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Home>토론게시판>핫이슈토론 |
정책 군생활 등급제 시행 정책추진 찬반토론
페이지 정보

본문
사지선다형 입시 인재들이 군생활도
등급을 매겨 군생활 상대평가를 추진하고 있어 큰 논란이 되고 있습니다.
이미 이들은 여러 사회, 교육, 문화분야에 등급제도를 시행하고 있습니다.
무창의적인 인재들의 평가 인식이 우리 사회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분석해야 합니다.
여러분도 잘 아시다시피 군생활은 징집으로 병역은 남자들의 '의무'입니다.
그런데, 자신이 원하는 병과와 부대가 아닌 곳에서 선천적인 신체 조건으로
평가 받고 이를 사회에 나왔을 때 취업에 까지 활용한다는 발상은
자칫 군 제대자는 물론, 여성들과 장애자들에게 역차별 요소도 발생할 수 있습니다.
평가를 받는 병역 의무자들은 군생활로 자신의 인생이 바뀔 수 있을지도 모릅니다.
국방부가 내년 시행을 목표로 군 생활 평가 기준을 마련했습니다.
전투력의 기본인 개인화기 사용능력, 또 팔굽혀펴기와 윗몸일으키기를 통해
병사들의 체력을 평가합니다.
휴가를 나가서 본 어학시험 점수와 군대에서 행한 사회봉사 경력,
그리고 장병 개인의 책임감과 인내심도 평가 항목에 들어갑니다.
장병들이 자율적으로 목표를 세우고, 전역 전에 중대장으로부터
'탁월'이나 '우수' 또는 '보통'으로 평가를 받습니다.
군생활 등급제의 장점
군 복무를 생산적으로 할 수 있도록 유도하고,
전역 후 사회에 활용이 될 수 있도록 하는 취지에서 이 제도를 도입하게 되었다고 하며,
또 전역한 뒤 기업체 등에서 응시자의 군 생활 평가서를 요구하면
본인 동의를 얻어 발급하겠다고 국방부는 설명하고 있습니다.
사회 분위기
이에 대해서 입대를 앞둔 청년들은 군대에서까지 경쟁에 내몰리게 됐다며
크게 부담스러워 하는 눈치입니다.
군대에서 받는 스트레스도 있을 텐데,
거기서도 막 평가하면 이것도 잘 해야 된다는 생각으로 사는 게 힘들 것 같아요.
또, 여성들은 여성들대로 군 복무 평가서가 자칫 자신들의 취업에 불이익으로 작용할 수 있다며
반대의견을 내놓고 있어 논란이 이어질 것으로 예상됩니다. 여러분은 군생활 등급제 시행을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댓글목록

토돌이님의 댓글
토돌이 작성일
경쟁은 무엇일까?
쟁쟁의 긍정적인 면은 분명히 있다.
개인과 사회를 발전시켜 국부를 창출한다.
하지만, 한국은 가쁘게 성장한 경쟁력 그늘로...
빈익빈부익부, 재벌, 권력의 사유화, 입시교육병폐, 소외된자, 복지축소...
교육양극화, 중산층 붕괴, 자살자 급증 등등...
이런 문제들이 계속 증가 확대되고 있는 중에
아래 컬럼을 읽게 됐다... 여러분도 읽어보기를 바란다..
경쟁의 무풍지대에서 성장하면서 `경쟁면역결핍` 형태로 사회에 나온 아들딸들이
해맑고 희망찬 얼굴로 살아갈 공간이 지구 어디엔가 숨어있다가 기꺼이 반겨줄까..
http://news.mk.co.kr/v2/view.php?sc=30500007&cm=칼럼&year=2010&no=374738&relatedcode=&m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