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Home>토론게시판>핫이슈토론 |
사회 메르스 감염병원 이름공개 Vs 공개 불가 여러분은?
페이지 정보

본문
메르스(중동호흡기증후군·MERS) 관련 정부 공개의 범위를 놓고
정부와 여당이 이견을 보이고 있다.
특히 입장이 갈리는 부분은 메르스 환자가 발생한 병원의 실명(實名)을
공개하느냐 여부다.
정부는 여전히 ‘공개 불가’ 입장을 고수하고 있지만,
새누리당 내에선 “비공개 원칙은 이제 한계가 왔다”는
목소리가 점차 커지고 있다.
메르스가 점차 확산되자 새누리당은 3일 당내 메르스 비상대책특위를 출범시켰다.
이날 이뤄진 첫 비공개 회의에선 메르스 환자가 입원을 했거나
진찰을 받은 병원 목록을 일부라도 공개해야 한다는
의견이
많이 나왔던 것으로 알려졌다.
한 참석자는 “환자가 발생한 병원 중 사람들이 많이 이용하는 대형병원이나
초·중·고교 인근의 병원 이름이라도 공개할 필요가 있다”며 “
현 상황에서 정부가 병원 이름을 일체 공개하지 않는 것은
국민의 불안감을 더 키울 수 있다”고 했다.
또다른 특위 위원도 “복지부에 사람들이 특히 많이 이용하는
일부 병원 이름이라도 공개해서
국민들이 스스로 조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어떻겠느냐고 제의했지만
정보 공개로 인한 부작용이 더 크다는 답변이 돌아왔다”고 했다.
이어 “이미 카카오톡 등 SNS를 통해 확인되지 않은 병원 이름이 돌고 있는 상황에서
정부의 비공개 원칙이 얼마나 실효성이 있는지 의문”이라고 했다.
그러나 정부는 “병원을 공개하면 혼란은 더욱 증폭되고 메르스 방역망에도
구멍이 뚫린다”는 입장이다.
정부의 메르스 민관합동대책반 공동위원장인 김우주 대한감염학회 이사장은
지난 31일 언론 브리핑에서 “메르스 환자를 열심히 치료하고 있는 안전한 병원,
검증된 병원들이 공개되면서 부작용이 나타날 우려가 상당히 심각하다"고 했다.
메르스 '낙인’이 찍힌 병원의 환자들이 대거 다른 병원으로 옮겨가겠다고 할 경우
간염병 통제가 더 어려워질 수 있고 병원 역시 심각한 경제적 타격을 입을 수 있다.
병원이 이런 사태를 겪게 되면 환자를 당국에 신고해야 할 민간 병원 경영진이
경영상 피해를 우려, 장기적으로 오히려 방역망에 구멍이 뚫리게 될 수 있다는 점도
보건당국이 우려하는 대목이다.
김우주 이사장은 “국가지정병원이 아닌데도 희생적으로
메르스 환자를 치료하는 병원들이
도마에 오르면 앞으로 민간에서는 감염병 치료를 안 하겠다고 나올 수도 있다”고 했다.
민간 병원 위주의 의료체제인 미국보다도 더 공공병원 비중이 낮은 우리나라에서
민간이 감염병 치료를 꺼리면 감염병 대응은 사실상 불가능해져 메르스로 인한
피해와 혼란이 더 커진다는 것이다.
[출처] 본 기사는 조선닷컴에서 작성된 기사 입니다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5/06/04/2015060401391.html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