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Home>토론게시판>핫이슈토론 |
사회 한국 전체가 세계유산??
페이지 정보

본문
중학교 때인가 역사시간에 태, 정, 태, 세, 문, 단, 세로 왕의 이름을 외우던 생각이 난다.
우리나라 역사의 큰 흐름인 조선시대에는 27명의 왕이 통치를 하였는데 그 중 왕과 왕비의 능 40기를 세계 유산으로 등재한다니 이제는 우리 민족의 유산이 아닌 세계의 유산으로 한국인의 자긍심을 느끼며 더 자세히 알아보자.
유네스코 세계유산이란 무엇인가?
세계 곳곳에 산재해 있는 문화유산의 파괴 및 도난훼손 등으로부터 문화유산을 보호하자는 국제적 합의에 따라 유네스코가 엄격한 심의를 거쳐 지정하는 유산을 칭함
세계유산의 등재 기준은?
독특한 예술적 혹은 미적인 걸작품이나 지극히 희귀하거나 혹은 아주 오래된 것 그리고 지구사의 주요 단계를 보여주는 매우 훌륭한 사례 및 특별한 자연미와 심미적 중요성을 지닌 빼어난 자연 현상이나 지역중에서 선정
유네스코 세계유산 등재 효과는?
무엇보다 훌륭한 관광자원이 되고 고용 기회와 수입도 늘어나며 국민들의 자부심 고취에도 도움이 된다.
또한 세계유산기금으로부터 기술적, 재정적 원조를 받으며 세계유산 센터나 다른 기구 등 국제사회의 보호와 감시를 받게 된다.
한국의 세계유산 현황은?
한국은 1995년 12월 석굴암·불국사와 해인사 장경판전, 종묘 등 3건이 세계유산에 등재된 것을 필두로 지금까지 문화유산으로 창덕궁, 수원화성, 경주역사유적지구, 고창, 화순, 강화의 고인돌 유적, 자연유산으로 제주 화산섬과 용암동굴등 모두 8건의 세계유산을 보유하고 있다.
세계유산으로서의 조선왕릉의 가치는?
무엇보다 조선시대(1392~1910) 처럼 한 왕조가 500년 이상 지속된 사례가 드물며 519년간 재위한 27명의 왕과 왕비의 무덤이 모두 남아있는 경우도 유례를 찾아볼 수 없다. 특히 유교와 풍수, 도교, 전통사상 등 한국인의 세계관이 압축된 장묘문화 공간인 조선 왕릉은 독특한 건축과 조경양식으로 흔히 신의 정원으로 불린다. 왕릉묘제의 근간을 밝힌 국조오례의와 각종 의궤, 능지 등 왕릉 조성 당시 각종 기록과 그림 등이 풍부하게 남아있는 것도 조선왕릉이 세계유산으로서의 가치를 높여주고 있다.
조선왕릉의 구조와 특징은?
조선왕릉은 대부분 서울의 경복궁을 중심으로 4㎞~40㎞안에 위치하고 있는데 모두 유교 예법에 따라 진입공간-제례공간-전이공간-능침공간이라는기본적인 공간구조로 구성돼 있다. 봉분을 중심으로 한 능침공간은 성역의 공간이다. 정자각을 중심으로 한 제례공간은 성과 속의 만남의 공간이자 반 속세의 공간이며 왕릉 입구의 재실부터 돌다리인 금천교에 이르는 진입공간은 제례의 준비와 속세를 나타낸다. 이같은 삼단 구성은 삼신의 신선사상이나 유교 정치사상에서 영향을 받았을 것으로
추정된다. 세계 유산으로 등재되었다는 자긍심과 낭보에 안주하지 말고 세계적인 유산이기에 보호 대책을 세워 나가야 할 것이다. 왕릉과 주변 경관의 아름다움을 지키기 위해 민관이 함께 나서야 하며 외국인들에게 왕릉을 공개할 때 야 정말 아름답고 보존가치가 있는 아주 중요한 세계적인 문화 유산이 구나하며 감탄사를 자아낼 수 있도록 왕릉과 주변 자연이 절대 훼손되는 일이 없도록 하면서 훌륭한 관광자원으로 활용하는 지혜가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