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Home>토론게시판>핫이슈토론 |
정치 북한 포격의 영향은 ? ?
페이지 정보

본문
북한은 연평도의 민간인 지역을 포함하여 기습적으로 무차별
공격함으로써 민간인을 포함한 많은 사상자를 발생시켰습니다.
이러한 잔악한 만행은 3대세습체제에 따른 내부 불만을 해소하고
국제적 고립을 탈피하고자 했던 김정일의 의도와는 다르게 진행되고
있어 고민이라 합니다.
다시말하면 북한을 감싸기만 하던 중국의 관영매체인 환구시보가
공식적으로 북한을 비난하기 시작함으로써 국제적 고립은 더욱 심화되고 있고,
둘째, 북한의 방사포 불발탄체에서 발견된 숫자입니다. 잉크로 표기된
숫자는 천안함 어뢰 추진체에서 발견된 잉크와 유사한 것으로 북한은 무기에
숫자를 쓰지 않는다며 의혹을 제기했던 세력들의 허구성이 입증된 중요한 사실입니다.
특히 방사포가 폭발할 때 발생되는 매우 높은 온도속에서도 타지 않고
발견됨으로써 천안함 의혹제기자들에 대한 비난이 매우 드세지고 있는 것입니다.
마지막으로 큰 영향은 우리국민 대다수가 수세적 방어보다는 공세적
공격을 적극 요구하고 있고, 과거 일부 언론에서 발표한 것과는 판이한
설문조사결과가 나왔다는 것입니다.
즉 젊은이의 약 90% 이상이 우리나라 방위를 위해 전쟁시 참전하겠다는
애국심을 표출하였다는 것입니다.
어쩌면 북한의 만행으로 6.25 전쟁 이후, 60여년 동안 전쟁을 경험하지
못했던 젊은이들에게 조국의 중요성을 깨닫는 귀중한 계기가 된 교훈을 남겼습니다.
댓글목록

Idler님의 댓글
Idler 작성일“영속적인 조공”이나 “무한루프” 또한 북한의 “희망사항”이 아닐까요. (남한 입장에선 어떤 방법을 쓰던 삽질이긴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차라리 대북문제의 무게감을 수단삼아 정적을 누르는 쪽으로 논쟁을 유도하는, 이른바 대북정책에 관한 자기들끼리의 “치킨게임”을 벌이는 꼴에 머물게 되지만) 북한 또한 게임의 참가자일 뿐인데, 상황 예측을 할 때에 ‘북한은 그저 막가파’라는 식으로 고정시켜놓고 분석하는 것이 아닌가라는 생각이 들어요. 그런 면에서 한국, 북한, 미국, 중국 등의 변수에 대해 제3자 객관적인 입장에서 보는 식의 방법 필요하고, y=f(x) 식에 북한을 y값으로 두는 것이 아닌, y값으로 ‘평화’를 얻기 위한 과정에서 북한 또한 한미중과 마찬가지로 변수들 중의 하나라는 측면을 놓치지 않아야 할 것 같습니다. 결국 x값들이 맞물려 돌아가서 나오는 결과가 “평화냐 전쟁이냐”겠죠. 북한이 굴복하느냐 마느냐를 계산하는 차원을 넘어서서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