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Home>토론게시판>핫이슈토론 |
사회 기름값 폭등! 누구의 책임이 큰가?
페이지 정보

본문

그러니까 공급은 서서히 늘어나는데 비해서
수요는 급증하고 있답니다.
선진국들의 석유수요는 거의 그대로인데
중국이나 인도같이 인구가 10억이 넘어가는
인구대국들이 전에 경제가 낙후됐을때는
석유를 거의 사용하지 않다가,
경제발전을 하면서 석유를 엄청나게 집어먹게 되죠.
그리고 이 두나라가 서로 경쟁을 하면서
세계의 자원을 막 차지하려고 하다보니까
석유뿐만 아니라 여러가지 원료들 가격이 전부 오르는거에요.
이 두나라의 경제발전이 지금의 고유가에 엄청난 영향을 미쳤거든요.
이러면서 수요가 폭증하는데 비해서 공급은 그만큼 늘어나지 않으니까
석유값은 오를수밖에 없는거죠.
그리고 일부 투기자금들이 석유생산에 몰려서 가격인상을 부채질하고 있답니다.
엄청난 자금으로 석유공급을 조절하면서 장난질치면
석유값은 원래 오를거보다 더 오르게 되는거죠.
이걸 가격의 왜곡현상이라고 하죠.
그리고 요즘들어 산유국들이 엄청나게 돈을 벌고 있죠.
산유국은 석유나 천연가스등이 나오는 나라인데
요즘 석유나 천연가스값이 비싸지니까
러시아는 자원팔아서 갑자기 세계10위권 경제대국이 되었고
사우디나 베네수엘라 같은 산유국들도 엄청나게 돈을 벌고있죠.
이런 나라들이 갑자기 돈이 많아지니까
자원을 펑펑쓰고있죠.
어차피 돈도 많고, 자기나라에서 석유랑 가스나오니까
그냥 막 써도 되는거에요.
이러면서 엄청나게 자원을 낭비하고 고갈시키는거죠.
아무튼 고유가시대가 되면 석유뿐만 아니라 여러가지가 다 비싸지게 되죠.
전기도 석유태워서 만드는거고, 석유값이 오르면 전기값이 오르고
전기값이 오르면 전기를 사용해서 만드는 제품도 오르게 되고,
아무튼 오르지 않는 물건들이 별로 없을거에요.
하다못해 농사지을때도 트렉터나 콤바인같은것도
기름때워서 돌리잖아요. 그럼 쌀값도 오르겠죠.
대처방안은 석유나 천연가스의 이용을 줄이는거죠.
이미 선진국에서는 모든 전자제품에 전기를 최소한 집어먹도록 하고있고
자동차도 연비높은차를 만들게 하고있죠.
그리고 이용만 줄이는게 아니라 대체에너지도 만들어야죠.
브라질이나 미국은 옥수수를 가지고 알콜을 만들어서
대체에너지를 만들고있죠.
그리고 석유로 돌아가는 화력발전소 말고
풍력이나 조력발전에도 관심을 가져야돼요.
근데 어차피 중국이나 인도가 앞으로 석유소비를 계속 늘릴것이기 때문에
근데 우리나라가 좀 줄인다고 해도 새발의 피죠.
암튼 고유가시대가 계속 진행되면
자원많은 나라는 배를 두드리며 잘살게되고
우리나라같이 자원없는 나라는 앞으로 힘들어지겠죠.
-http://kin.naver.com/detail/detail.php?d1id=4&dir_id=413&eid=iyqmc/4TM4Gf+tUaZlBsjcsz/vifcjGR&qb=seK4p7Cq&pid=fcXEEsoi5TossvXnlOosss--397825&sid=SHummPFpe0gAADuPbK4
위에껀 퍼온 글입니다.
제의견으로써, 저는 사담 후세인과 OAPEC 이문제의 원인이라고 생각합니다.
사담 후세인이 도망을 가면서 쿠웨잇(Kuwait) 에있던 오일 필드를 불 지르므로 인해서 에너지의 아웃풋이 적어지고, 그걸본
OAPEC(Organization of Arab Petroleum Exporting Countries) 가 큐웨잇의 오일 필드가 다시 재정비 될때까진 오일의 가격을 올리기로 한걸로 알고있습니다.

댓글목록

그림자님의 댓글
그림자 작성일기름값 폭등이 문제가 아니라 물가 폭등이 문제라고 생각합니다. 새 정부들어 물가가 꼭 두배가까이 오른거 같습니다. 몇개월 전 오백원 짜리 아이스크림도 요즘 천원 합니다. 부자분들이야 두배 아니라 세배가 올라도 끄덕 없지만 쥐어짜서 사는 서민들은 이게 바로 피부에 와 닿습니다. 한마디로 없는 사람들 살기가 어려운 세상입니다. 기름값이 오르는 거는 그렇다 치더라도 왜 관계없는 생필품들 가격이 오르는지 이해할 수 없습니다.

와룡님의 댓글의 댓글
와룡 작성일석유가격이 오르는거와 물가가 오르는것이 전혀 상관없다고 생각하시나요? 아주커다란 상관이있죠. 예를들어드리죠. 물가가 오르는건 정확히 원자재가격이 오르는겁니다. 원자재의 대부분을 수입하고잇는 우리나라는 그 원자재를 배로 들여오죠. 배는 석유로 움직입니다. 그러니 운송비가 오를수밖에없고 그것이 그대로 원자재 가격에 플러스되는것이고요. 또한 원자재도 가공이 필요합니다. 원자재를 가공하려면 역시 기계를 돌려야하고 기계는 전기뿐만 아니라 석유가 필요하겠죠. 또한 원자재공급하는 나라안에서도 항구로의 운반비및 각종 석유사용량이 증가함에 따라 물가는 오를수밖에없는것이죠. 고로 석유가격이 오르는것은 물가가 오르는 원동력이 되는겁니다.

와룡님의 댓글의 댓글
와룡 작성일또한 수입해온 원자재를 이쪽에서 가공해야하니 또 많은 양의 석유를 쓰게됩니다. 결국 석유값이 올랐기에 기존에 500원하던것이 2배 3배로 오르게 되는것이죠.가격결정은 모든것을 포함하고있습니다. 결국 석유가격이 오르는것이 물가를 올리는것이되는것이죠.

그림자님의 댓글의 댓글
그림자 작성일
석유가격이 오르는데 왜 유독 우리나라만 유별나게 물가가 오르는지
일본이나 이런 나라들이 물가가 몇개월 전에 비해 두배 가까이 올랐다는 말을 듣지 못했습니다. 일본은 물가가 안정되 있기로 유명한 나라인데 이것이 일본관리와 우리나라 관리들의 물가에 대한 정책의 결과라고 생각합니다. 물론 원자재 가격이 오르면 그것으로 인해 전반적으로 영향을 미치지만 그래도 요즘의 물가흐름은 좀 아닌 거 같다는 생각입니다.

난까만눈동자님의 댓글의 댓글
난까만눈동자 작성일일본이 물가가 안정하다고 누가 그러던가요? 일본 부채가 얼마인지는 아십니까? 원래 일본은 기름에 대해서 크게 걱정이 없는 국가였습니다.그런데 일본에서도 연신 보도합니다.기름값폭등으로 경제에 치명타를 입는다구요.g8이전에는 연신 기름값에 대해서 보도하고 발만 동동 구르고 앉아있었는데 기름값에 가장 민감한 우리나라는 어떻게 될까요?

난까만눈동자님의 댓글의 댓글
난까만눈동자 작성일우리나라정부가 서민들 죽이기로 나선것도 아니고 기름값폭등은 우리로써는 발 동동 구를 문제입니다.굳이 일본을 비교하신것은 무리입니다.부채때문에 죽는소리해도 경제대국입니다.버블경제 터지고나서 일본은 가망이 없다고 난리도 아니었지만 2위는 변함이 없지요.차이가 있다면 이게 차이입니다.굳이 일본은 정치 잘한다고 생각할 순 없지요.자세히 들여다보면 우리나라랑은 비교가 되지 않을 정도입니다.일본과 우리나라를 동등한 위치에 놓는것은 우리나라사람들밖에 없지요.경제규모에서 차이가 얼마인데 일본까지 들먹이시면서 우리나라 깎으시려는지 모르겠습니다.석유파동터지면 이정도 올꺼라고 매스컴에서도 난리였던걸로 알고 있는데요?

루비콘강님의 댓글
루비콘강 작성일투기금만이 문제가 아니라고 하더군요. 극히 일부의 부분을 담당하지 전체적인 부분을 조절할 정도로 투기의 영향이 없다라고 보는 의견도 있습니다. 문제는 산유국들이 석유를 적게 뽑아 내는 것에 더 크다고 봐야 겠죠. 세계 경제의 위기가 왔을 때 산유국들의 대규모 유전가동으로 인해 많은 도움을 받았던 과거와는 달리 산유국들은 석유의 매장량이 고갈되고 있는 상황에서 그리고 높아져가는 수요앞에서 적은 배럴을 산출함으로서 세계경제를 더욱 어렵게 만들고 있다 라는 의견도 있습니다. 산유국들에게는 지금의 이 상황이 국제정치경제학적으로 분명 큰 기회라고 볼 수 있는 환경이죠. 결국 국제정치적인 문제로 다시 들어갈 수 밖에 없습니다.

루비콘강님의 댓글의 댓글
루비콘강 작성일석유는 고갈되어 가고 있고 세계에 바이오산업, 재생에너지산업이 개발되고 있고 산유국들은 석유나 팔다가 변방으로 영원히 떨어질 수 있는 위기의식을 가진 것도 어떻게 보면 지금의 산유국들의 행동에 있어 하나의 논리가 될 수 있겠죠. 위기이자 기회입니다. 아직 신기술 개발의 시간이 있으니 산유국이 국제정치의 새로운 헤게모니에 도전할 수 있는 기회는 지금 이 순간이 처음이자 마지막입니다.

루비콘강님의 댓글의 댓글
루비콘강 작성일제가 생각했을 때 고유가는 상당히 오랜기간 지속될 것입니다. 지금의 가격제가 결국 표준화가 되고 세계는 더욱더 하이브리드와 같은 친환경적이고 효율높은 기술개발에 박차를 가하게 되겠죠. 장기적으로 본다면 지금의 국제환경은 새롭게 전지구적인 에너지 산업을 변화시킬 것입니다.

개구쟁이님의 댓글
개구쟁이 작성일유가 폭등의 원인은 이스라엘과 이란이 만들어낸 중동에서의 분위기 때문입니다. 11월 쯤에 이란과 이스라에리 한 판 전쟁을 한다고 합니다. 이란은 석유 산유국으로 2위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미국이 이스라엘을 지원한다는데, 공교롭게도 러시아가 이란을 지원한다고 하지요. 중국도 이란을 지원할 확률이 크구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