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Home>커뮤니티>지식정보 |
정보지식 세미나, 워크샵, 브레인스토밍 6강좌
페이지 정보

본문
세미나, 워크샵, 브레인스토밍 6강좌
플래시(예습) ㅣ
동영상교육(준비 예정)
책 제목: 토론의 법칙
지은이: 민영욱 지음
출판사: 가림출판사
아래 내용은 한국의 토론문화와 교육을 위해 해당 출판사의 허락을 받고 게재하는 토론교육입니다. 무단사용과 배포 전재를 금지합니다. 이 강좌는 책 내용의 일부만 발췌 되었습니다. 자세한 설명내용과 정보가 필요한 분은 책을 구입해서 보시면 고맙겠습니다.
CONTENTS
7. 세미나
8. 워크샵
9. 브레인스토밍
10. 버즈토론: 필립66(Phillips66)
11. 악마의 주장법
12. 명목집단 회의방식
7. 세미나
세미나란?
세미나(seminar)의 어원은 라틴어의 'seminarium' 이다. 백과사전에 의하면 이 말은 원래 묘상(苗床)이라는 뜻이었으나, 동물의 새끼 등을 사육하는 데 적합한 축사라는 의미로 사용되다가 독일 · 영국 · 미국 등의 대학에서 고도의 독창적인 연구를 위하여 1명의 교수를 중심으로 짜여진 연구학생 일단(一團)을 가리키게 되었다고 한다. 세미나는 학회 등에서 지명된 몇몇 회원의 연구발표를 토대로 전 회원이 토론하는 연구활동을 지칭하기도 한다. 세미나는 주로 학술 단체의 주도하에 주제를 심층적으로 연 구하기 위해서 활용되며, 집단토의 기법 중에서 세미나 형식을 가장 많이 취하는 형식이 된다. 주제 발표는 주제와 관련된 내용을 연구하는 기관이나 주최 측에 의해 주도되며 발표자뿐만 아니라 참석자 전원이 해당 분야에 대해 수준 높은 지식과 정보를 보유하고 있으므로 공개 질의와 토론이 활발하게 이루어진다.
진행 방법
① 발표자는 세미나를 개최하기 이전에 연구보고서를 유관 기관에 제출해야 할 의무가 있다.
② 필요한 경우 인쇄물과 시청각 기자재를 포함한 보고 자료가 준비된다.
③ 참석자들은 주제발표 내용에 대하여 토론하고 발표자에게 의문사항을 질문할 수 있다.
④ 필요한 경우 세미나 개최 상황에 대한 사후검토를 통해 평가를 실시한다.
진행 순서
의제와 사회자 소개(사회자) → 각자 차례로 발표(발표자) → 토론자와 질의 응답(청중, 발표자)
참가자의 역할
사회자: 사회자는 주제 발표자를 소개한다. 또한 주제 발표자나 토론자의 발표 내용을 담은 유인물을 참가자에게도 배부하여 이해를 돕도록 한다.
토론자: 토론자는 전문가이기에 성격 , 영역과 범위 , 목적과 내용, 방법, 평가, 평가의 실제, 유의점 , 참고 및 제언 등으로 나누어서 체계적인 자료를 준비한다.
8. 워크샵
워크샵이란?
일반적으로 워크숍(workshop)은 전문적인 기술 또는 아이디어를 시험적으로 실시하면서 검토하는 연구회 및 세미나를 가리킨다. 구체적으로, 큰 집단의 참여도를 높이기 위하여 몇 개의 소집단으로 나누어 이 소집단마다 리더를 정해 주어진 의제에 대한 토론을 하게 하여 결론을 내는 방식이다.
진행 순서
연구협의회 구성, 계획 수립, 주제 설정, 예산 확보, 자원 인사 선정, 원고 청탁(준비 단계) → 동기 유발, 기조 발표 · 주제 발표, 분과 토론(전개 단계) → 정리 발표, 종합 토론. 총평, 보고 서 제출(정리 발표 단계)
참가자의 역할
분과장: 주제를 간단하게 설명하고 토론을 진행시킨다. 또 한 주제와 벗어나는 토의가 되지 않도록 조정하며 , 1, 2사람이 토론을 독점하지 못하도록 한다.
분과원: 창의력과 분석력을 발휘하여 토론에 적극 참여하며 , 토론 과정에서 정리된 내용을 논리적인 체계를 세워서 보고서를 제출하는 경우가 많다.
9. 브레인 스토밍
브레인 스토밍이란?
브레인 스토빙(Brainstorming)은 오즈번(Alex F. Osborn) 박사가 창안한 창조성 개발기법으로 일명 '오즈번법'이라고도 한다. 1939년 GE 사의 창조성훈련과정을 진행하는 중에 기술자들의 행동을 관찰한 미국의 광고대리점 사장이었던 오즈번 박사가 그 일부를 광고계에 도입한 것이 시초라고 한다. 스토밍(storming)은 회오리바람을 일으킨다는 의미로 브레인스토밍은 리더, 기록자 외에 10명 이내의 참가자(stormer)들이 기존의 관념에 사로잡히지 않고 자유로운 발상으로 아이디어나 의견을 내는 것이다. 단시간 내에 많은 아이디어를 취합해야 하는 경우에 주로 이용하면 좋다. 집단발상법으로서 회의에 적용할 수 있어 일상 업무 속에서도 활용되고 있으나, 의사 결정이나 의견 조정을 위한 회의에는 적용할 수 없다. 폭풍처럼 빠른 속도로 두뇌를 회전시켜 잠재 의식 속에 있는 아이디어들을 많이 유발시키므로 양이 질을 동반하게 하는 장점이 있다.
진행 규칙
이 기법을 적용할 때 다음과 같은 규칙에 따라야 한다.
① 다른 사람의 아이디어를 비판할 수 없다.
② 자유롭게 아이디어를 개진할 수 있다.
③ 가능한 한 많은 아이디어를 개진하는 것이 좋다.
④ 개진한 아이디어를 통합하고 발전시켜 나가야 한다.
진행 순서
소집단 내 공동 과제 확인 → 전체 문제 해결 방법의 모색을 위한 토론 → 개인별 과제 분담 → 개인별 자유로운 아이디어 만들기 및 발표 → 분단 공동 과제 해결 방법 모색 →종합 토론 → 문제 해결 보고서 작성 → 학급 전체의 집단별 해결 방안 모색(참가자의 역할)
참가자의 역할
사회자: 회의 규칙을 큼직하게 써 붙여 참석자 전원에게 이 규칙을 지켜야 한다는 것을 인식시킨다..
참가자: 왜, 언제, 어디서, 누구와, 어떻게, 무엇을 따위의 의문을 사용해서 아이디어를 발전시킨다.
10. 버즈 토론: 필립 66(Phillips 66)
버즈 토론이란?
토론이란 필립스(J. Phillips)가 창안한 기법으로 대체로 3~6명으로 구성되는 소집단 토론 방식이다. 한 주제에 대하여 6명씩으로 구성된 각 그룹이 6분 정도 토론한다는 뜻으로 '6~6법' 이라고도 한다. 이 방법은 문제나 개념에 주의를 기울이거나 흥미를 갖게 하는 데 또는 본격적인 토론을 위한 예비 토론 방법으로 매우 효과적이다.
진행 순서
소집단 형성 (앞줄 3명 , 뒷줄 3명 마주보기) → 토론 주제와 서기 선출, 문제 해결 방안 모색→ 소집단에서 합의된 내용을 전체 회의에 보고 → 전체 토론 및 질의 응답, 종합 의견 도출
참가자의 역할
소집단의 서기는 각 구성원들이 제시한 견해를 기록하고 토론 시간이 끝난 후에 소집단의 견해를 전체에게 알릴 수 있도록 준비한다. 소집단의 의장은 주어진 시간 안에 최선의 합의된 의견을 도출한다. 전체 집단의 주재자는 제한 시간이 지나면 처음 상태로 다시 모여 합의된 의견을 1가지씩 발표하게 한다.
11. 악마의 주장법
악마의 주장법 천주교 성인(聖人) 추 대심사에서 힌트를 얻어 개발된 악마의 주장법(Devil Advocate Method)이 있다. 천주교 성인 추대심사 과정에서 추천된 후보를 불가(不可) 이유를 자료를 통해 주장하도록 공식적으로 역할을 부여하는 사람을 악마(Devil)라고 부른 데서 기인한다. 이 기법은 집단을 둘로 편을 갈라 한 집단이 제시한 의견에 대해 반론자로 지명된 집단의 반론을 듣고 토론을 벌여 본래의 안을 수정하고 보완하는 일련의 과정을 거친 후 최종 대안을 도출하는 방법으로 지명 반론자법이라고도 한다.
진행 방법
① 의사 결정에 참여한 집단을 둘로 나누던가 몇 명을 선정하여 지명반론자에 임명한다.
② 한 집단이 먼저 문제 해결에 대한 수렴된 의견을 제시한다.
③ 수렴된 의견을 지명반론집단 또는 지명반론자에게 설명을 한다.
④ 지명반론집단에서는 이에 대한 반론을 제시한다.
⑤ 제시된 이견을 바탕으로 최선의 해결책을 찾을 수 있도록 계속 토론한다.
⑥ 이와 같은 절차는 최종안이 나을 때까지 계속된다.
12. 명목집단 회의방식
다른 사람의 압력을 배제시키려는 '명목집단 회의방식(Nominal Group Technique)' 은 이름만 회의일 뿐 참여자들은 리더에게만 이야기할 수 있고, 다른 구성원들과는 의견교환을 하지 못하는 기법으로 약자로 NGT법이라고도 한다. 엄격한 의미의 토론 기법은 아니지만, 본래 이 기법은 집단의 각 구성원들이 진실로 마음속에 생각하고 있는 것을 끄집어 내려는 데 의의가 있다.
진행 방법
① 소집단 구성원들이 테이블에 둘러앉되 서로 말하지 않는다.
② 각 구성원들은 문제에 대해 생각하는 바를 적는다
③ 한 사람씩 돌아가면서 자신의 아이디어를 발표하고 서기나 사회자는 구성원 모두가 한눈에 볼 수 있도록 제시되는 아이디어를 칠판이나 큰 차트에 적는다.
④ 지금까지의 결과로 아이디어 목록이 얻어진다. 그리고 난 다음 각각의 아이디어에 대해 구두로 보조설명이나 지지 이유에 대한 설명을 하도록 한다.
⑤ 끝으로, 각 참석자는 제시된 아이디어에 대한 우선순위를 묻는 비밀투표를 실시한다. 최고의 표를 얻은 안이 채택된다.
진행 순서
아이디어 서면 작성 → 아이디어 제출 및 전체 아이디어 기록 → 구성원 토의 → 투표 후 결정
Copyright 2001-2005 ⓒ Toronsil.com All Rights Reserved E-mail: webmaster@toronsil.com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