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Home>토론게시판>핫이슈토론 |
사회 기업 영업방해인가? Vs 소비자 주권운동인가?
페이지 정보

본문
![]() |
여러분도 뉴스를 보셔서 잘 아시겠지만,
조선 중앙 동아일보의 편파적, 반 서민적, 반 언론적, 친 정부적, 친 미국적 기사가 문제되어
일부 진보 넷티즌들이 해당 광고 기업들에게 '광고중단' 압력을 행사해 큰 논란이 되고 있습니다.
조선 중앙 동아일보에 대해 광고중단 압력을 행사한 행위를 놓고


다음은 뉴스보도에 소개된 법무부장관이 검찰에 지시한 내용입니다.
1. 최근 인터넷상에서의 명예훼손, 허위사실 유포, 광고중단 위협 행위가 위험 수위에 이르고 있다.
2. 기업에 대해 무분별하게 광고를 중단토록 위협하는 행위를 단속해 정상적인 기업 활동을 보호해야 한다.
다음은 법무장관의 지시를 받고 검찰이 밝힌 발언 내용입니다.
1. 광고 중단 요구를 하면서 욕설 협박을 하는 과격한 네티즌은 업무방해 혐의로 처벌될 수 있다.
2. 그러나 정당한 소비자운동으로 보이는 부분까지 모두 사법처리하겠다는 의미는 아니다.
여기서 주목할 점은 사상 초유의 이번 '촛불시위'와 '반 정부 정책' 감정이 왜 촉발되었으며,
그 중심에 왜? 이들 신문사의 광고중단요청 협박 사태가 일어났는가 하는 것입니다.
특히, 이들 신문사들은 일부 시민들에게 '공공의 적' 이상으로 인식되고 있어 큰 사회 문제가 되고 있습니다.
이번 사건의 핵심은 '보수 언론 기업집단' 과 '진보 시민집단' 간의 대결 양상으로 비춰지고 있습니다.

댓글목록

토돌이님의 댓글
토돌이 작성일
신문기사는 저작권이 붙어있는 '판매상품'이다. 소비자 리콜이 가능하다.
공익보다 사익이 우선하므로 당연히 소비자의 불만이 있다면 그 해당 언론사는 시정해야 한다.
신문사가 일반 기업집단과 다른 데는 이익을 취하면서 공익의 탈을 쓰고 있기 때문일지도 모른다.
공익으로 돈벌이를 하고 있다는 것을 인정하면 법은 최소한 갈등과 혼란 사태가 촉발 되면
특정 언론사들을 비호하는 듯한 발언과 정책을 쏟기 전에 중립적인 위치에 서서
쌍방과실 책임을 물을 수 있어야 제대로 된 나라라고 생각 된다...
국민들이...
한 쪽 책임만 강조하는 정부를 보고
"이미 조선 중앙 동아의 편"이란 말을 하고 있어서 한 마디 했다.
정부가 왜? 조선 중앙 동아의 신문 장사까지 해 줘야 하는 지 의문이 든다.. 명백한 사기업인데 말이다.
이런 말 하면서 따지고 들어가면 조선 중앙 동아는 공익과 언론을 들먹일 텐데..
얼마나 국민들에게 돈 주면서 사진 찍고, 기사 소스를 구입해 사용하는 지.. 통 알 수가 없다.
펜으로 무장한 보수/진보 전사들!!!
토론 제대로 교육시키지 않고 사회에 내보낸 정부 탓이다...
학교 정규 교육에 토론교육 과정을 넣어 달라고 10년 동안 요구하는 데...
왜? 들어 쳐 먹어 주지 않는 지 환장할 노릇이다. 그래서 꺼낸 것이 입시 논술이었다. 참 나...
입시 논술로 돈 제일 많이 버는 데가 또 신문사다.. 참 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