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Home>토론게시판>핫이슈토론 |
정치 교육은 비싸야 질이좋다????
페이지 정보

본문
반값등록금에 대해서 얘기해 주셨네요 ^^
http://www.asiae.co.kr/news/view.htm?idxno=2010020220404129444
안 보신 분은 이 뉴스 보세요 ^^
서민의 가계를 반값해주시고 등록금은 지금 이대로도 싸다니요?
벌써 이전의 삭발시위 잊은걸까요 ?
그리고 가계를 반절로 깎아봤자 등록금에서 다 빼가면 그대로 아닌가요 ?
역시 서민 대표이신지라 등록금은 껌값인가 보네요..
왜 500만원은 껌값도 아니잖아요?
불량식품이지 (개콘 패러디)
과연 우리나라 대통령의 우리나라 사회에 대한 인식은 왜이럴까요?
고딩이라 그저 짧은 생각일수도 있습니다. 너그럽게 봐주세여..

댓글목록

Idler님의 댓글
Idler 작성일
일단 '비싸야 질이 좋다'는 말은 맞는 말이라고 봐야겠죠.
하지만 민주당 얘기처럼 국가지원을 통한 등록금 가격 하락인데,
'우리나라 대통령'은 야당 무시하는 발언을 하시는 거죠

봄이여오라님의 댓글
봄이여오라 작성일대학교 등록금은 세계 2위면서 대학교 순위는 세계 100위권 안에도 못드는데 이런걸 질이 좋아졌다고 해야 하는건지 모르겠네요

만점도전중님의 댓글
만점도전중 작성일
전 현재 고1인 학생입니다. 1000만 등록금 시대에 벌써부터 걱정이 됩니다.
그렇기에 이번 글에 조금 더 신중을 기해 글을 씁니다.
배우지 않으면 살아가지 못하는 우리나라에서 교육이란 언제나 모든 기사 혹은 발언의 발단이 됩니다.
‘교육의 질은 비용에 비례한다.’ 는 말 솔직히 말해 이는 틀린 것이 없습니다.
우리나라는 국민의 70%이상이 대졸을 하는 상황이여서 국가에서 등록금을 지원해 주는 대는 한계가 있습니다.
그러니 당연히 등록금의 비용이 올라가게 되는 것이지요.
그러나 유럽 같은 나라에서는 국민의 20%만이 대졸을 하는 상태여서 소규모 공기업의 지원만 받아도 학생 전원이 등록금을 무료로 하고 학교를 다닐 수 있는 상황입니다.
심지어 지금 유럽의 상황은 점점 학생 수가 많아져 등록금 비용이 늘어나는 추세입니다.
즉 저는 저희의 상황을 유럽과 비교 하는 것은 옳지 않다고 봅니다. 그렇다고 제가 우리나라가 문제가 없다고 말하는 건 아닙니다.
유럽과 비교해서는 안되지만 우리나라는 충분히 문제점을 지니고 있습니다.
그 예는 일본과 우리나라를 비교해보면 찾을 수 있습니다. 많은 사람들이 일본이 우리나라보다 더 비싼 등록금을 내고 있다. 라고 생각하시지만 사실 그렇지 않습니다.
일본의 물가와 비교해 보았을 때 이는 오히려 우리나라의 등록금보다 비슷합니다.
그렇다면 그 원인은 무엇일까요? 우리나라보다도 교육의 열이 높으며 교육의 질도 한층 높아 세계 대학 평가에서 높은 성적을 내고 있는 도쿄대가 우리나라의 여느 대학의 체감 등록금과 비슷한 이유는 다양한 장학제도 덕분입니다.
장학제도를 이용하면 학교의 제정은 그대로 유지 하면서도 가난으로 인해 교육을 받지 못하는 사람들에게는 혜택이 될 수 있습니다. 학자금 대출과 비슷한 원리라고 볼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는 이러한 점을 본받아 등록금을 줄였으면 하는 바램입니다.
BY-SYM

Idler님의 댓글
Idler 작성일
윗분말씀처럼 복지국가와 비교가 되기엔 전제 자체가 다른 것이죠. 유럽국가일부와
우리나라는 시스템자체가 달라서, 지금 상태에서 국가보조금을
통한 등록금 하락은 단기적으로는 실현 불가죠. 허나 우리나라는 자유주의
경제로의 진행형인데, 이명박정부의 입장은 역시 국가 지원을 줄이자는
것인죠, 이는 대학에 자율경쟁을 부추겨 '질좋은 교육'을 위해 '비용'을 늘리는
결과를 낳게 됩니다. 교육 수요는 절대 줄어들수 없는 것이구요. 일본의 도쿄대학도
실은 국립대학이므로 우리나라의 사립대들과 환경이 다르죠. 대부분 학교가 국가보조로
운영되면 되지만, 우리나라의 현 상황에선 학생 모두를 서울대에 보낼순 없다는 얘기구요.
대학자율경쟁 시스템보다는 정부의 개입을 통한 장기적인 교육체제 개편을 통해서만이
등록금 문제를 해결할수 있다고 봅니다.
비싼 옷은 안입으면 그만이지만, 비싼 교육은 안배우면 그만인, 그런 영역이 아닙니다.

봄이여오라님의 댓글
봄이여오라 작성일
현제 대학교들은 비싼 등록금으로 무엇을 하고있을까요
예전에 TV프로그램에서 나왔었죠 대학교 등록금은 왜 비싼지
그래서 알아봤더니 대다수의 대학들이 필요할때 쓴다는 명분하에 쌓아놓고만 있었습니다.
이대로 가다가는 대학교가 사채놀이 해도 이상하지 않을 세상이 올수도 있습니다.
이렇게 쌓아놓을 정도면 나라에 보조를 받지 않고서 충분히 등록금을 낮출수 있을겁니다.

Idler님의 댓글의 댓글
Idler 작성일
그렇게되기 위해서는, 대학이 이윤을 추구하는 기업과 같은
말도 안되는 시스템에서 벗어나, 국가가 통제하는 시스템으로
바뀌어야하죠.

샤일록님의 댓글
샤일록 작성일
말 필요없이 대학 등록금에 대한 기사를 조금이라도 읽어보신다면 이미 현재 다니는 대학생들의 100%를 잘먹고 잘지내며 잘 공부할만한 환경을 만들고도 남을만한 돈을 뽑아낸다는 사실을 알 수 잇을겁니다.
요즘 대학은 교육기관이라기보다는 이윤기관이라고 하는게 났겠네요

미션가이님의 댓글
미션가이 작성일일단 논리 자체가 흑백논리이므로 잘못된 것입니다. 비싸고 질 좋은 교육도 있습니다. 더불어 싸면서 질좋은 교육도 있습니다. 토론주제를 잘 못 올리셨습니다. 이런식의 흑백논리는 토론주제가 되지 못하는걸로 아는데요..

ㅅㄷㅇ님의 댓글
ㅅㄷㅇ 작성일질이 중요하다...................... 질에 대한 효율성은 어떻게 되나요?? 질만 좋다고 해결될 문제는 아닌거 같은데 더욱중요하건 질좋은걸 모두가 평등하게 쓰냐 못쓰냐가 문제인거 같은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