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Home>토론게시판>핫이슈토론 |
국제 남북통일! 과연 적정시기는?
페이지 정보

본문

제가 제시하려 하는 토론주제는
통일을 해야된다는 가정하에
과연 남북통일의 적정시기는 어느정도가 될것이냐는 겁니다
전 최소 50년 이후로 보는데 ㄱ-
가장 중요한건 현실적으로 금전적 문제부터 따져봐야겠죠.
여기 오랜만에 와보네요 ^^

댓글목록

Jaewon님의 댓글
Jaewon 작성일훗,,뒷돈안들킬려고 별수작을 다하는군,,

Jaewon님의 댓글의 댓글
Jaewon 작성일아 ;; 최소 김정일은 죽고난 후입니다. 절대적으로,,

한말씀님의 댓글
한말씀 작성일
여기서 이야기하는 통일의 형태는 무엇인가요?
단일정부의 형태인가요?
아니면, 국호를 통일하고, 연방제를 하는 것도 통일인가요?
그것부터 정의해 주셔야 할 듯 한데요...

애찬님의 댓글
애찬 작성일
하루빨리 통일하는게 국민들의 바램이지만 여러 정치적,경제적,사회적문제를 놓고 볼때는
적정 기간을두고 통일해야된다고 봅니다. 통일후 일어날 여러문제점들을 미리알고 개선한후
통일했으면 하는 바램입니다.

각시탈님의 댓글
각시탈 작성일
서로의 의견 차이가 거의 없는 상태이겟지요.. 여기엔 문화적,군사적,경제적,사회적 규범등 모든게 포함되어 잇는 것이죠...젤로 중요한것은 38선은 아직도 남북을 구별하는 선 이라기 보다는 휴전선 으로 이해를 해야 합니다...
전쟁을 잠시 휴식하고 있는 것이고 언제든지 다시 할 수 잇다는 것이죠...
저는 6.25를 겪지는 않았지만 살인의 비극 이죠...내가족이 평화를 누릴수 있는 힘이 있을때 그런 환경이 되어 잇을때 통일이 되어야 합니다.
얼마전 태풍으로 홍수가 났을때도 북한의 군사정권은 국민들을 돕기 보다는 군사훈련을 하였다고 합니다.

리버에코님의 댓글
리버에코 작성일
북한과 통일을 하려면 많은 노력과 생각의 생각을 거듭해 봐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짧지만 제 의견을 말해드리겠습니다.
남한은 민주주의적 정부를 통해 경제성장을 위주로 지금은 선진국 진입로에 서게 되었습니다.
그러나 대기업과 정부위주의 경제성장으로 인해 회사 하나만 휘청거려도 전체 국토가 모두 휘청거리는 위치에 있습니다. 빠른 성장의 부작용이 되겠지요
반면 북한은 사회주의적 정부주도하에 군사력의 강대국이 되었고 지금은 남한히 실시 하지도 못한 핵 계발을 하고 있습니다(국제사회가 원하지 않고 있긴 하지만요...). 어쨰뜬 북한은 군사적으로는 우리보다는 훨씬 우세하다고 합니다.
그럼 통일은 언제정도 이루어 질까요??
지금 북한은 중국의 원조가 끊기고 많은 도움을 필요로 하고 있습니다.
많약 지금 통일이 된다면 북한의 수상인 김정일 국방위원장관이 물러설려고 할 마음이 없겠죠
(지금은 국제사회 정세가 민주주의기 때문에 통일이 된다고 해도 꼭 민주주의가 도입되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1~3년 후에는 남한이 어느정도 경제가 더욱 성장하겠지만, 아직은 국민위주의 경제 성장이 아닐 것입니다..... 남한의 경제가 튼튼한 벽으로 재공사를 하고 난 후, 그리고 북한의 정치이념이 바뀔때까지는 통일이 어려울 것이라고 생각을 합니다...
통일이 되면 우리의 자본력과, 북한의 값싼 노동력, 그리고 북한의 무기 제조 기술력까지 합쳐 한국이 선진국의 문턱에만 왔다갔다하지 않고 당당히 들어 설 수 있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듭니다.
언제가 되었든, 어떤 상태에서든지간에 통일은 반드시 이루어 져야 합니다. 언제까지 쏘지도 않는 총을 겨누고 있을 수 많은 없지 않습니까.
이상으로 통일에 대한 제 의견을 마치겠습니다.
저의 소박한 의견임에도 불구하고 들어주신 여러분께 감사드립니다.
-Written by. oORiver's EchoOo

박재희님의 댓글
박재희 작성일
몇 년 전 한 신문에서는 분단이후 남북 간의 체형변화에 대한 조사가 있었습니다.
분단이전 북한의 남자 평균키는 남한의 남성의 평균키보다 훨씬 컸었습니다.
하지만 현재는 남한은 서구의 체형으로 바뀌고 있는 반면 북한은 제대로 된 식사조차 하지 못하여 평균키는 오히려 줄어들고 있는 상황이었습니다.
이런 점에서 볼 때 통일은 하루빨리 이루어져야한다고 생각되오나 실질적인 통일준비, 기본적인 화폐단위조차 바꾸고 있지 않은 상황입니다.
빠른 통일은 어렵다고 보나 연방제를 실시하여 남북과의 교류를 활성화 시켜 통일에 대한 준비를 차근차근해 나가야한다고 생각합니다. 당연히 북한의 정권교체가 이후에 말입니다.^^

이광렬님의 댓글
이광렬 작성일10~20년 후에 하는것이 좋을듯....

쫑배님의 댓글
쫑배 작성일금전적인 문제가 우선이 아니라 중요한건 아직까지도 분명히 우리한국과 북한은 '휴전' 중이라는 것입니다. 지금 말은 나오고 있지만 아직 휴전에서 전쟁 종결을 선언하지도 않은 이상황에 통일의 시기를 몇년후가 좋을까? 라고 묻는것과 통일을 해야한다는 가정 자체가 현실적이지 못하다고 생각됩니다.

멸치님의 댓글
멸치 작성일제 생각으로 최소 50년은 무리인것 같습니다. 50년이라는 방대한 세월은 세계화, 개방화시대에 맞추지 않는 기간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만약 50년동안의 통일준비기간은 갖는다면, 남북간의 문화적 차이가 심해질것이고, 과거 대한민국의 단절에 고통과 아픔를 겪으신 사람 또한 줄어들어 통일에 대한 의지가 약해질것이라고 예상됩니다.

boy님의 댓글
boy 작성일정확히는 1~3년뒤

매력남님의 댓글
매력남 작성일
제 생각을는 통일은 시민 혁명이 일어나기 전에는 무리라고 생각 합니다
시간이 1년 50년 100년 이라고 해도 그건 그저 김칫국물일뿐입니다
말이 휴전이지 이미 서로 국가로서 인정 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중앙권력층의힘이 강대하고(군사력)
외부의 강한 원조를 받고 있어서(중국)힘으로 찍어 누룰수도 없고 돈으로 회유 할수도 없습니다
제가 중국에 연변에 가봤는데 중국인 및 조선족은 북한을 편하게 왕래 할수 있습니다 거래도 활발 합니다
하지만 북한주민은 외부에 나가기가 사실상 무리입니다
중국은 경제력을 이용 북한을 자국화 할려는 속셈을 가지고 있답니다 우리는 그걸 멀뚱히 처다만 있조
그런상황에서 통일이 되네 마네 하는건 웃기는 이야기 입니다 아프리카나 중동 처럼 시민 혁명이 일어난다면
중국은 북을 도와줄수가 없습니다 주의의 시선이 안좋으니깐요 하지만 우리나라나 유엔등등은 시민군을 도와 줄수
있답니다 그런식의 통일이 안된다면 얼마안가서 중국의 북한 자치 지역이라는 곳이 생길지도 모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