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Home>토론게시판>핫이슈토론 |
정치 5월 가정의 달을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페이지 정보

본문
우리 사회와 가정이 안고 있는 다양한 문제들에 대해서 토론해 보았으면 좋겠습니다. 우리는 매년 5월을 가정의 달로 지정해 많은 행사를 개최하고 있습니다만, 한국의 가족문제, 맞벌이 부부의 육아문제, 출산문제 등에 대해 명확한 진단은 어려웠습니다. 이 문제를 여러분과 함께 토론해 보고자 합니다.
여러분은 한국 가정의 문제가 어떤 것이 있고
어떻게 하면 이런 문제들을 풀 수 있다고 생각하시는지요?
김지연: 요즘은 맞벌이라든지. 일상생활에 ?겨서 힘든생활을 합니다. 그런데 요즘 신문에서는 아이들의 범행이나. 나쁜길로 만이 빠져 들어 나쁜일을 하는 사람들이 많습니다. 그런데 그런사람들은 대부분 엄마 와 아빠가 맞벌이를 해서. 가족과 의 단란한 생활을 하지 않고 .거이 집에서 혼자 생활하는 사람들이 많다고 합니다. 이렇듯이 혼자만 생활을 하거나 한다면 우울증이나. 나쁜 생각을 많이 하기때문에.쉽게 범행을 지르기쉽다고 합니다. 가족들끼리 단란하고 화목한 시간을 보내면서.마음을 이쁘게 하고.좋은 생각을 많이하면서 생활하는게 정신의 건강으로 는 좋겠다고 생각합니다. -[01/17]-
김지혜 : 요즘은 맞벌이 부부들이 많아서 가족들끼리 함께 보내는시간이 적은것 같아요~ 앞으로는 좀 더 가족끼리의 시간을 가졌으면 좋겠습니다.. -[01/17]-
문연정: 옛날에는 주로 가부장적 집안이라서 아버지가 주로 돈을 벌어오시고 엄마가 집안일을 했습니다. 그래서 그런지 가족간의 대화가 많아지고 가족들이 함께하는 시간이 많았습니다. 그러나 요즘에는 대중메체 맞벌이 부부등의 요인으로 가족과 함께할 시간이 없어졌습니다. 때론 아버지가 늦게들어오셔서 아버지의 얼굴도 잊어가는 세상의 되었습니다. 맞벌이 부부이다 보니깐 자식과 부모님의 대화가 없어지고 자연적으로 어색하고 불편한 사이가 됩니다. 맞벌이부부로인해 돈을많이 버는것도 좋지만, 가족과의 대화가 우선적으로 생각되어야 겠다고 생각합니다. -[01/17]-
김희재 : 요즘에는 대부분이 맞벌이 부부여서 가족들과의 대화시간이나 가족사이의 유대감이 떨어지는 것 같다. 특히 우리같은 나이에서는 평일에는 학교나 학원을 다니고 주말에는 친구들과의 시간을 지내기 때문에 특히나 가족과의 시간이 더 줄어들게 된다. 그럴??마다 전화로써의 대화같은 것을 한다면 멀어진 유대감을 다시 좁힐 수 있는 계기가 되지 않을까 생각한다. 조금씩 가족에대한 관심을 더 갖고 있다면 이런 문제는 심각하지 않게 될것이다. -[01/17]-
이지원: 아기때문에 여성이 사회생활에 지장을 받는다면 정말 나라의 큰 일이다. - - 아기엄마중에도 능력 좋은 사람이 많은데 아기때문에 사회생활을 못 한다면 회사차원에서도 정말 큰 손실일텐데.. 그렇다고 사회생활을 하려고 자신의 아기를 포기 할 수는 없다. 회사에서 아기엄마를 위한 어린이집같은걸 자체적으로 만들었으면 좋겠다. -[01/17]-
김진선: 아무리 5월 가정에 달이라고 해도. 시간이 안되고 하는 사람들이 얼마나 많은데.. - _ -+ 좀 서글프다 - _ -............ 근데 뭔 소리를 하는건지 모르겠네 =ㅅ=.. 여하튼 . 5월 공휴일 을 만들고. 기념일을 만들어도 . 제대로 하는게 있냐고요오오 --!! -[01/17]-
최혜빈: 가정의달을 계기로 이번달에는 가족에 더 관심을 가져봤으면합니다. 아무리 가족이여도 관심을 갖지않고 무관심한 가족이늘어나는것 같습니다. -[01/17]-
김지현: 점점 사회가 발달하면서 서로 얼굴을 자주 볼 기회가 없어진다. 애들은 학교 가고 학원가고 해서 저녁늦게 들어오고 부모님도 일때문에 늦게 들어오시고, 그렇게 되다보니 가족들과 대화할 시간이 줄어들게 된다. 내 가족뿐만 아니라 다른가족들도 마찬가지 일것이다. 5월달이 가정의달이니 만큼 가족들 모두 하루라고 시간을 내서 어디 놀러가거나 해서 대화도 많이 나누고 즐거운 시간을 보내야 한다. -[01/17]-
이선영: 요즘의 가정은 일에 지쳐서 쉴수있는공간으로 자리매김하고있다. 아침에 눈뜨면 성인은 일에 지쳐서 학생은 공부에 지쳐서 모두 눈뜨고있는한 그야말로 일에 쩔어산다고해도 맞을것이다. 나도 고등학생이 되면서 성적이 좋게 나와야 한다는 압박이 느껴진다. 가정은 쉬는공간만이 아닌 가족 모두가 화목하게 얘기할수있고 화목을 다지는 공간으로 씁시다. -[01/17]-
김은애: 맞아 그렇다고 생각해.. 그냥 쉬는것이 아니라.. 가족과 함께 이야기 나누면서.. 나눌수 있는....^^ -[01/17]-
여러분은 한국 가정의 문제가 어떤 것이 있고
어떻게 하면 이런 문제들을 풀 수 있다고 생각하시는지요?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