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Home>커뮤니티>지식정보 |
경제경영 한국경제가 풀어야할 과제 '대기업 의존'
페이지 정보

본문
한국경제가 풀어야할 과제...
아웃바운드 일변도, 대기업 의존, 막연한 중국 우선주의
"이는 한국이 수출은 잘해도
외국의 돈과 제조공장을 국내로 끌어오는 데는 매우 서툴다는 증거입니다.
더 많은 해외투자를 유치해 국내를 튼튼하게 해 경제성장의 내실을 높여야 합니다."
1960년대 이래 50년 넘게 계속된 아웃바운드(outbound) 일변도에서 벗어나
외국 자본•기업을 국내로 유치하는 인바운드(inbound)형 전략으로
보완•성숙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그는 "한국 경제는 삼성전자•현대차 등
대형기업에 의존하는 경제구조에 사로잡혀서는 안 된다"고 했다.
최근 핀란드 경제가 노키아의 실적 부진에 따라 일부 쇠락 조짐을 보이는 것처럼,
몇몇 대기업에 지나치게 의존했다가는 한국 경제 전체가 위험해질 수 있다는 것이다.
'세계화의 환상을 깨는 게마와트 교수' 중에서 (조선일보, 2012.5.12)
판카즈 게마와트(53) 스페인 IESE 경영대학원 교수.
하버드대 경영대학원 교수를 지냈던 그는
"세계가 평평하다"고 주장한 프리드먼의 세계화론을 반박한 것으로
유명한 글로벌 전략가입니다.
그는 우편•전화•유학생•해외직접투자 등
14개 항목의 '세계화 정도'를 조사해
'국경을 넘나드는 인터넷 통신 전송량이 17~18%에 불과하다' 는 등
데이터를 통해 글로벌 교류가 미미하다는 것을 보여주었습니다.
게마와트의 주장은 세계화 시대이니
해외 진출만 하면 성공한다는 환상을 버려야 하며,
문화적,행정적,경제적 거리 따져
국가와 기업이 적정한 발전과 성장을 추구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그가 한국경제에 대해 몇가지 조언을 한 것이 눈에 띕니다.
지난 50년간의 수출 중심의 아웃바운드 일변도에서 벗어나
해외투자 유치등 인바운드 전략으로 보완해
국내경제를 튼튼하게 만들어야 한다고 말합니다.
또 한국경제가 삼성전자, 현대자동차 같은
일부 대기업에 지나치게 의존하는 것은 위험하다는 경고도 합니다.
그리고 막연한 '중국 우선주의'를 버려야 한다는 조언도 합니다.
"10~20년 뒤에는 중국이 세계 최대 경제국이 될 것이다.
한국이 '위대한 중국' 실현에 일조만 하는 주변국으로 전락하지 않으려면
중국 의존적인 경제구조를 다변화시키는 노력을 서둘러야 한다."
한국이 세계 경제성장의 중심이 될 동아시아에 위치한 것은
'특권'이지만, 중국에 대한 경제적 의존도가
필요 이상으로 높아지는 것은 우려된다는 겁니다.
이제는 수출 위주의 아웃바운드 일변도가 아니라
인바운드 전략으로 보완해야할 할 때가 되었으며,
몇몇 대기업에의 지나친 의존은 위험하다,
또 '막연한 중국 우선주의'를 버려야 한다는 한 글로벌 전략가의 조언.
지금 한국경제가 해법을 고민하고 해결해야할 과제들입니다.
아웃바운드 일변도, 대기업 의존, 막연한 중국 우선주의
"이는 한국이 수출은 잘해도
외국의 돈과 제조공장을 국내로 끌어오는 데는 매우 서툴다는 증거입니다.
더 많은 해외투자를 유치해 국내를 튼튼하게 해 경제성장의 내실을 높여야 합니다."
1960년대 이래 50년 넘게 계속된 아웃바운드(outbound) 일변도에서 벗어나
외국 자본•기업을 국내로 유치하는 인바운드(inbound)형 전략으로
보완•성숙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그는 "한국 경제는 삼성전자•현대차 등
대형기업에 의존하는 경제구조에 사로잡혀서는 안 된다"고 했다.
최근 핀란드 경제가 노키아의 실적 부진에 따라 일부 쇠락 조짐을 보이는 것처럼,
몇몇 대기업에 지나치게 의존했다가는 한국 경제 전체가 위험해질 수 있다는 것이다.
'세계화의 환상을 깨는 게마와트 교수' 중에서 (조선일보, 2012.5.12)
판카즈 게마와트(53) 스페인 IESE 경영대학원 교수.
하버드대 경영대학원 교수를 지냈던 그는
"세계가 평평하다"고 주장한 프리드먼의 세계화론을 반박한 것으로
유명한 글로벌 전략가입니다.
그는 우편•전화•유학생•해외직접투자 등
14개 항목의 '세계화 정도'를 조사해
'국경을 넘나드는 인터넷 통신 전송량이 17~18%에 불과하다' 는 등
데이터를 통해 글로벌 교류가 미미하다는 것을 보여주었습니다.
게마와트의 주장은 세계화 시대이니
해외 진출만 하면 성공한다는 환상을 버려야 하며,
문화적,행정적,경제적 거리 따져
국가와 기업이 적정한 발전과 성장을 추구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그가 한국경제에 대해 몇가지 조언을 한 것이 눈에 띕니다.
지난 50년간의 수출 중심의 아웃바운드 일변도에서 벗어나
해외투자 유치등 인바운드 전략으로 보완해
국내경제를 튼튼하게 만들어야 한다고 말합니다.
또 한국경제가 삼성전자, 현대자동차 같은
일부 대기업에 지나치게 의존하는 것은 위험하다는 경고도 합니다.
그리고 막연한 '중국 우선주의'를 버려야 한다는 조언도 합니다.
"10~20년 뒤에는 중국이 세계 최대 경제국이 될 것이다.
한국이 '위대한 중국' 실현에 일조만 하는 주변국으로 전락하지 않으려면
중국 의존적인 경제구조를 다변화시키는 노력을 서둘러야 한다."
한국이 세계 경제성장의 중심이 될 동아시아에 위치한 것은
'특권'이지만, 중국에 대한 경제적 의존도가
필요 이상으로 높아지는 것은 우려된다는 겁니다.
이제는 수출 위주의 아웃바운드 일변도가 아니라
인바운드 전략으로 보완해야할 할 때가 되었으며,
몇몇 대기업에의 지나친 의존은 위험하다,
또 '막연한 중국 우선주의'를 버려야 한다는 한 글로벌 전략가의 조언.
지금 한국경제가 해법을 고민하고 해결해야할 과제들입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