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Home>토론게시판>핫이슈토론 |
정치 신입사원 채용 시 외모와 성차별은 존재하는가?
페이지 정보

본문
한국 대기업들이 신입사원 채용 시 성차별과 외모차별이 여전히 존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외모도 취업당락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21세기 우리가 바라고 원하는 취업환경과 취업경쟁을 살펴보고, 취업 부조리에 대해서 함께 논의해 보고자 합니다. 취업은 일하기 위한 목적으로 행해지는 개인과 단체 간의 사회계약이며, '외모'나 '학벌'은 이에 대한 충분조건이나 의무조건은 될 수 없다는 인식이 점차 높아지고 있습니다.
여러분은 한국의 취업문화에 대해서 어떻게 생각하고 계십니까?
아래 여론조사는 대학생 인터넷신문 '투유(www.tou.co.kr)'가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이다.
질문: 비슷한 조건이라면 어던 성별이 유리하다고 생각하는가?
1. 남자라고 생각한다. (68%)
2. 여자라고 생각한다. (9%0
3. 남자 여자 별 차이가 없다. (23%)
질문: 비슷한 조건이라면 선호하는 성별은?
1. 남자를 선호합니다. (44%)
2. 여자를 선호합니다. (0%)
3. 남자든 여자든 상관 없습니다. (56%)
질문: 본인의 취업가능성에 대해 어떻게 평가하십니까?
1. 내가 원하는 기업에 충분히 입사 가능합니다. (26%)
2. 1순위는 어려워도 2~3순위는 가능합니다. (45%)
3. 내가 원하는 기업에는 어렵습니다. (21%)
4. 취업에 별로 가능성이 없어 보입니다. (2%)
5. 기타 다른 의견이 있습니다. (6%)
질문: 수도권 대학 출신과 지방권 대학 출신의 업무능력에 차이가 있다고 보십니까?
1. 수도권 대학 출신이 상당히 우수하다고 생각합니다. (22%)
2. 수도권 대학 출신이 약간 우수하다고 생각합니다. (34%)
3. 별로 차이가 없다고 생각합니다. (43%)
4. 지방권 대학 출신이 약간 우수하다고 생각합니다. (0%)
5. 지방권 대학 출신이 상당히 우수하다고 생각합니다. (1%)
질문: 당 기업에서는 비스산 성적이라면 명문대 출신을 선호하는가?
1. 그렇다. (26%)
2. 아니다. 출신대학은 상관하지 않는다. (64%)
3. 학력은 전혀 상관없다. (10%)
질문: 각종 국가고시 자격이나 고학력 학위가 있을 경우 그것이 당 기업의 업무와 별 상관이 없는 것이라고 해도 채용에 유리하게 작용하는가?
1. 그렇다. (22%)
2. 아니다. (78%)
질문: 본인의 취업가능성에 대해 어떻게 평가하는가?
1. 내가 원하는 기업에 충분히 입사가 가능하다. (26%)
2. 1순위는 어려워도 2~3순위는 입사가 가능하다. (45%)
3. 내가 원하는 기업에는 입사가 어렵다. (21%)
4. 취업에 별 가능성이 없어 보인다. (2%)
5. 기타 의견이 있다. (6%)
질문: 우선적으로 지원하고자 하는 기업의 종류는?
1. 공기업 (35%)
2. 국내 대기업 (34%)
3. 중소기업 및 벤처기업 (14%)
4. 다국적기업 (17%)
여론조사정보출처: http://www.dailian.co.kr/news/n_view.html?kind=tot&id=22369
김주영: 아무나 할 수 있는 직종의 경우에는 외모나 성의 차별이 있을 것 같지만,
회사의 운명을 좌지우지할 정도의 특별한 전문직종의 경우에는 오직 능력의 차별만 있을 것 같습니다. -[07/14]-
21세기 우리가 바라고 원하는 취업환경과 취업경쟁을 살펴보고, 취업 부조리에 대해서 함께 논의해 보고자 합니다. 취업은 일하기 위한 목적으로 행해지는 개인과 단체 간의 사회계약이며, '외모'나 '학벌'은 이에 대한 충분조건이나 의무조건은 될 수 없다는 인식이 점차 높아지고 있습니다.
여러분은 한국의 취업문화에 대해서 어떻게 생각하고 계십니까?
아래 여론조사는 대학생 인터넷신문 '투유(www.tou.co.kr)'가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이다.
질문: 비슷한 조건이라면 어던 성별이 유리하다고 생각하는가?
1. 남자라고 생각한다. (68%)
2. 여자라고 생각한다. (9%0
3. 남자 여자 별 차이가 없다. (23%)
질문: 비슷한 조건이라면 선호하는 성별은?
1. 남자를 선호합니다. (44%)
2. 여자를 선호합니다. (0%)
3. 남자든 여자든 상관 없습니다. (56%)
질문: 본인의 취업가능성에 대해 어떻게 평가하십니까?
1. 내가 원하는 기업에 충분히 입사 가능합니다. (26%)
2. 1순위는 어려워도 2~3순위는 가능합니다. (45%)
3. 내가 원하는 기업에는 어렵습니다. (21%)
4. 취업에 별로 가능성이 없어 보입니다. (2%)
5. 기타 다른 의견이 있습니다. (6%)
질문: 수도권 대학 출신과 지방권 대학 출신의 업무능력에 차이가 있다고 보십니까?
1. 수도권 대학 출신이 상당히 우수하다고 생각합니다. (22%)
2. 수도권 대학 출신이 약간 우수하다고 생각합니다. (34%)
3. 별로 차이가 없다고 생각합니다. (43%)
4. 지방권 대학 출신이 약간 우수하다고 생각합니다. (0%)
5. 지방권 대학 출신이 상당히 우수하다고 생각합니다. (1%)
질문: 당 기업에서는 비스산 성적이라면 명문대 출신을 선호하는가?
1. 그렇다. (26%)
2. 아니다. 출신대학은 상관하지 않는다. (64%)
3. 학력은 전혀 상관없다. (10%)
질문: 각종 국가고시 자격이나 고학력 학위가 있을 경우 그것이 당 기업의 업무와 별 상관이 없는 것이라고 해도 채용에 유리하게 작용하는가?
1. 그렇다. (22%)
2. 아니다. (78%)
질문: 본인의 취업가능성에 대해 어떻게 평가하는가?
1. 내가 원하는 기업에 충분히 입사가 가능하다. (26%)
2. 1순위는 어려워도 2~3순위는 입사가 가능하다. (45%)
3. 내가 원하는 기업에는 입사가 어렵다. (21%)
4. 취업에 별 가능성이 없어 보인다. (2%)
5. 기타 의견이 있다. (6%)
질문: 우선적으로 지원하고자 하는 기업의 종류는?
1. 공기업 (35%)
2. 국내 대기업 (34%)
3. 중소기업 및 벤처기업 (14%)
4. 다국적기업 (17%)
여론조사정보출처: http://www.dailian.co.kr/news/n_view.html?kind=tot&id=22369

회사의 운명을 좌지우지할 정도의 특별한 전문직종의 경우에는 오직 능력의 차별만 있을 것 같습니다. -[07/14]-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