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레사수녀의 수맥만의 돈의 행방은_stern기고문1 > 핫이슈토론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핫이슈토론Home>토론게시판>핫이슈토론


종교 테레사수녀의 수맥만의 돈의 행방은_stern기고문1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미림
댓글 0건 조회 6,223회 작성일 07-09-22 17:56

본문

The Following Feature Appeared in Germany's STERN magazine on 10 September 1998 on occasion on Mother
Teresa's 1st death anniversary. It is worth pointing out here that STERN,
one of Europe's highest selling magazines, is a conservative organ, not known for any anti-Catholic bias.
다음의 특집기사는 테레사수녀의 죽음 1주년 행사에 대해 1998년 9월 10일 독일에 STERN 잡지에 기고되었다.
유럽에서 가장 많이 팔리는 잡지중의 하나인 STERN은 보수적인 조직이며 반 캐돌릭적인 기반은 없다고 알려졌다.

 
MOTHER TERESA : WHERE ARE HER MILLIONS?
by Walter Wuellenweber
테레사 수녀 : 그녀의 수백만에 달하는 돈은 어디에 있는가?
Walter Wuellenweber 씀

The Angel of the poor died a year ago. Donations still flow in to her Missionaries of Charity like to no other
cause. But the winner of the Nobel Peace Prize vowed to live in poverty. What then, happened to so much money?
가난한자의 천사가 1년전에 죽었다.  기부는 아직도 다른 경우와 다르게 그녀의 Missionaries of Charity로 흘러들어 온다.그러나 노벨 평화상 수상자는 가난속에서 살것을 맹세했다. 그 많은 돈들에 어떤일이 일어났는가?
 
If there is a heaven, then she is surely there:
만약 천국이 있다면 그녀는 틀림없이 그곳에 있을 것이다.
Agnes Gonxha Bojaxhiu from Skopje in Macedonia, better known as Mother Teresa.
테레사 수녀로 알려진 마케도니아의 Skopje태생의 Agnes Gonxha Bojaxhiu
She came to Calcutta on the 6th of Januray 1929 as an 18 year old sister of the Order of Loreto.
Loreto의 명령을 받은 18세의 수녀로서 1929년 1월 6일 켈커타에 왔다.
68 years later luminaries from all over the world assembled in Calcutta in order to honour her with a state funeral.
69년이 지난 후 세계의 모든 유명인들은 장례를 기념하기위해 켈커타에 모였다.
In these 68 years she had founded the most successful order in the history of the Catholic church, received
the Nobel Peace Prize and became the most famous Catholic of our time.
이 68년동안 노벨 평화상을 받고 우리시대에 가장 유명한 캐돌릭신자가 되면서 그녀는 캐돌릭교회 역사에서 가장 성공적인 수도원의 기초를 다져왔다.
 
Are doubts permitted, regarding this "monument"? In Calcutta, one meets many doubters.
이 불후의 업적에 관하여 의심이 허용되는가? 캘커타에서는 많은 의혹제기자들을 만난다.
 
For example, Samity, a man of around 30 with no teeth, who lives in the slums.
He is one of the "poorest of the poor" to whom Mother Teresa was supposed to have dedicated her life.
예를 들어 슬럼에 살고 있고 이가 다 빠져버린 30대의 남자 Samity가 있다.
그는 테레사수녀가 그녀의 인생을 헌신해야 했던 가난한자 중의 가장 가난한 사람이다
.

 With a plastic bag in hand, he stands in a kilometre long queue in Calcutta's Park Street. The poor wait patiently,
 until the helpers shovel some rice a nd lentils into their bags.
 비닐봉지를 손에 들고 켈커타의 공원거리에 일킬로미터의 긴 줄속에 서있다.  가난한 사람들은 돕는이들이 쌀이나 콩을  그들의 비닐봉지에 퍼줄때가지 참을성있게 기다린다.

 But Samity does not get his grub from Mother Teresa's institution, but instead from
 the Assembly of God, an American charity, that serves 18000 meals here daily. "Mother Teresa?"says Samity,
 "We have not received anything from her here. Ask in the slums -- who has received anything from the sisters
 here -- you will find hardly anybody."
그러나 Samity는 테레사수녀의 기관에서 음식을 얻지 않고 매일 18000명분의 식사를 제공하는 미국의 자선기관인 Assembly of God에서 음식을 얻는다.
테레사수녀라구요?   Samity는 말한다.  여기서 우리는 그녀로부터 아무것도 받지 않습니다. 슬럼가에서 물어 보세요 수녀로부터 무엇이라도 받은게 있는 사람이 있는지 ----   거의 어떤사람도 만나지 못할겁니다.
 
Pannalal Manik also has doubts. "I don't understand why you educated people in the West have made this woman into such a goddess!"
Pannalal Manikeh 도 역시 의문을 가지고 있다. 왜 서구의 교육받은 사람들은 이 여자를 여신으로 만드는지 이해할 수 없습니다.
 
Manik was born some 56 years ago in the Rambagan slum, which at about 300 years of age,
is Calcutta's oldest.
Manik은 56년전에 켈커타에서 가장 오래된, 300년동안 슬럼가였던  Rambagan에서 태어났다
 
 What Manik has achieved, can well be called a "miracle". He has built 16 apartment buildings  in the midst of the slum -- living space for 4000 people.
ManiK가 이루어 놓은것은 기적이라 부를 만 하다.
4000명이 거주하고 있는 슬럼가의 중앙에 16개의 아파트빌딩을 지었다
.
 
Money for the building materials -- equivalent to DM 10000 per apartment building -- was begged for by Manik
from the Ramakrishna Mission [a Indian/Hindu charity], the largest assistance-organisation in India.
The slum-dwellers built the buildings themselves.
건물자재를 위한 돈은 ---아파트 건물마다 DM 10000에 상당하는-- 인디안/힌두 자선단체인 Ramakrishna Mission, 인디아에서 가장 큰 구호조직,에서 원조받았다. 슬럼 거주자들이 직접 건물을 지었다.
 
It has become a model for the whole of India. But what about Mother Teresa? "I went to her place 3 times," said Manik.   "She did not even listen to what I had to say. Everyone on earth knows that the sisters have a lot of money.
이것은 인도전역의 모델이 되었다.  그렇지만 테레사수녀는 어떤가?  나는 그녀를 3번이나 찾아갔습니다. Manik은 말했다.그녀는 심지어 내가 말해야 하는 것을 들으려고하지도 않았다. 이 세상의 모든 사람들은 그 자매가 많은 돈을 가지고 있다는 사실을 알고 있다.
 
But no one knows what they do with it!" In Calcutta there are about 200 charitable organisations helping the poor.
Mother Teresa's Missionaries of Charity are not amongst the biggest helpers: that contradicts the image of the organisation.
그러나 많은 사람들은 그들이 그 돈으로 무엇을 하고 있는 지 모른다.
켈커타에서는 가난한 사람들을 돕는 200개의 자선단체가 있다.
테레사수녀의   Missionaries of Charity는 가장 큰 단체에 속하지 않는다. 그것은 그 조직의 이미지와 모순된다.

 
The name "Mother Teresa" was and is tied to the city of Calcutta. All over the world admirers and supporters of
the Nobel Prize winner believe that it must be there that her organisation is particularly active in the fight
against poverty.
테레사수녀라는 이름은 캘커타와 묶여있다.  전세계에 퍼져있는 숭배자와 노벨평화상 수상자의 지원들은 가난에 대항한 싸움에서 특별한 역할을 하는 것이 그녀의 조직이라고 믿고 있다.
 
"All lies," says Aroup Chatterjee . The doctor who lives in London was born and brought up in Calcutta.
Chatterjee who has been working for years on a book on the myth of Mother Teresa, speaks to the poor in the slums
of Calcutta, or combs through the speeches of the Nobel Prize winner.
모든것이 거짓입니다.  Aroup Chatterjee는 말한다. 런던에서 살고 있는 이 의사는 캘커타에서 테어나서 자랐다.
Chatterjee는 노벨평화상 수상자의 말을 세밀하게 조사하고 켈커타의 빈민에게 말하는 테헤사수녀의 신화에 대한 책을 수년간 집필해 오고 있다.

 
 "No matter where I search, I only find lies. For example the lies about schools.
Mother Teresa has often stated that she runs a school in Calcutta for more than 5000 children. 5000 children!
 -- that would have to be a huge school, one of the biggest in all of India.
 But where is this school? I have never found it, nor do I know anybody who has seen it!" says Chatterjee.
어느곳을 조사하여 보아도 발견되는 것은 거짓말뿐이다.  예를 들어 학교에 대한 거짓말이다.
테레사수녀는 5000명의 어린이를 위한 학교를 운영하고 있다고 가끔 언급을 했다.  5000명의 아이들 !
---그것은 인디아에서 가장 큰 학교중의 하나 거대한 학교가 될 것이다.
그러나 어디에 이 학교가 있는가?  나는 전혀 발견할 수 없었고 그것을 보았다는 사람을 보지 못했다 Chatterjee는 말했다.


Compared to other charitable organisations in Calcutta, the nuns with the 3 blue stripes are ahead in two respects:
they are world famous, and, they have the most money. But how much exactly, has always been a closely
guarded secret of the organisation.
캘커타에서 다른 자선단체와 비교하여 보면 3개의 파란줄을 가진 수녀들은 두가지 측면에서 앞서있다.:
그들은 세계적으로 유명하고 그들은 대부분의 돈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정확히 얼마나 많이인지는   철저하게 관리되어온 조직의 비밀이었다.

 
Indian law requires charitable organisations to publish their accounts. Mother Teresa's organisation ignores
this prescription! It is not known if the Finance Ministry in Delhi who would be responsible for
charities' accounts,have the actual figures.
인도의 법은 자선단체에 그들의 계정을 공개하도록 요구하고 있다 .  테레사수녀의 단체는 이 규정을 무시했다.
자선단체의 계정에 책임이 있는 델리의 재무부가 정확한 실제 금액을 알고있는지는 모른다
.
 
Upon STERN's inquiry, the Ministry informed us that this particular query was listed as "classified information".
The organisation has 6 branches in Germany. Here too financial matters are a strict secret. "It's nobody's business how much money we have, I mean to say how little we have," says Sr Pauline, head of the German operations. Maria Tingelhoff had had handled the organisation's book-keeping on a voluntary basis until 1981. "We did see 3 million a year," she remembers. But Mother Teresa never quite trusted the worldly helpers completely. So the sisters took over the financial management themselves in 1981. "Of course I don't know how much money went in, in the years after that, but it must be many multiples of 3 million," estimates Mrs Tingelhoff. "Mother was always very pleased with the Germans."
STERN의 질문에 장관은 우리에게 이와같은 특수한 질문은 제한된 정보라고 알려주었다. 조직은 독일에도 6개의 지부를 갖고 있다. 독일 이곳에서도 재정은 엄격한 비밀이다. 이것은 누구의 일도 아니다.
 
Perhaps the most lucrative branch of the organisation is the "Holy Ghost" House in New York's Bronx.
Susan Shields served the order there for a total of nine and a half years as Sister Virgin.
 가장 돈이 벌리는 조직의 지부는 뉴욕 브롱스에 있는 "Holy Ghost" 이다. Susan Shields은 9년 반을
  Sister Virgin으로 일했다.
 
"We spent a large part of each day writing thank you letters and processing cheques," she says.
 "Every night around 25 sisters had to spend many hours preparing receipts for donations.
우리는 하루의 많은 부분을 감사편지를 쓰고 수표를 처리한다. 그년느 말한다.
매일  밤 25명의 자매들이 기부의 영수증을 준비하는데 많은 시간을 보낸다.

 
It was a conveyor belt process: some sisters typed, others made lists of the amounts, stuffed letters
 into envelopes, or sorted the cheques. Values were between $5 and $100.000. Donors often dropped their
 envelopes filled with money at the door.
이것은 컨베이어 시스템과 같다: 어떤 자매는 타이핑을 하고 다른 사람은 금액의 목록을 만들고 편지를 봉투에
넣거나 수표를 분류한다. 5달러에서 100000달러까지 다양하다, 기부자는 가끔 도어앞에 돈이 들어있는 봉투를
떨어뜨려 놓는다.

 
Before Christmas the flow of donations was often totally out of control.
The postman brought sack-fulls of letters -- cheques for $50000 were no rarity."
Sister Virgin remembers that one year there was about $50 million in a New York bank account.
$50 million in one year! -- in a predominantly non-Catholic country.
How much then, were they collecting in Europe or the world?
It is estimated that worldwide they collected at least $100 million per year
-- and that has been going on for many many years.
크리스마스전이면 기부의 행렬은 가끔 완전히 통제를 벗어난다.
우편배달부는 편지로 가득찬 색을 가져오고 5천불은 희귀하지 않다.
Sister Virgin은 한해에 5천만달러가 뉴욕은행 계좌에 있는 돈이 있었다고 기억한다.
한해에 5천만달러!  두드러진 카톨릭이 아닌 국가에서.
그러면 유럽과 세계에서 얼마나 많은 돈을 수집하겠는가?
전세계적으로 한해에 최소한 1억달러정도가 추정이 된다.--- 그리고 많은 세월동안 반복이 되어져 왔다

 
While the income is utter secret, the expenditures are equally mysterious.
The order is hardly able to spend large amounts. The establishments supported by the nuns are so tiny
(inconspicuous) that even the locals have difficulty tracing them.
Often "Mother Teresa's Home" means just a living accommodation for the sisters, with no charitable function.
수입이 완전히 비밀이므로 사용도 역시 미스터리이다.
수도회는 거액의 금액을 거의 사용하지 않는다. 수녀에 의해 지원되는 국정은 너무 적어서 눈에 띄지 않고 지역인들은 그들을 추적하기 힘이든다. 테레사수녀의  집도 자선기능이 없는 수녀의 주거용을 의미한다

 
Conspicuous or useful assistance cannot be provided there.
The order often receives huge donations in kind, in addition to the monetary munificence.
Boxes of medicines land at Indian airports. Donated food grains and powdered milk arrive in containers at Calcutta port.
Clothing donations from Europe and the US arrive in unimaginable quantities. On Calcutta's pavement stalls,
traders can be seen selling used western labels for 25 rupees (DM1) apiece.
Numerous traders call out, "Shirts from Mother, trousers from Mother."
눈에 뜨이거나 유용한 도음은 그곳에 제공되지 않는다.
수도회는 가끔  금전적을 후한 많은 기부를 받는다. 약품 상자들이 인도의 공항에 도착하고 캘커타의 항구에 컨테이너에 담긴 기부된 곡물과 분유가  도착한다.   유럽과 미국으로 부터의 의류기부는 상상할 수 없는 양이다.
켈커타의 포장도로 노점에서는 한 벌에 25루피의 서구의 상표가 붙은 중고를 팔고 잇는것을 볼 수 있다.
수많은 상인들이 소리를 친다 "수녀에게서 온 셔츠" 수녀로 부터 바지"


Unlike with other charities, the Missionaries of Charity spend very little on their own management,
since the organisation is run at practically no cost.
The approximately 4000 sisters in 150 countries form the most treasured workforce of all global multi-million dollar operations.
Having taken vows of poverty and obedience, they work for no pay, supported by 300,000 good citizen helpers.
조직은 실제적으로 무보수로 운영되기 때문에
다른 자선단체와 달리  Missionaries of Charity는 그들의 관리를 위해서는 아주 작은 돈을 사용한다.
거의 4천명의 150여개국에서 온 4천명의 수녀들은 가장 소증한 인력을 형성한다 ~~~~
빈곤과 복종의 맹세를 하고 그들은 급여없이 일하고 300000의 훌륭한 자원자들의 도움을 받는다.

 
By their own admission, Mother Teresa's organisation has about 500 locations worldwide.
But for purchase or rent of property, the sisters do not need to touch their bank accounts.
"Mother always said, we don't spend for that," remembers Sunita Kumar, one the richest women in Calcutta
and supposedly Mother T's closest associate outside the order.
그들의 허락하에서 테레사수녀의 조직은 전세계의 500개 지부를 가지고 있다.
그러나 자산의 대여난 구매에 대해서 수녀들은 그들의 은행계좌를 전혀 손 댈 필요가 없었다.
테레사는 항상 이야기 했다.  우리는 그런것을 위해 돈을 낭비할 수 없다. Sunita Kumar는 회상했다. 캘커타에서 가장 부유한 여자이었으며 추축컨데 수도회 밖에서는 테레사수녀의 가장 가까운 동료였다.

 
"If Mother needed a house, she went straight to the owner, whether it was the State or a private person,
 and worked on him for so long that she eventually got it free."
만약 수녀가 집이 필요하다고 하면 그녀는 곧장 집주인에게 갔고 개인이던 국가이었던 그를 위해 오랬동안 일을 하여
결국 공짜로 집을 얻었다.


Her method was also successful in Germany.
In March the "Bethlehem House" was dedicated in Hamburg, a shelter for homeless women.
Four sisters work there. The architecturally conspicuous building cost DM2.5 million.
The fortunes of the order have not spent a penny toward the amount.
The money was collected by a Christian association in Hamburg. With Mother T as figure head it was naturally
short work to collect the millions.
그녀의 방법은 독일에서도 효과적이었다
3월에 Hamburg에서 집없는 여자들의 쉽터인"Bethlehem House"  가 헌납되었다.
4명의 수녀가 여기서 일한다. 건축학적으로 두각을 나타내는 건물의 은 DM2.5백만이 들었다.
돈은   Hamburg의 Christian association에서 모금을 하였다 테레사수녀를 얼굴마담으로 해서 이것은 백만을 모금하는 지름길이었다.

 
Mother Teresa saw it as as her God given right never to have to pay anyone for anything.
Once she bought food for her nuns in London for GB?00.
When she was told she'd have to pay at the till, the diminutive seemingly harmless nun showed her Balkan temper and shouted, "This is for the work of God!" She raged so loud and so long that eventually a businessman waiting
in the queue paid up on her behalf.
테레사 수녀는 다른사람에게 무엇도 지불하지 않을 권리를 신에게 부여받았다고 생각했다.
한번은 그녀가 수녀를 위해 런던에서 음식을 샀었다.
그녀가 계산대에서 값을 치뤄야 한다고 말해졌을 때 작고 외관상으로 순진한 이 수녀는 그녀의 발칸기질을 보여주며 소리를 쳤다. 이것은 신을 위한 일이다!  그녀는 큰소리로 질책을 했고 결국 줄에서 기다리던 어떤 사업가가  그녀를 대신해서 계산을 했다.

 
England is one of the few countries where the sisters allow the authorities at least a quick glance at their
accounts. Here the order took in DM5.3 million in 1991. And expenses (including charitable expenses)?
-- around DM360,000 or less than 7%.
영국은 수녀들이 그들의 계좌를 볼 수 있는 몇 안되는 나라중의 하나이다. 1991년에 D.M 5.3백만이 인출되었다
비용(자선비용을 포함해서)? ----DM 360,000이거나 7%이하이다
.
 
Whatever happened to the rest of the money?
나머지 돈들에 대체 무슨일이 일어 났는가?

 Sister Teresina, the head for England, defensively states, "Sorry we can't tell you that.
영국의 우두머리인 테레시나 수녀는 방어적으로 이야기했다 "미안합니다. 우리는 말할 수 없습니다".

" Every year, according to the returns filed
with the British authorities, a portion of the fortune is sent to accounts of the order in other countries.
 How much to which countries is not declared.
매년 영국관리로부터 회신된 신고에 따르면  금액의 일정부분이 다른 나라의 수도원의 계좌로 보내진다.
얼마나 많은 도는 어떤 나라로 보내지는지는 알려지고 있지 않다
.

One of the recipients is however, always Rome.
그러나 항상 어떤 수령지의 하나는 항상 로마이다.
 
The fortune of this famous charitable organistaion is controlled from Rome,  -- from an account at the Vatican bank.
이 유명한 자선기관의 돈들은 로마의 콘트롤을 받는다.--바티칸은행의 계좌로 부터

And what happens with moneys at the Vatican Bank
 is so secret that even God is not allowed to know about it.
그리고 바티칸은행에서 그 돈들이 어떤일이 일어나고 있는지는 신조차도 아는것이 허용되지 않는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핫이슈토론Home>토론게시판>핫이슈토론
Total 2,359건 85 페이지
핫이슈토론 목록
제목내용
1099 사회
1098 종교
악마인가 성녀인가 ---테레사수녀 
미림 hit:10916 09-15
댓글55
1097 종교
1096 종교
열람중 종교
1094 종교
1093 종교
1092 종교
1091 문화
최근 안정환 사건에 대하여... 
하얀색향기 hit:7671 09-14
댓글9
1090 사회
간통죄는 위헌인가? 위헌이 아닌가? 
토돌이 hit:5995 09-09
댓글35
1089 사회
1088 역사
1087 사회
1086 사회
답변글 Re..공정보도 합시다. 
삼무 hit:4081 09-19
1085 정책
좌측보행이 좋은지? 우측보행이 좋은지? 
토돌이 hit:5128 09-04
댓글11
게시물 검색

회원로그인

회원가입


운영자 SNS커뮤니티


https://www.facebook.com/groups/1987117991524411 https://www.facebook.com/acetraveler12 https://www.facebook.com/FlindersUniversityDebatingSociety https://twitter.com/acetraveler1

https://story.kakao.com/_d36z15 https://band.us/band/72550711 http://cafe.daum.net/acetraveler http://blog.daum.net/acetraveler

https://pf.kakao.com/_xocRxjK https://story.kakao.com/ch/toronsil2001 https://toronsil.tistory.com https://m.post.naver.com/acetraveler

https://blog.naver.com/acetraveler https://cafe.naver.com/toronsilsince2001 https://timeline.line.me/user/_dZVn8dOub0-9zubHJ-7LNDBubziVSzUT0jK3hn0 https://open.kakao.com/o/ghmiAdpc

https://www.instagram.com/acetraveler12 https://www.instagram.com/acetraveler12/channel/ https://www.tumblr.com/blog/toronsil https://www.youtube.com/channel/UChSQEwnxoTgesALkVkL_PKA

https://ameblo.jp/firest12/ http://acetraveler.blogspot.com/ https://www.reddit.com/user/acetraveler12 https://ok.ru/profile/585384389039

https://www.pinterest.co.kr/firest12/%ED%86%A0%EB%A1%A0%EC%8B%A4-%EC%82%AC%EC%9D%B4%ED%8A%B8/ https://vk.com/id614494296 https://vk.com/public198641212

https://tv.kakao.com/channel/3743718 https://www.linkedin.com/in/min-seob-lee-9a1b1729


사이트 정보

대한민국 토론커뮤니티-토론실 대표: 이민섭
☎ TEL 010-7670-7720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회기로 12길 37-5, 401호
Copyright © 2001 ~2025 토론실(toronsil.com) All Rights Reserved.
Mail : acetraveler@naver.com

여럿 빠뜨리고 벼락치기로 몰아서 몇 개 올리는 챗 GP…
대한민국 법원 주요 판결 2024년 6월 12일 아침 …
대한민국 법원 주요 판결 2024년 6월 10일 정리 …
미국 연방 대법원 주요 결정 2024년 6월 9일 정리…
프랑스 헌법재판소 (Le Conseil constitu…
독일 연방헌법재판소 주요 결정 2024년 6월 9일 정…
대한민국 법원 주요 판결 2024년 6월 9일 정리 결…
대한민국 법원 주요 판결 2024년 6월 6일 정리 결…
2024년 6월 1일 대한민국 헌법재판소 주요 결정 정…
2024년 5월 30일 대한민국 법원 주요 판결 정리 …
2024년 5월 27일 대한민국 법원 주요 판결 정리 …
2024년 5월 26일 대한민국 헌법재판소 주요 결정 …
2024년 5월 23일 대한민국 법원 주요 판결 정리 …
(펌글)법무부, ′24년 1차 불법체류 외국인 정부합동…
(펌글)장애인 편의시설 설치율 89.2%로 ‘18년보다…
조규홍 본부장 주재 중앙사고수습본부 제31차 회의 개최…
(펌글)장애인고용공단-아이티센그룹 ‘자회사형 장애인표준…
(펌글)신직업 및 유망산업 분야 현직자의 생생한 취업 …
(펌글)인공지능(AI) 시대의 청년취업, 「고용24」와…
(펌글)(참고) 고용률ㆍ경제활동참가율 3월 기준 역대 …
(펌글)(설명) 환경부는 기후적응법 제정을 추진한 바 …
(펌글)국립공원 암벽장 55곳 합동 안전점검
(펌글)(동정) 제2의 볼티모어 교량 충돌사고 대비한다
(펌글)통일부 북한정보포털 대문 화면
(펌글)2024.4.12. 대한민국 법원 대국민서비스 …
(펌글)발코니 벽 해체에 아랫집 소송···대법원 "위험…
(펌글)전세금 돌려준다 속이고 점유권 이전한 집주인, …
[펌글]국적 잃을뻔한 다문화 남매...대법 "주민등록증…
[펌글]2024. 4. 10. 각급법원(제1,2심) 판…
2022년 12월 9일(금) 일기(다이어트, 청취력 회…
2022년 12월 2일(금) 일기(다이어트, 청취력 회…
2022년 11월 28일(월) 일기(다이어트, 청취력 …
2022년 11월 22일(화) 일기(다이어트, 청취력 …
2022년 11월 17일(목) 일기(다이어트, 청취력 …
2022년 11월 12일(토) 일기(다이어트, 청취력 …
2022년 11월 7일(월) 일기(다이어트, 청취력 회…
2022년 11월 4일(금) 일기(다이어트, 청취력 회…
2022년 10월 17일(월) 일기(다이어트, 청취력 …
2022년 10월 10일(월) 일기(다이어트, 청취력 …
(토론실 사이트 펌글)IDS X KIDA Korea 2…
2022년 9월 24일(토), 25일(일) 일기(다이어…
(토론실 사이트 펌글)IDS X KIDA Korea 2…
2022년 9월 21일(수), 22일(목), 23일(금…
2022년 9월 20일(화) 일기(다이어트, 청취력 회…
2022년 9월 19일(월) 일기(다이어트, 청취력 회…
(토론실 사이트 펌글)IDS X KIDA Korea 2…
2022년 9월 17일(토), 18일(일) 일기
2022년 9월 18일(일) 일기(체중변화 기록, 20…
(토론실 사이트 펌글)IDS X KIDA Korea 2…
2022년 9월 15일(목), 16일(금) 일기
Copyright © toronsil.com.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