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Home>커뮤니티>지식정보 |
추천명언 유명한스피치 8
페이지 정보

본문
지혜를 좋아하는 사람은 참으로 많은 일을 추구하는 사람이 아니면 안 된다
★기원전 5세기 무렵의 그리스 철학자 헤라클래스의 말이다.
여기서 지혜란 무엇인가? 새로운 사고 방식이나 방법을 낳게 하는 것, 즉 아이디어로 이해하면 된다. 즉 아이디어를 낳으려고하는 사람은 일에 대하여 많은 지식을 추구하는 사람이라는 뜻이된다.
아이디어란 것은 어느 날 갑자기 번득이는 것이 아니라 그 자체로서 실로 많은 지식이 축척되고 그러한 지식이 엮어져서 생겨난다. 말하자면 아이디어란 것은 그 사람이 축척하고 있는 지식이나 경험의 양에 비례하는 식의 형태로 생겨나고, 그에 따라 아이디어 크기도 변화하게 된다.
그리고 또한 여기서 "추구한다"는 것은, 그 사항이나 주변에 관해 ""알지 않고서는 견딜 수 없는" 마음으로 이해하고 싶다. 즉 "왜일까? 정말 그럴까?" 하는 문제 의식을 가지고 사상(事狀)을 바라보며 알고자 하는 정신을 말한다. 그것에서 새로운 아이디어가 생겨나기 마련이다.
☆창조성 개발 연수 등에는 최적이지만 구애받을 필요는 없다.
상품 개발 회의, 판매 회의, TQC (종합적 품질 관리) 등에서의 훈시적 인사로 응용할 수 있는 말이다.
단, 사생활은 추구하지 않기 바란다
직감이라고 하는 것은 사실상 논리적 추리나 경험에 의거한 인상을 말하는 것이다
★ 영국의 여류 추리 소설가 아가사 크리스티의 『ABC 살인사건』중에서.
아시는 바와 같이 거드름장이 명탐정 에르큘 포와르의 대사이다. 특기인 "회색의 뇌세포"를 가동시켜서 포와로는 어려운 사건을 멋지게 해결한다.
여느 때와 마찬가지로 관계자들 모아 놓고 사건의 추리를 전개한다. 그의 말에 의하면 사소한 사항이나 하찮은 부분 에도 미심쩍은 생각을 품는다. 그것은 흔히 직감이라고 하지만 사실은 경험이라든지 논리적 추리의 결과로서 가지게 되는 정신적 작용, 즉 인상이라고 할만한 것이기도 하다.
예리한 육감이나 직감 같은 것은 천성적인 것으로 생각하기 쉽지만 반드시 그렇지는 않다. 길러낼 수도 있는 것이다. 육감이나 직감은 학습이나 경험에 의해 "회색의 뇌세포"에 축적 되었던 방대한 기억(정보)이 그 사람이 지닌 문제 의식에 촉발(觸發)되는 꼴로 번득이게 되는 것이다.
지식이나 경험의 뒷받침이 없는 직감은 단순한 어림짐작에 불과하다. 위대한 생화학자 파스퇴르도 말하고 있다. "직감의 번득임은 그것을 얻으려고 오랫동안 준비와 고심을 한사람에게 주어진다."
☆ 선견성(善見城)에 대해 이야기할 때에 인용할 수 있는 말이다. 발상이란 요컨대 정보를 엮은 것이다.
평상시에 유용한 정보를 뇌세포에 축적해 놓지 않으면 예리한 육감이나 직감의 번득임, 뛰어난 발상은 있을 수 없다.
진정한 남성은 두가지의 것을 원한다. 위험과 유희(遊戱)이다
★ 니체의 『짜루투스라는 이렇게 말했다』에 나오는 대목이다. 이 구절 다음에는 "그래서 그는 여성을 가장 위험한 유회로서 바란다”고 이어진다.
이것은 남성의 본능을 어느 정도 포착한 말이라고 할 수 있다. 무슨 일에든지 위험을 무릅쓰고 모험심이나 도전 정신을 키울 수 없는 남자는 남자답지 못하고 성장도 하지 못한다.
한편으로 즐기려는 마음도 왕성해서 무엇이든지 놀이의 대상으로 삼아 버리는 것도 남성의 특기이다. 남성에게 있어서 요상한 독성과 악마성을 가진 것같이 보이는 여성이란 것은 도전할 가치가 있는 "위험"임과 동시에 마음을 들뜨게 하고 위로해 주는 "유희(遊戱) 상대”일 수 있는 것이다.
이리하여 많은 남성들이 위험한 함정에 빠지고, 한편으론 많은 여성들이 농락당하고 버림을 받게 된다.
☆ 일반적으로 이 구절의 적절한 인용 장면은 없지만 겉만 요란하고 내용이 없는 남자에게 열을 올리는 딸에 대한 설득 장면에 쓰일 수 있는 말이다.
짊어지는 방법 여하에 따라 무거운 짐도 가볍다
★ 필딩의 『톰 존스 이야기』의 한 구절.
"사람의 일생은 무거운 짐을 짊어지고 언덕길을 가는 것과 같다." 는 말이 있듯이 확실히 인생이라는 것은 무거운 짐을 짊어지고 가는 고난의 길이라고 할 수 있다.
누구나 남의 입장에서 보면 대단한 일이 못 될지 모르나 사람에 따라서는 주택 자금이나 회사 경영의 "무거운 짐"을 짊어지고 날마다 조바심한다.
그런데 "짊어지는 방법 여하에 따라 무거운 짐도 가볍다"는 것은 사람마다의 무거운 짐도 짊어지는 기술의 측면과 마음가짐이라는 심리적 측면을 바꾸어 보면 가벼워진다는 것이리라.
등산에서 짊어지는 커다란 배낭도 중량은 변하지 않아도 오랫 동안 짊어지고 걷게 되면 차츰 무겁게 느껴진다. 이 무게를 경감시키는 것은 정상에 선다거나 목표에 도달하는 희망이며 기쁨이다.
이것은 심리적인 것이다. 생의 무거운 짐도 기술과 마음가짐에 따라 가벼워진다는 것을 시사하는 말이라고 할 수 있다.
☆ 일이나 생활의 중압―라고 본인은 생각한다―에 지치고 눌리어 쓰러진 자를 격려하는 말로서 인용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런 경우 교훈조로 말하는 것은 삼가야 한다.
★기원전 5세기 무렵의 그리스 철학자 헤라클래스의 말이다.
여기서 지혜란 무엇인가? 새로운 사고 방식이나 방법을 낳게 하는 것, 즉 아이디어로 이해하면 된다. 즉 아이디어를 낳으려고하는 사람은 일에 대하여 많은 지식을 추구하는 사람이라는 뜻이된다.
아이디어란 것은 어느 날 갑자기 번득이는 것이 아니라 그 자체로서 실로 많은 지식이 축척되고 그러한 지식이 엮어져서 생겨난다. 말하자면 아이디어란 것은 그 사람이 축척하고 있는 지식이나 경험의 양에 비례하는 식의 형태로 생겨나고, 그에 따라 아이디어 크기도 변화하게 된다.
그리고 또한 여기서 "추구한다"는 것은, 그 사항이나 주변에 관해 ""알지 않고서는 견딜 수 없는" 마음으로 이해하고 싶다. 즉 "왜일까? 정말 그럴까?" 하는 문제 의식을 가지고 사상(事狀)을 바라보며 알고자 하는 정신을 말한다. 그것에서 새로운 아이디어가 생겨나기 마련이다.
☆창조성 개발 연수 등에는 최적이지만 구애받을 필요는 없다.
상품 개발 회의, 판매 회의, TQC (종합적 품질 관리) 등에서의 훈시적 인사로 응용할 수 있는 말이다.
단, 사생활은 추구하지 않기 바란다
직감이라고 하는 것은 사실상 논리적 추리나 경험에 의거한 인상을 말하는 것이다
★ 영국의 여류 추리 소설가 아가사 크리스티의 『ABC 살인사건』중에서.
아시는 바와 같이 거드름장이 명탐정 에르큘 포와르의 대사이다. 특기인 "회색의 뇌세포"를 가동시켜서 포와로는 어려운 사건을 멋지게 해결한다.
여느 때와 마찬가지로 관계자들 모아 놓고 사건의 추리를 전개한다. 그의 말에 의하면 사소한 사항이나 하찮은 부분 에도 미심쩍은 생각을 품는다. 그것은 흔히 직감이라고 하지만 사실은 경험이라든지 논리적 추리의 결과로서 가지게 되는 정신적 작용, 즉 인상이라고 할만한 것이기도 하다.
예리한 육감이나 직감 같은 것은 천성적인 것으로 생각하기 쉽지만 반드시 그렇지는 않다. 길러낼 수도 있는 것이다. 육감이나 직감은 학습이나 경험에 의해 "회색의 뇌세포"에 축적 되었던 방대한 기억(정보)이 그 사람이 지닌 문제 의식에 촉발(觸發)되는 꼴로 번득이게 되는 것이다.
지식이나 경험의 뒷받침이 없는 직감은 단순한 어림짐작에 불과하다. 위대한 생화학자 파스퇴르도 말하고 있다. "직감의 번득임은 그것을 얻으려고 오랫동안 준비와 고심을 한사람에게 주어진다."
☆ 선견성(善見城)에 대해 이야기할 때에 인용할 수 있는 말이다. 발상이란 요컨대 정보를 엮은 것이다.
평상시에 유용한 정보를 뇌세포에 축적해 놓지 않으면 예리한 육감이나 직감의 번득임, 뛰어난 발상은 있을 수 없다.
진정한 남성은 두가지의 것을 원한다. 위험과 유희(遊戱)이다
★ 니체의 『짜루투스라는 이렇게 말했다』에 나오는 대목이다. 이 구절 다음에는 "그래서 그는 여성을 가장 위험한 유회로서 바란다”고 이어진다.
이것은 남성의 본능을 어느 정도 포착한 말이라고 할 수 있다. 무슨 일에든지 위험을 무릅쓰고 모험심이나 도전 정신을 키울 수 없는 남자는 남자답지 못하고 성장도 하지 못한다.
한편으로 즐기려는 마음도 왕성해서 무엇이든지 놀이의 대상으로 삼아 버리는 것도 남성의 특기이다. 남성에게 있어서 요상한 독성과 악마성을 가진 것같이 보이는 여성이란 것은 도전할 가치가 있는 "위험"임과 동시에 마음을 들뜨게 하고 위로해 주는 "유희(遊戱) 상대”일 수 있는 것이다.
이리하여 많은 남성들이 위험한 함정에 빠지고, 한편으론 많은 여성들이 농락당하고 버림을 받게 된다.
☆ 일반적으로 이 구절의 적절한 인용 장면은 없지만 겉만 요란하고 내용이 없는 남자에게 열을 올리는 딸에 대한 설득 장면에 쓰일 수 있는 말이다.
짊어지는 방법 여하에 따라 무거운 짐도 가볍다
★ 필딩의 『톰 존스 이야기』의 한 구절.
"사람의 일생은 무거운 짐을 짊어지고 언덕길을 가는 것과 같다." 는 말이 있듯이 확실히 인생이라는 것은 무거운 짐을 짊어지고 가는 고난의 길이라고 할 수 있다.
누구나 남의 입장에서 보면 대단한 일이 못 될지 모르나 사람에 따라서는 주택 자금이나 회사 경영의 "무거운 짐"을 짊어지고 날마다 조바심한다.
그런데 "짊어지는 방법 여하에 따라 무거운 짐도 가볍다"는 것은 사람마다의 무거운 짐도 짊어지는 기술의 측면과 마음가짐이라는 심리적 측면을 바꾸어 보면 가벼워진다는 것이리라.
등산에서 짊어지는 커다란 배낭도 중량은 변하지 않아도 오랫 동안 짊어지고 걷게 되면 차츰 무겁게 느껴진다. 이 무게를 경감시키는 것은 정상에 선다거나 목표에 도달하는 희망이며 기쁨이다.
이것은 심리적인 것이다. 생의 무거운 짐도 기술과 마음가짐에 따라 가벼워진다는 것을 시사하는 말이라고 할 수 있다.
☆ 일이나 생활의 중압―라고 본인은 생각한다―에 지치고 눌리어 쓰러진 자를 격려하는 말로서 인용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런 경우 교훈조로 말하는 것은 삼가야 한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