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Home>토론게시판>핫이슈토론 |
정책 우리나라 지진 안전대책 수준을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페이지 정보

본문

전 세계가 지진의 공포로 몸살을 앓고 있습니다.
지금 뉴스를 보니 베이촨현의 댐까지 여진으로
2차 붕괴위험이 있다고 전해지고 있네요.
지금 세계는 지진 공포로 두려움에 떨고 있습니다.
한국도 예외는 아니어서 뉴스를 보면 해가 갈수록 지진파가
더 자주 감지되고 있다고 하며 그 지진파가 갈수록
더 크게 나타나고 있다는 연구결과를 내놓고 있습니다...
신문기사 보도에 의하면 실제로 한국에서는 매년 20∼50회의 지진이 발생하고 있다고 하며
계기관측을 시작한 1978년 이후 최근 까지 한반도에서 발생한 리히터 규모 2.0 이상의 지진은
모두 641차례. 2001년엔 49차례나 지진이 발생해 1978년 이후 최고기록을 세웠다고 보도했습니다.
지난 인도네시아에 발생한 강진으로 3만명에 가까운 사망자가 발생했는데
지진대비책만 제대로 갖추었더라면 인명피해를 줄일수 있었다는 생각을 떨칠 수 없게 만들었었습니다.
70년 대에 발생한 중국의 지진피해 사망자가 15만 이상에 이르렀다는 뉴스는 소름까지 끼칩니다.

만일 지금까지 지진 피해로 인한 재난사고를 거의 겪어 보지 못하고 있었던 한국에
이런 대지진 재앙이 일어날 경우 어떻게 되겠는 지 상상해 보셨습니까?
우리나라의 도덕성과 건축 기술은 여러분도 잘 아시는 것처럼 가만히 있던 다리가 저절로 붕괴되고
백화점이 붕괴된 전례가 있었고, 더구나 지금 서울시 곳곳은 지하철과 상하수도 가스관이 매설되어 있어
지진이 발생할 경우 그 피해 규모와 참상이 실로 엄청나 보이지 않습니까.
지금도 지하철 공사터 주변 건물이 작업 진동으로 건물이 허물어지고 있는 실정이고
부실공사로 벽이 갈라진 일반주택과 지진 내진설계가 하나도 마련되어 있지 않는 건축물이
내진 설계가 마련된 건물보다 비율이 높은 실정입니다.
거기에 가스주유소, 기름주유소가 각 도로와 주택가는 물론 빌딩가에 위치해 있지 않습니까.
지금 유행처험 번져가고 있는 고층빌딩 건축붐과 고층아파트들은 또 어떤 재앙에 노출되어 있는지 조차
연구된 바가 전혀 없어 보여 큰 걱정이 앞섭니다.
이젠 민방위훈련이나 예비군 훈련, 군 훈련 시에 지진에 대한 대비책도 함께 마련해서
민관군이 일체가 된 연합대비책을 마련해야 옳겠다고 생각되며,
학생과 회사원들에게도 상시적인 지진 피난 훈련도 실시해야 한다고 생각됩니다.
지진대비책으로 강구해야 할 사항
1. 지진파를 사전에 탐지하고 예측할 수 있는 시스템 개발을 완료할 것 (경보체제)
2. 사고 발생 후 통제할 수 있는 지휘소를 마련할 것
(이런 지휘통제가 제대로 갖추고 있지 않는다면 소방서, 경찰서, 군대, 동사무소, 정부, 언론사, 재난방재소,
병원, 긴급물자지원소 등의 원활한 공조는 기대할 수 없게 됨)
3. 사상자의 긴급구출과 구호로 각종 장비동원과 신속한 사상자의 후송책을 마련할 것
4. 당장 집을 잃게된 수백만명~수천만명에 대한 숙식 문제를 예상할 것
(한달이나 6개월의 예산이 책정되거나 긴급 자금을 조정할 수 있도록 게획이 짜여 있어야 하며,
추운 겨울에 사고가 발생할 경우를 대비해서 사람들을 동사하지 않게 하는 대책 마련도 시급해 보임)
제 생각이 기우일지는 모르겠으나...
반드시 한국에도 지진 피해가 발생한다고 생각하는 자세가 필요합니다.
작은 준비라도 없는 것보다 있는 것이 사후에 도움이 된다고 판단됩니다.
국민과 정부의 현명한 대책마련을 촉구하는 바입니다.

정부의 지진 피해 안전대책 수준이 어떻다고 생각하십니까?
댓글목록

뒤에있어님의 댓글
뒤에있어 작성일
일본같은 경우에는 대체적으로 낮은 높이의 주택식 가구를 가정에서 많이 선호합니다.
물론 그 이유의 뒷면에는 지진이 포함되어있죠. 반면에 한국은 너도 나도 아파트인거 아실겁니다.
여길 둘러봐도 아파트, 저길 둘러봐도 아파트죠. 그럼 그 아파트들이 지진에 안전하느냐..절대 아닙니다.
일본같은경우에는 일정 높이로 쌓아올렸을 경우에는 땅 속에 지지대를 설치하는 등, 높이가 있는 빌딩에서도
안전할 수 있도록 장치를 마련해놓았습니다. 하지만 우리나라의 쌓고보자는 식의 높이에 치중한 건물들은
부실할 수 밖에 없으며, 외형은 보기 좋을지 몰라도 속은 빈강정이라는 겁니다. 일단 지진에 대해서 너무나도
관련이 없다고 생각한 건설사의 문제나 사람들의 인식도 그럴테구요. 과연 누가 '지진에 안전한 집' 이라고 광고하면 구미가 당기겠습니까? 바꾸어야 할 부분이 하나두개가 아닙니다.

박선비님의 댓글
박선비 작성일이웃나라인 일본이 잦은 지진으로 피해를 입어도 우리나라는 마치 축복받은 땅인 마냥 안주해온 것이 사실입니다. 이제는 다른 이웃나라인 중국도 지진의 피해로 몸살을 앓고 있으니 바야흐로 우리도 마땅히 지진에 대비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이제 우리는 현 상황에 더 이상 안주하거나 자만할 것이 아니라 타국의 사례를 충분히 참고하여 유비무환의 자세로 대책을 세워 나가는 슬기로운 안목을 가져야 합니다.

원보라님의 댓글
원보라 작성일우리나라가 지진 피해 안전대책이 조금 부족하다고 봅니다. 만약 우리나라가 지진에 대비한다면 아파트는 짓지 않는것이 맞는게 아닌지 하는생각입니다. 요즘에도 계속 지진이 일어나고있지만 큰 피해는 없어 일본처럼 높이가 낮은 주택보다 좁은 땅에 여럿이서 살 수 있는 위험한 아파트만 짓고 있으니 이것이 분명 우리나라 지진 피해 안전대책 수준이높다고 볼 수는 없습니다. 앞으로도 아파트를 안 짓거나 하는 일은 없을 것 같지만 언젠가는 더 강화된 지진피해안전대책을 더 생각했으면 하는 바람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