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Home>커뮤니티>지식정보 |
정보지식 한글 맞춤법 100제_04 1강좌
페이지 정보

본문
한글 맞춤법 100제_04 1강좌
플래시(예습) ㅣ
동영상교육(준비 예정)
강좌 제목: 한글 맞춤법 100제_04 1강좌
아래 내용은 한국의 토론문화 확대와 토론교육을 위해 인터넷지식검색 자료를 이용해 토론교육을 구성한 것입니다. 무단사용과 배포 전재를 금지합니다. 이 강좌는 지식검색 자료의 모든 내용이 발췌 되었습니다. (유료 구입) 자세한 설명과 보다 많은 토론정보가 필요한 분은 인기포털사이트의 '인터넷지식검색'을 이용해 주실 것을 부탁드립니다. 한국의 토론교육을 위한 자료가 부족해 토론실 운영자가 마련한 교육이오니 이해를 부탁드립니다.
CONTENTS
3. 맞춤법과 띄어쓰기의 실제 (80 ~ 103번)
80) 성명이 아닌 고유명사의 띄어쓰기
(가) 대한 중학교(원칙), 대한중학교(허용) ※ 고유명사는 붙여 쓸 수 있음
(나) 한국 상업 은행 재동 지점 대부계(원칙), 한국상업은행 재동지점 대부계(허용)
※ 기구나 조직을 나타내는 말은 구성 단위별로 붙여 쓸 수 있음
(다) 대통령 직속 국가 안전 보장 회의(원칙), 대통령 직속 국가안전보장회의(허용)
※ '부설(附設), 부속(附屬), 직속(直屬), 산하(傘下)' 따위는 앞뒤의 말과 띄어 씀이 원칙이나 아래 (다′)처럼 특정 기관을 가리키는 명칭의 일부로 쓰일 때에는 붙여 쓸 수 있음
(다′) 서울 대학교 사범 대학 부속 고등 학교(원칙),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부속고등학교(허용)
81) 전문용어의 띄어쓰기: 붙여 씀을 허용함
(가) 탄소 동화 작용(원칙), 탄소동화작용(허용) / 급성 복막염(원칙), 급성복막염(허용) / 긴급 재정 처분(緊急財政處分)[원칙] / 긴급재정처분(허용), 손해 배상 청구(원칙) / 손해배상청구(허용), 두 팔 들어 가슴 벌리기(원칙), 두팔들어가슴벌리기(허용)
(나) 간단한 도면 그리기, 바닷말과 물고기 기르기 ※ 명사가 용언의 관형사형으로 된 관형어의 수식을 받거나 두 개 이상의 체언이 접속조사로 연결될 때에는 붙여 쓰지 않음
(나)′ ?청소년 보호법?(원칙), ?청소년보호법?(허용) / ?국가를 당사자로 하는 계약에 관한 법률? 제11조 ※ 법률명의 띄어쓰기도 (가), (나)에 준한다. 따라서 '국가를당사자로하는계약에관한법률 제11조'처럼 붙여 쓰지 않음
82) '결제'와 '결재', '개발'과 '계발'의 구분
(가) 결제(決濟): 증권 또는 대금을 주고받아 매매 당사자 간의 거래 관계를 끝맺는 것.
어음으로 결제하다
(가)′ 결재(決裁): 부하 직원이 제출한 안건을 허가하거나 승인하는 것.
결재를 {받다, 맡다} / 결재가 나다 / 결재 서류를 올리다
(나) 개발(開發): ① 개척하여 발전시킴. ∥경제 개발 / 광산을 개발하다 / 신제품을 개발하다 ② 지능이나 정신 따위를 깨우쳐 열어 줌.
(나)′ 계발(啓發): 지능이나 정신 따위를 깨우쳐 열어 줌. ∥지능 계발 / 소질을 계발하다
83) '돐'인가 '돌'인가, '홀몸'인가 '홑몸'인가
(가) 돌떡, 돌잔치, 두 돌을 넘긴 아이, 우리 회사는 창립한 지 열 돌을 맞았다
(나)홀몸: 배우자나 형제가 없는 사람.
홑몸: ① 딸린 사람이 없는 몸. ② 임신하지 않은 몸. ※ 예: “홑몸이 아니라 몸이 무겁다.”
84) '나무꾼'인가 '나뭇꾼'인가: '나무꾼'이 맞음
(가) 낚시꾼, 나무꾼, 사기꾼, 소리꾼
(나) 때깔, 빛깔, 성깔, 맛깔
(다) 귀때기, 볼때기, 판자때기
(라) 자장면 곱배기(×) / 자장면 곱빼기(○)
심부름꾼○
심부름군×
뒤꿈치○
뒷굼치×
빛깔○
빛갈×
코빼기○
콧배기×
귀때기○
귓대기×
겸연쩍다○
겸연적다×
※ ?한글 맞춤법? 제54항에서는 '-꾼'과 '-(ㅅ)군', '-깔'과 '-(ㅅ)갈', '-때기'와 '-(ㅅ)대기', '-꿈치'와 '-(ㅅ)굼치', '-빼기'와 '-(ㅅ)배기', '-쩍다'와 '-적다' 중에서 '-꾼, -깔, -때기, -꿈치, -빼기, -쩍다'를 표준으로 정하고 있다(아래 표 참조). 즉 된소리로 나는 위의 접미사는 된소리 글자로 적게 되어 있는 것이다. 따라서 '곱빼기'가 맞다. 다만 '언덕배기'는 '언덕바지'와 짝을 맞추기 위하여 '언덕빼기'가 아니라 '언덕배기'로 적는다(?표준어 규정? 제26항에는 '언덕배기'와 '언덕바지'가 복수 표준어로 처리되어 있다).
85) '끼어들기'인가 '끼여들기'인가: '끼어들기'가 맞음
{끼어들기, 끼여들기}를 하지 맙시다.
86) '허얘, 허얬다'인가, '허예, 허옜다'인가: '허예, 허옜다'가 맞음
(가) 허옇다/허예/허옜다, 누렇다/누레/누렜다 ※ 음성모음('ㅏ, ㅗ' 이외) 뒤에서는 '에' 형
(나) 하얗다/하얘/하얬다, 노랗다/노래/노랬다 ※ 양성모음('ㅏ, ㅗ') 뒤에서는 '애' 형
(다) 이렇다/이래/이랬다, 저렇다/저래/저랬다 ※ 음성모음, 양성모음의 교체를 보이지 않는 '이렇다, 저렇다, 그렇다'류는 항상 '애' 형으로 적음
※ 새까맣다, 시꺼멓다: 샛노랗다, 싯누렇다
양성 모음 앞 : 새-(된소리, 거센소리 앞), 샛-(예사소리 앞)
음성 모음 앞 : 시-(된소리, 거센소리 앞), 싯-(예사소리 앞)
87) '가여운'인가, '가엾은'인가: 복수 표준어
(가) 부모 잃은 {가여운, 가엾은} 아이 <가엽다/가엾다>
(나) {서럽게, 섧게} 운다 <서럽다/섧다>
(다) 어디서 많이 뵌 분 같은데! / 자세한 내용은 직접 {*뵈고, 뵙고} 말씀드리겠습니다. <뵈다/뵙다> ☞ 자음어미 앞에서는 '뵙다'만 쓰이고 모음어미나 매개모음어미 앞에서는 '뵈다'가 쓰임
88) '간'인가, '칸'인가: '칸'이 맞음
방 한 칸 / 중앙으로 한 칸 뛰어 악수 없다 / 다음 빈 칸을 메우시오.
89) '구절'인가, '귀절'인가: 한자 '句'는 '글귀, 귀글'을 제외하고 모두 '구'로 읽음.
(가) 구절(句節), 경구(警句), 문구(文句), 시구(詩句), 어구(語句)
(나) 글귀(-句), 귀글(句-)
90) '내노라'인가, '내로라'인가: '내로라'가 맞음
내로라 하는 사람들이 모두 모였다.
※ '내로라'는 기원적으로 대명사 '나'에 서술격조사 '이-', 주어가 화자와 일치할 때 쓰이는 선어말어미 '-오-'(흔히 의도법 선어말어미나 1인칭 선어말어미라 불린다), 평서형 종결어미 '-다'가 차례로 결합된 형식이다. 이를 표로 보이면 다음과 같다.
(1) 내로라: {나}+{이-}+{-오-}+{-다} ⇒ 나+이-+-로-+-라 ⇒ 내로라
중세국어에서는 서술격조사 '이다' 뒤에서 선어말어미 '-오-'가 '-로-'로 바뀌고, 선어말어미 '-오-' 뒤에서 평서형 종결어미 '-다'가 '-라'로 바뀌는 현상이 있어서, '{나}+{이-}+{-오-}+{-다}'는 '내로라(<나+이-+-로-+-라)'로 나타난다.
이와 같은 선어말어미 '-오-'의 화석은 현대국어에도 남아 있다. “하노라고 한 것이 이 모양이다”에서 '-노라'가 바로 그것이다. '-노라'는 현재시제를 나타내는 '-느-'에 어미 '-오라'가 결합한 것인데, 이때의 '-오라'는 우리가 (1)에서 보았듯이 선어말어미 '-오-'와 평서의 종결어미 '-라'('-오-' 뒤에 오는 '-다'의 변이형)로 구성된 형식이다.
이상의 논의는 (1)에서 '-로라'의 성격이 '-오라'와 다르지 않다는 주장으로 귀결된다. '-로라'의 '-로-'는 선어말어미 '-오-'의 이형태(allomorh)이기 때문이다. 그런데 '-로라'가 '-오라'와 같다면 '-로라'는 '-노라'와도 같은 부류의 어미가 된다. 국어에서 '-느-'는 동사 어간 뒤에만 나타날 뿐 형용사나 서술격조사의 어간 뒤에는 나타나지 못한다는 제약이 있어 현재시제를 나타내는 '-느-'에 '-오라'가 결합되어 형성된 '-노라(<-느-+-오라)'는 동사 어간 뒤에만 나타나고, 형용사나 서술격조사 '이다' 뒤에는 각각 '-오라', '-로라'(앞서 지적하였듯이 서술격조사 뒤에서는 특이하게도 '-오-'가 '-로'로 바뀌어 나타난다)가 나타나기 때문이다.>
'-노라'와 '-로라'가 쓰이는 예에는 “각 분야에서 내로라 하는 사람들이 모였다 / 모두들 자기 책임이 아니로라 우기기만 한다”나 “떨어져 나가 앉은 산 위에서 나는 그대의 이름을 부르노라” 따위가 있다.
91) '깨뜨리고'인가, '깨트리고'인가: 모두 맞음
깨뜨리다/깨트리다, 넘어뜨리다/넘어트리다, 무너뜨리다/무너트리다
92) '소고기'인가 '쇠고기'인가, '예'인가 '네'인가: 모두 맞음(복수 표준어)
소고기/쇠고기, 소기름/쇠기름, 예/네
93) '세째'인가, '셋째'인가: '셋째'가 맞음
둘째, 셋째, 넷째
94) '깡총깡총'인가, '깡충깡충'인가: '깡충깡충'이 맞음
깡충깡충(<깡총깡총), 오뚝이(<오똑이)
95) '장고, 흥보가'인가, '장구, 흥부가'인가: '장구, 흥부가'가 맞음
(가) 장구(○) 흥부가(興夫歌)(○)
(나) 장고(杖鼓)(×), 흥보가(興甫歌)(×)
96) '-올시다'인가, '-올습니다'인가: '-올시다'가 맞음
저는 {김가올시다, 김가올습니다}.
97) '우레'인가, '우뢰'인가: '우레'가 맞음. 고유어를 한자어로 잘못 알고 쓴 예.
(가) 우레(<울에), 천둥(<天動) ※ 담담하다(←?다/??다[沈]). '잠잠하다, 조촐하다, 씁쓸하다. 짭짤하다'류 참조.
※ “마음이 차분히 가라앉아 있다”라는 뜻은 고유어 '담담하다'. 중요한 경기를 앞둔 사람에게 그 심경을 물었을 때 “담담합니다”라고 하는 경우. 그러나 “맛이라곤 없이 그저 담담하다”라고 말할 때의 '담담하다'는 한자어 '淡淡-'임.
(나) 우뢰(雨雷) (×)
98) '짜깁기'인가, '짜집기'인가: '짜깁기'가 맞음
짜깁기: 찢어지거나 구멍이 뚫린 부분을 실로 짜서 깁는 것.
99) '맑다, 맑고'와 '넓다, 넓고'의 발음
(가) 맑다[막따], 맑지[막찌]: 맑고[말꼬], 맑게[말께]
(나) 넓다[널따], 넓지[널찌], 넓고[널꼬], 넓게[널께] ※ '여덟[여덜]' 참조
(나)′ 밟다[밥따], 밟지[밥찌], 밟고[밥꼬], 밟게[밥께] ※ '밟다'의 발음은 예외임.
※ 중자음(中子音)이 탈락하고 변자음(邊子音)이 남는 것이 대체적인 경향.
100) '납량(納凉)', '담임(擔任)'의 발음
(가) 납량[남냥], 답례[담녜]: *납량[나뱡], *답례[다볘]
(나) 담임[다밈]: *담임[다님]
101) '맛있다, 멋있다'의 발음: 복수 발음이 허용됨.
(가) 맛있다[마딛따/마싣따] ※ 헛웃음[허두슴], 맛없다[마덥따]
(나) 멋있다[머딛따/머싣따]
102) '의'의 발음: 비어두에서는 [이] 발음을 허용. 조사 '의'는 [에] 발음을 허용.
(가) 주의[주의/주이], 협의[혀븨/혀비]
(다)′ 도의회[도: 의회(훼)/*도: 이회(훼)], 여의사[여의사/*여이사], 가정의[가정의/*가정이] ※ '도의회, 여의사, 가정의'에서 '의'는 어두 위치에 오지 않았으나 이 말들이 '도-의회, 여-의사, 가정-의'로 분석되므로 어두에 오는 '의'와 마찬가지로 [의] 발음만 인정하고 [이] 발음은 허용치 않는다.
(나) 우리의[우리의/우리에], 강의의[강의의/강의에] ※ 관형격조사 '의'는 [에] 발음을 허용한다. “옥에도 티가 있다”라는 뜻의 말은 '옥의 티'가 아니라 '옥에 티'임에 주의할 것. 따라서 '옥의 티를 찾아라'라는 방송 프로그램 제목은 그야말로 '옥에 티'라고 할 수 있다.
103) 외래어 표기의 실제 (밑줄 친 표기가 맞음)
file: 파일/화일 ※ [f]를 'ㅍ'으로 표기하느냐, '후'으로 표기하느냐 하는 문제. [f]를 '후'으로 표기하면 golf, France를 '골후, 후랑스'로, fan, coffee를 '홴, 코휘'로 표기해야 하는 문제가 있음.
encore: 앙코르/앵콜/앙콜
coffee shop: 커피숍/커피숖/커피샾 ※ 'coffee shop이'는 [커피쇼비]로 발음하지 [커피쇼피]로 발음하지 않음.
diskette: 디스켓/디스켙 ※ 'diskette이'는 [디스케시]로 발음하지 [디스케티]로 발음하지 않음.
super market: 슈퍼마켓/슈퍼마켙/수퍼마켓/수퍼마켙
juice: 주스/쥬스 ※ 국어에서 'ㅈ'은 구개음이므로 '주/쥬, 저/져' 등으로 구별하여 적지 않고 '주, 저'로 통일하여 적는다(vision을 '비전'으로 적는 사실 참조). 다만 준말임을 표기할 때에는 '져' 등의 표기를 인정함. '가지어→가져' 참조.
boat: 보트/보우트 ※ [ou]는 '오'로 적음. 따라서 window도 '윈도우'가 아니라 '윈도'로 적음.
Greece: 그리스/그리이스 ※ 국어와 마찬가지로 외국어도 장음 표기를 따로 하지 않음. team이 '티임'이 아니라 '팀'으로 적듯이 Greece도 '그리이스'가 아니라 '그리스'로 적음.
leadership: 리더십/리더쉽 ※ 영어에서 어말의 [?]은 '쉬'가 아니라 '시'로 적음. 그러나 프랑스어나 독일어에서는 어말의 [?]를 '슈'로 적는다. Mensch '멘슈', manche '망슈' 참조.
interchange: 인터체인지/인터췌인지 ※ [?], [?]는 '치, 지'로 적음.
service: 서비스/써비스 ※ 소리대로 적는다면 '써비쓰'로 적어야 하나 이는 비경제적 표기이다.
cake: 케이크/케익/케잌 ※ 장음이나 이중모음 뒤에서는 무성음을 받침으로 적지 않는다.
trot: 트로트/트롯 ※ 영어에서 짧은 모음 뒤에 오는 무성음은 받침으로 적는 것이 원칙이나 관용이 뚜렷한 말은 관용을 존중하여 적는다. 따라서 '트로트'가 맞음.
radio: 라디오/레디오/레이디오/뢰이디오 ※ 외래어는 국어의 일부이므로 굳어진 국어식 발음이 있는 경우는 그 발음을 기준으로 표기한다.
Cannes: 칸/칸느/깐느
鄧小平: 덩샤오핑/등소평 ※ 중국 인명은 과거인[신해혁명(1911) 이전에 죽은 사람]과 현대인을 구분하여 과거인은 종전의 한자음대로 표기하고 현대인은 원칙적으로 중국어 표기법에 따라 표기하되 필요한 경우 한자를 병기한다.
東京: 도쿄/툐쿄/토오쿄오/동경 ※ 중국 및 일본의 지명 가운데 한국 한자음으로 읽는 관용이 있는 것은 두 가지 표기를 다 인정한다. 따라서 '도쿄'와 '동경'이 모두 맞다.
Copyright 2001-2005 ⓒ Toronsil.com All Rights Reserved E-mail: webmaster@toronsil.com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