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Home>토론게시판>여론조사 |
정치 Re..네티즌 댓글과 단체들
페이지 정보

본문
인터넷 항해 중에 퍼 왔읍니다. 양해 바람니다.
인터넷 댓글을 통하여 제보와 정보를 하는, 선거권자인 국민은 탄압 받아야 하나?
힘있는 단체들은 공공연이 특정후보를 지지한다고 나서고 있고, 관광버스타고 돌아다니고,
정보화 시대에 과거로 역행하려는 모습이 아닌가?
기사는 정보가 있어서야 취재를 하는 것이다!
현재 선거권자인 국민은 인터넷 댓글을 통하여 많은 제보를 하고 있다.
인터넷 댓글은 선거권자인 국민의 권리이고
각 후보자들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러한 것을 막고, 어떻게 후보 검증을 할 수 있나?
변화하는 시대에 시대에 역행하는 모습을 보이지 말었으면 한다!
---------------------------------------( 퍼 온 글 )--------------------------------------------
땅 사들이면 개발 호재…김재정씨 ‘재산의혹’ 3가지
경향신문 | 기사입력 2007-07-02 02:36 | 최종수정 2007-07-02 02:54
김재정씨가 1987년 매입한 충남 당진군 송산면 유곡리 임야 1만2396㎡(3756평) 일대. 매입시 평당 7000원대이던 이 땅은 아산신항 건설을 비롯한 서해안 개발계획으로 2005년 매각 당시에는 평당 30만원까지 뛰었다. /김영민기자
김재정씨가 전국에 걸쳐 부동산을 매입했던 시기는 1980년대 중·후반이다. 부동산 투기 광풍이 전국을 휩쓸던 시기였다. 1949년생인 김씨의 부동산 매입은 대부분 30대에 이뤄졌다.
1. 개발계획 알았나
특이한 점은 김씨가 사들인 부동산 중 상당수는 매입 직후 이런저런 개발계획이 발표되면서 지가가 급등했다는 사실이다. 87년 8월에 매입한 충남 당진군 송산면 유곡리 임야(1만2396㎡·3756평)는 80년대 아산신항 건설 발표로 지가가 급등했던 지역. 이 지역 인근에서는 대규모 방조제 및 간척지 공사가 활발하게 벌어졌다. 90년엔 한보철강이 들어오면서 땅값이 치솟았다.
매입 당시 평당 7000원대였던 땅값은 2005년 매각 당시 평당 30만원으로 뛰어올랐다.
87년에 사들인 경기 화성시 우정면 주곡리 잡종지(3306㎡·1001평)는 서해안 개발의 핵심역할을 맡게 될 시화지구 개발사업과 맞물려 있다. 방조제 공사는 현대건설이 맡았다.
김씨가 이명박 전 서울시장으로부터 매입한 충북 옥천군 이원면 일대 임야(165만7334㎡·50만2323평)는 박정희 전 대통령이 행정수도 이전을 위해 검토를 지시한 후보지 인근이다.
90년 5월 매입한 강원 고성군 토성면의 산·대지·잡종지 등 3필지는 91년 제17회 세계잼버리 국제대회 개최지 인근이다. 국세청은 한달 뒤인 90년 6월 김씨의 땅을 포함해 전국 180여개 읍·면·동을 ‘지가 급등지역’으로 지정했다.
88년에는 대전 유성구 용계동 임야 2650㎡를 사들였고, 이곳 주변 일대는 94년 관광특구로 지정됐다.
김씨가 29살인 78년에 매입한 경북 영주시 단산면 단곡리 임야(33만4507㎡·10만1365평)는 80년 시로 승격 편입됐다.
김씨는 경향신문과의 통화에서 “개발정보를 사전에 입수해 부동산을 매입하지 않았다. 현 시가로도 얼마되지 않는다. 강원 고성군 등 부동산은 처가쪽 사람들과 돈을 모아 매입했다”고 투기의혹을 부인했다.
2. 도곡동 땅 소유주는
김재정씨가 사들인 땅 중에는 서울 강남구 도곡동 땅(6553㎡·1986평)이 있다. 김씨는 85년 이명박 후보의 형 이상은씨와 공동명의로 이 땅을 매입했다. 김씨 등에게 땅을 판 4필지 중 한 곳의 소유주는 현대건설이었다. 이후보는 당시 현대건설 사장으로 재직 중이었다.
김씨 등은 도곡동 땅을 95년 7월 포스코개발에 263억원에 팔았다. 이 중 145억원은 김씨 몫이었다. 당시 강남구 압구정동 30평형대 아파트 가격이 2억~3억원(현 시가 13억~14억원) 정도였다.
그러나 김씨는 도곡동 부동산을 매각한 뒤에도 불과 수억원의 채무를 해결하지 못해 법원으로부터 자택 가압류 조치를 당하는 등 극심한 재정난에 시달렸던 것으로 나타났다.
김재정씨가 이명박 후보의 형 상은씨와 함께 1985년 매입한 서울 도곡동 땅. /김영민기자
97년 9월 김씨는 제일은행으로부터 빌린 대여금 2억2130만원을 갚지 못해 법원으로부터 가압류 결정을 받았다. 같은해 11월에는 한국기업리스가 김씨를 상대로 손해배상금 2억6000만원을 청구했고 가압류 조치가 내려졌다. 신용보증기금도 김씨에게 빌려준 2억500만원을 갚을 때까지 김씨 집을 가압류했다. 또 98년 11월에는 서울 강남구청이 세금 미납을 이유로 김씨의 논현동 자택을 압류했다.
김씨에 대한 가압류 조치는 법원 결정이 내려진 뒤 3년이 지난 2000년에 해제됐다. 재정난이 상당기간 이어졌다고 볼 수 있다.
부동산 매각대금으로 145억원을 손에 쥔 김씨가 불과 2억원대의 빚을 갚지 못한 점은 선뜻 이해하기 힘든 대목이다. 김씨가 매각대금을 마음대로 쓰지 못한 사정이 있지 않았겠느냐는 의혹이 제기되는 이유다.
김씨는 “빚보증을 잘못 서서 벌어진 일”이라고 말했다.
3. 재산관리인?
김재정씨는 82년 현대건설 퇴사 후 여러 사업에 손을 댔다. 공교롭게도 김씨가 운영한 사업체마다 이명박 후보의 측근 인사들이 관여돼 있다. 김씨가 최대주주(지분 48.99%)로 있는 다스의 경우 공동대표인 이상은씨와 김성우씨가 각각 이후보의 친형, 현대건설 출신이다. 지분 4.16%를 보유한 김모씨도 이후보와 오랜 친구다.
다스에는 이후보의 과거 서울 종로 총선시절 선거 관계자들이 다수 포진해 있다. 다스 직원 정모·강모씨는 96년 이후보의 종로 국회의원 선거 당시 지구당 사무실과 선거캠프에서 각각 활동했다. 종로지구당과 ‘동아시아연구원’(이후보의 개인 연구소)을 거쳐 2002년 서울시장 선거에서 불법선거운동을 한 혐의로 유죄를 받은 신모씨도 다스 직원이었다.
다스가 100% 지분을 보유한 부동산개발회사 홍은프레닝도 2003년 다스가 인수 당시 이후보의 고려대 경영학과 동기인 안순용씨가 대표이사를, 이후보의 측근인 김백준씨가 감사를 맡았다. 안씨는 이후보가 세운 회사인 LKe뱅크의 현 대표이사이며, 김씨는 현재 이후보 캠프에서 일하고 있다.
김씨는 “안사장은 중학교 선배다. 김감사는 동아시아연구원장으로 있을 때 알게 된 사람이다. 설립할 때 책임자가 없어서 시킨 것이다”라고 해명했다.
〈특별취재팀〉
- 대한민국 희망언론! 경향신문, 구독신청(http://smile.khan.co.kr) -
ⓒ 경향신문 & 미디어칸(www.khan.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미디어칸은 한국온라인신문협회(www.kona.or.kr)의 디지털뉴스이용규칙에 따른 저작권을 행사합니다.〉
보수 목사님들 ‘내가 너희를 낙선케 하리니…’
세습목회는 한국교회의 재앙인가
“기독교 친미보수 성향 평양대부흥이 그 뿌리”
위기의 한국교회, 보수로 ‘우향우’
사학법 주도 의원‘낙선운동’…이명박 ‘공개지지’
보수 기독교계 본격적 ‘정치개입’ 나서나
[하니Only] 보수 기독교계의 정치개입 움직임이 심상치 않다. 한국기독교총연합회가 별도조직을 만들어 개정사학법을 주도한 의원들에 대한 낙선운동을 공언하는 기자회견을 하는가 하면, 뉴라이트계 기독교단체는 ‘서울시를 하나님께 봉헌한다’는 발언을 한 바 있는 이명박 전 서울시장을 대통령선거에서 지지한다는 성명을 발표하고 있다.
사립학교법 재개정을 요구해온 한국기독교총연합회(한기총)는 27일, ‘사립학교법 재개정을 위한 낙선운동본부’(낙선운동본부·본부장 이광선 목사)를 통해 국회의원 낙선운동 대상자의 명단을 발표했다. 지난 17일 출범한 한기총 낙선운동본부는 이날 오후 2시 한기총 세미나실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집행위원회가 선정한 13명 가운데 1차로 5명의 명단을 공개했다. 본부장 이광선 목사는 회견장에서 “국회와 헌법재판소 등 헌법기관들이 직무를 유기하는 가운데 교육당국에 의해 국가백년대계인 교육의 현장이 탄압받는 상황이 벌어지고 있다”며 “국? 릿?이러한 사태를 초래한 책임을 통감하고 결자해지에 나서야 할 때임에도 불구하고, 사립학교법의 재개정을 반대하는 일부 국회의원들 때문에…
인터넷 댓글을 통하여 제보와 정보를 하는, 선거권자인 국민은 탄압 받아야 하나?
힘있는 단체들은 공공연이 특정후보를 지지한다고 나서고 있고, 관광버스타고 돌아다니고,
정보화 시대에 과거로 역행하려는 모습이 아닌가?
기사는 정보가 있어서야 취재를 하는 것이다!
현재 선거권자인 국민은 인터넷 댓글을 통하여 많은 제보를 하고 있다.
인터넷 댓글은 선거권자인 국민의 권리이고
각 후보자들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러한 것을 막고, 어떻게 후보 검증을 할 수 있나?
변화하는 시대에 시대에 역행하는 모습을 보이지 말었으면 한다!
---------------------------------------( 퍼 온 글 )--------------------------------------------

경향신문 | 기사입력 2007-07-02 02:36 | 최종수정 2007-07-02 02:54
김재정씨가 1987년 매입한 충남 당진군 송산면 유곡리 임야 1만2396㎡(3756평) 일대. 매입시 평당 7000원대이던 이 땅은 아산신항 건설을 비롯한 서해안 개발계획으로 2005년 매각 당시에는 평당 30만원까지 뛰었다. /김영민기자
김재정씨가 전국에 걸쳐 부동산을 매입했던 시기는 1980년대 중·후반이다. 부동산 투기 광풍이 전국을 휩쓸던 시기였다. 1949년생인 김씨의 부동산 매입은 대부분 30대에 이뤄졌다.
1. 개발계획 알았나
특이한 점은 김씨가 사들인 부동산 중 상당수는 매입 직후 이런저런 개발계획이 발표되면서 지가가 급등했다는 사실이다. 87년 8월에 매입한 충남 당진군 송산면 유곡리 임야(1만2396㎡·3756평)는 80년대 아산신항 건설 발표로 지가가 급등했던 지역. 이 지역 인근에서는 대규모 방조제 및 간척지 공사가 활발하게 벌어졌다. 90년엔 한보철강이 들어오면서 땅값이 치솟았다.
매입 당시 평당 7000원대였던 땅값은 2005년 매각 당시 평당 30만원으로 뛰어올랐다.
87년에 사들인 경기 화성시 우정면 주곡리 잡종지(3306㎡·1001평)는 서해안 개발의 핵심역할을 맡게 될 시화지구 개발사업과 맞물려 있다. 방조제 공사는 현대건설이 맡았다.
김씨가 이명박 전 서울시장으로부터 매입한 충북 옥천군 이원면 일대 임야(165만7334㎡·50만2323평)는 박정희 전 대통령이 행정수도 이전을 위해 검토를 지시한 후보지 인근이다.
90년 5월 매입한 강원 고성군 토성면의 산·대지·잡종지 등 3필지는 91년 제17회 세계잼버리 국제대회 개최지 인근이다. 국세청은 한달 뒤인 90년 6월 김씨의 땅을 포함해 전국 180여개 읍·면·동을 ‘지가 급등지역’으로 지정했다.
88년에는 대전 유성구 용계동 임야 2650㎡를 사들였고, 이곳 주변 일대는 94년 관광특구로 지정됐다.
김씨가 29살인 78년에 매입한 경북 영주시 단산면 단곡리 임야(33만4507㎡·10만1365평)는 80년 시로 승격 편입됐다.
김씨는 경향신문과의 통화에서 “개발정보를 사전에 입수해 부동산을 매입하지 않았다. 현 시가로도 얼마되지 않는다. 강원 고성군 등 부동산은 처가쪽 사람들과 돈을 모아 매입했다”고 투기의혹을 부인했다.
2. 도곡동 땅 소유주는
김재정씨가 사들인 땅 중에는 서울 강남구 도곡동 땅(6553㎡·1986평)이 있다. 김씨는 85년 이명박 후보의 형 이상은씨와 공동명의로 이 땅을 매입했다. 김씨 등에게 땅을 판 4필지 중 한 곳의 소유주는 현대건설이었다. 이후보는 당시 현대건설 사장으로 재직 중이었다.
김씨 등은 도곡동 땅을 95년 7월 포스코개발에 263억원에 팔았다. 이 중 145억원은 김씨 몫이었다. 당시 강남구 압구정동 30평형대 아파트 가격이 2억~3억원(현 시가 13억~14억원) 정도였다.
그러나 김씨는 도곡동 부동산을 매각한 뒤에도 불과 수억원의 채무를 해결하지 못해 법원으로부터 자택 가압류 조치를 당하는 등 극심한 재정난에 시달렸던 것으로 나타났다.
김재정씨가 이명박 후보의 형 상은씨와 함께 1985년 매입한 서울 도곡동 땅. /김영민기자
97년 9월 김씨는 제일은행으로부터 빌린 대여금 2억2130만원을 갚지 못해 법원으로부터 가압류 결정을 받았다. 같은해 11월에는 한국기업리스가 김씨를 상대로 손해배상금 2억6000만원을 청구했고 가압류 조치가 내려졌다. 신용보증기금도 김씨에게 빌려준 2억500만원을 갚을 때까지 김씨 집을 가압류했다. 또 98년 11월에는 서울 강남구청이 세금 미납을 이유로 김씨의 논현동 자택을 압류했다.
김씨에 대한 가압류 조치는 법원 결정이 내려진 뒤 3년이 지난 2000년에 해제됐다. 재정난이 상당기간 이어졌다고 볼 수 있다.
부동산 매각대금으로 145억원을 손에 쥔 김씨가 불과 2억원대의 빚을 갚지 못한 점은 선뜻 이해하기 힘든 대목이다. 김씨가 매각대금을 마음대로 쓰지 못한 사정이 있지 않았겠느냐는 의혹이 제기되는 이유다.
김씨는 “빚보증을 잘못 서서 벌어진 일”이라고 말했다.

김재정씨는 82년 현대건설 퇴사 후 여러 사업에 손을 댔다. 공교롭게도 김씨가 운영한 사업체마다 이명박 후보의 측근 인사들이 관여돼 있다. 김씨가 최대주주(지분 48.99%)로 있는 다스의 경우 공동대표인 이상은씨와 김성우씨가 각각 이후보의 친형, 현대건설 출신이다. 지분 4.16%를 보유한 김모씨도 이후보와 오랜 친구다.
다스에는 이후보의 과거 서울 종로 총선시절 선거 관계자들이 다수 포진해 있다. 다스 직원 정모·강모씨는 96년 이후보의 종로 국회의원 선거 당시 지구당 사무실과 선거캠프에서 각각 활동했다. 종로지구당과 ‘동아시아연구원’(이후보의 개인 연구소)을 거쳐 2002년 서울시장 선거에서 불법선거운동을 한 혐의로 유죄를 받은 신모씨도 다스 직원이었다.
다스가 100% 지분을 보유한 부동산개발회사 홍은프레닝도 2003년 다스가 인수 당시 이후보의 고려대 경영학과 동기인 안순용씨가 대표이사를, 이후보의 측근인 김백준씨가 감사를 맡았다. 안씨는 이후보가 세운 회사인 LKe뱅크의 현 대표이사이며, 김씨는 현재 이후보 캠프에서 일하고 있다.
김씨는 “안사장은 중학교 선배다. 김감사는 동아시아연구원장으로 있을 때 알게 된 사람이다. 설립할 때 책임자가 없어서 시킨 것이다”라고 해명했다.
〈특별취재팀〉
- 대한민국 희망언론! 경향신문, 구독신청(http://smile.khan.co.kr) -
ⓒ 경향신문 & 미디어칸(www.khan.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미디어칸은 한국온라인신문협회(www.kona.or.kr)의 디지털뉴스이용규칙에 따른 저작권을 행사합니다.〉

세습목회는 한국교회의 재앙인가
“기독교 친미보수 성향 평양대부흥이 그 뿌리”
위기의 한국교회, 보수로 ‘우향우’
사학법 주도 의원‘낙선운동’…이명박 ‘공개지지’
보수 기독교계 본격적 ‘정치개입’ 나서나
[하니Only] 보수 기독교계의 정치개입 움직임이 심상치 않다. 한국기독교총연합회가 별도조직을 만들어 개정사학법을 주도한 의원들에 대한 낙선운동을 공언하는 기자회견을 하는가 하면, 뉴라이트계 기독교단체는 ‘서울시를 하나님께 봉헌한다’는 발언을 한 바 있는 이명박 전 서울시장을 대통령선거에서 지지한다는 성명을 발표하고 있다.
사립학교법 재개정을 요구해온 한국기독교총연합회(한기총)는 27일, ‘사립학교법 재개정을 위한 낙선운동본부’(낙선운동본부·본부장 이광선 목사)를 통해 국회의원 낙선운동 대상자의 명단을 발표했다. 지난 17일 출범한 한기총 낙선운동본부는 이날 오후 2시 한기총 세미나실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집행위원회가 선정한 13명 가운데 1차로 5명의 명단을 공개했다. 본부장 이광선 목사는 회견장에서 “국회와 헌법재판소 등 헌법기관들이 직무를 유기하는 가운데 교육당국에 의해 국가백년대계인 교육의 현장이 탄압받는 상황이 벌어지고 있다”며 “국? 릿?이러한 사태를 초래한 책임을 통감하고 결자해지에 나서야 할 때임에도 불구하고, 사립학교법의 재개정을 반대하는 일부 국회의원들 때문에…
댓글목록

삼무님의 댓글
삼무 작성일
보수 한기총 여러분
내가 인터넷 검색을 통하여 한기총에 대한 부정적인 이미지를 갖고 사이트에 들렸는데
다행이 이단목사에 대하여 모른다는 답변이 있네요.
한기총내에도 이단을 척출한다는 기사를 보았읍니다.
벌써 5명의 의원을 부적격자로 낙선운동을 한다던데
왜 각종 부정부패에 연류된 후보를 지지한다고 합니까?
교회장로라 헌금을 많이 냈나요?
한기총에서 이런식으로 나간다면, 예수님이 좋아 할까요?
헌금 많이 내는 후보는 밀어주자?
예수님이 왜 죽었읍니까?
유대인이 성스럽게 여기는 곳에 장사치들이 있어서, 때려 부시다가
유대인 제사장에게 미움을 사서 죽었읍니다. 헤롯 역시 예수가 싫었고요.
본디오 빌라도가 뭔 죄가 있다고 '사도신경'을 읽으면서 맨날 욕먹어야 할까요?
정작 욕을 먹어야 하는 것은 유대제사장과 헤롯왕입니다!
현재, 이와같이 예수님을 죽이려고 합니까?
내 말이 꼬와도 사실은 인정하고 살아 봅시다!
그리고 선관위는 내가 한 말이, 신문기사에 나온 말이고, 선거법으로 잡아가는 불성실한 태도가 없기 바람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