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Home>토론게시판>핫이슈토론 |
사회 한국 어린이 청소년 성적은 세계 2위! 행복은 꼴찌!
페이지 정보

본문

가정의 달에 어린이와 청소년들의 행복에 대해서 논해보고 싶습니다.
세계 경제의 침체로 모든 나라 국민들이 힘든 삶을 살고 있습니다.
성인인 어른들이야 직업을 가진 사회인으로 마땅한 책임과 의무를 가진다지만,
어린이와 청소년들의 고단한 생활은 언론 매체와 시민단체, 지식인들이
그동안 조용하게 대처했었던 것이 아닌가 하는 의구심이 들 정도입니다.
그러나, 얼마전 한국 10대들의 성적이 OECD국가 중 2위인데 반해
행복감은 꼴찌로 나타나 상당한 격차가 벌이진 것으로 보도 됐습니다.
다음은 주요 뉴스내용 인용입니다.
뉴스제목: 한국 10대, 성적은 2위 행복은 꼴찌
한국의 10대들이 느끼는 행복감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 중 가장 낮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연세대 사회발전연구소는 전국 초등학교 4학년~고등학교 2학년생 5,000명을 상대로 한 설문조사와
각종 국가 통계를 종합, 이를 유니세프(UNICEFㆍ국제연합아동기금)의 2006년 연구와 비교한 결과를 8일 발표했다.
유니세프는 물질적 행복, 보건ㆍ안전, 교육, 가족ㆍ친구 관계, 건강 관련 행위, 주관적 행복감 등 6개 항목을
'어린이-청소년 행복지표'로 삼고, 각 항목별로 OECD 회원국 18~25곳을 조사해 점수를 비교했다.
연구 결과 한국 10대들의 주관적 행복감은 71.6점으로 20개국 중 최하위였다.
1위인 그리스(114점)보다 40점 이상 낮았다.
세부 항목을 보면 '나는 건강하지 않다'는 답변은 24.4%로 OECD 평균 14.9%를 훨씬 웃돈 반면, '행복하다'는 답변은
55.4%로 평균 84.4%에 크게 못미쳤다. 반면 다른 5개 항목에선 비교적 양호한 결과가 나왔다.
특히 읽기ㆍ수학ㆍ과학 성적, 학교 재학률, 학업 열망 등을 평가한 교육 부문 점수는 120점으로,
OECD 24개국 중 벨기에(121점)에 이어 2위를 차지했다. 건강 행위 부문은 18개국 중 4위였다.
규칙적으로 아침을 먹는 학생 비율은 80.1%(평균 65%)로 비교적 높았고,
비만율은 9.6%(평균 12.8%), 흡연율은 9.2%(평균 10.9%)로 각각 낮았다.
보건ㆍ안전 부문은 25개국 중 5위, 물질적 행복은 25개국 중 10위였다.
가족ㆍ친구 관계는 22개국 12위였는데 부모와 주당 3, 4회 이상 대화하는 비율이 58.3%로 평균보다 3%포인트 낮았다.
연구소 관계자는 "한국 사회에서 건강, 교육, 안전 등 하부구조는 잘 갖춰져 있지만 어린이와 청소년이 느끼는 행복 수준은
매우 낮다"며 "특히 학년이 높아질수록 삶의 만족도가 떨어지는 특징을 보인다"고 말했다.
정보출처: http://news.hankooki.com/lpage/society/200905/h2009050902432084100.htm
인터넷한국일보와 함께하는 호주 워킹홀리데이

댓글목록

암흑기사님의 댓글
암흑기사 작성일
아무래도 학생들에게 무작정 외우게 하고
하기 싫다는걸 억지로 시키니 어찌보면 당연한 결과.
일단 학생들에 적성에 맞는 교육을 시키는것도 중요하다고 봅니다.
체육에 적성이 맞다 싶으면 공부보다는 운동을 시키는게 더 낫다고 봅니다.

ysked248님의 댓글
ysked248 작성일
중학교 들어가면서 학생들이 시험보는 과목은 더욱 많아집니다.
즉, 외울것이 더 많아진다는 뜻이죠.
거기에다가 등수까지 나오다 보니 학생들의 스트레스가 최고일수밖에 없죠.
특히 기가나 도덕 등은 정말 외우고 포멧되는 여러 과목 중 하나죠.
저도 중학생이지만, 친구들이 이딴거 왜 배우고 왜 시험보냐는 소리, 자주 들어요.
예체능 과목은 필기 시험 안봤으면 좋겠다는 소리도 듣고요.
제가 생각할 땐 예체능 과목과 기가, 도덕과목을 없애기는 좀 무리가 많으니깐
양을 줄였으면 합니다.
이상 중학생의 허접 답변이였습니다.^^;

이립님의 댓글
이립 작성일
위에 글쓰신 님....
제가 답글 달까 말까 하다가 그래도 현실은 알려줘야 겠다 생각해서 답글 달아 드립니다.
중학교 시절은 그나마 행복하지요...
고등학교에서 입시지옥 경험해서 사회나와 보세요...20대 30대 행복수준도 세계 꼴지인걸
몸서리나게 느끼게 될겁니다...
대학교 도서관에 자리가 없다는 거 한 번 대학교 가서 보고만 오세요...

하루y님의 댓글
하루y 작성일제 생각에는 무조건 공부를 시키는 것 보다는 암흑기사 님 의견처럼 적성에 맞는것을 계발 시키는게 더 나을것 같음

쵸쵸쵸님의 댓글
쵸쵸쵸 작성일
우리나라 교육이 문제입니다. 사회에 나가기전 일정 수준의 지식을 쌓는건 당연하다고 생각되지만..
아직 애기들 .그러니까 즉 , 초등학생때부터 학원에서 밤 늦게까지 잡아놓고 숙제 안해오면 때리고 ,
교육 현실이 이런데 .. 애들이 좋을 리가 없죠. 행복할 리가 없죠. 그래도 .. 대학생때까지 고생하고 나머지 인생 편하게 살 수 있으니까 부모님들은 우리 애기는 잘 살라고 공부 공부.. 결국 악순환

유산균대왕님의 댓글
유산균대왕 작성일
먼저 인식을 바꾸는 1단계 모여서 해결책을 논의하는 2단계 실행에 옮기는 3단계가
되어야 하는데 우리는 1단계조차 못하고 있으니. ㅉ 일단은 인식을 다르게 하는것 그것이 중요합니다.
솔직히 말해서 내 친구가 서울대 나왔다고 하면 뭐라고 생각하십니까. 일단 부러움 부터 시작하여
나중에는 자기 비하로 이루어 집니다. 이것은 정말 아니라고 생각합니다.서울대를 나왔는데 왜 부러워
해야하며 왜 자기비하를 하는지 이유를 생각하십시오

지나가던참새님의 댓글
지나가던참새 작성일행복>교육 이어야 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