이즈에 창간1주년 특별기고를 할 정도로 정성을 쏟아부었는지 이해가 간다”며 “문제의 논객들은 반성하라”고 맞장구 쳤다. 반면 서프라이즈 필진 김동렬씨는 “박 수석은 그동안 70여개의 단체를 만나고 40여회의 현장을 방문했다”며 “여론 수렴이 그의 고유업무이기에 서프라이즈 필진들을 만난 것은 잘못이 아니다”고 반박했다. 서프라이즈측 네티즌들도 “친한 사람들끼리 밥 좀 같이 먹은게 무슨 문제냐”며 “신생 인터넷 언론이 주목 받기 위해 사건을 부풀렸다”고 주장했다. 사건을 보도한 브레이크뉴스는 지난해 12월 29일 인터넷 언론인 ‘대자보’와 정치컬럼 웹진 ‘시대소리’가 통합해 창간된 매체다. 최현정 동아닷컴 기자 phoebe@donga.com
박종우(redpoint): 노무현 대통령은 토론공화국을 선포하셨던 분이 아닌가? 난 한 가지 의아해 하는 점이 있다...노무현 대통령은 자신있게 임기 초 청와대에 입성하면서 자신의 노하우 홈페이지와 청와대 홈페이지를 연계하여 결합시켰었는데, 지금 토론공화국이 제대로 잘 만들어지고 있는지 묻고 싶다. 나는 청와대와 같은 정부조직 등에서는 토론이 불만접수 창고로 국민들의 불만을 듣는 자리 밖에는 안된다는 생각을 가졌었다. 서로 이견이 다른 사람과 함께하는 자리를 마련하기 위해서는 이해와 목적, 색깔이 없는 사이트에서 토론을 해야 한다고 믿는 사람이다. 우리 사회가 자꾸 혼란스러워 지는 것은 토론문화란 것을 생각하기도 전에 목적을 지향하는 색깔집단에 의해 '꾼'들이 설쳐대기 때문인지도 모른다는 생각을 해 보았다. 충분히 예상되었던 일이다. 한국 토론문화의 장애가 창와대와 언론사들이 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토론장은 순수해야 한다...목적이나 색깔을 배제 시켜야 한다는 이야기다... -[01/17]-
이와 관련 서프라이즈의 공희준 편집장은 식사 모임에 참석한 8명의 명단을 이날 자사 게시판에 공개하고 “지난해 3월과 11월 박주현 청와대 국민참여수석과 저녁모임을 가진 것은 사실이지만 시중 여론을 청취하는 정도의 사적인 자리였다”고 해명했다. 그러나 칼럼니스트 진중권씨가 진보누리 사이트에 ‘서프 논객의 고백을 촉구합니다’라는 글을 올리면서 네티즌들의 논란은 계속 확산되고 있다. 진중권씨는 “인터넷 논객들이 청와대의 초대를 받아 주기적으로 밥을 먹으며 글 청탁을 받아왔다는 것은 그 자체만으로 스캔들이며 중대한 반칙”이라고 주장했다.
네티즌들도 “노대통령이 왜 서프라이즈에 창간1주년 특별기고를 할 정도로 정성을 쏟아부었는지 이해가 간다”며 “문제의 논객들은 반성하라”고 맞장구 쳤다. 반면 서프라이즈 필진 김동렬씨는 “박 수석은 그동안 70여개의 단체를 만나고 40여회의 현장을 방문했다”며 “여론 수렴이 그의 고유업무이기에 서프라이즈 필진들을 만난 것은 잘못이 아니다”고 반박했다. 서프라이즈측 네티즌들도 “친한 사람들끼리 밥 좀 같이 먹은게 무슨 문제냐”며 “신생 인터넷 언론이 주목 받기 위해 사건을 부풀렸다”고 주장했다. 사건을 보도한 브레이크뉴스는 지난해 12월 29일 인터넷 언론인 ‘대자보’와 정치컬럼 웹진 ‘시대소리’가 통합해 창간된 매체다. 최현정 동아닷컴 기자 phoebe@donga.com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