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Home>커뮤니티>예화우화모음 |
추천 재능을 발굴한 선생님
페이지 정보

본문
『너는 그림을 잘 그리는구나. 이 다음에 화가가 되면 잘될 거다』
오늘날 동양화가 金炳宗씨를 있게 한 칭찬 한마디이다.
전남 남원 송정초등 학교 4학년 때 정문자 선생님은 그의 재능을 일찍이 발견해 준 분이었다.
미술시간에 金炳宗씨의 그림을 지켜본 선생님이 해준 그 말은 단순히 칭찬 을 받았다는 기쁨 그 이상이었다.
고등학교 2학년 때 자신의 진로를 결정하 기 위해 깊은 고민에 빠져 있던 金炳宗씨에게
정문자 선생님의 말이 떠올라 한 줄기 빛처럼 강하게 삶의 좌표가 되었다.
당시 조언자가 없는 시골에서 예술 분야를 강력히 추천해 준
선생님의 안목 과 사랑은 서울대 美大(미대) 교수가 된 지금까지 정신적 자신감을 불어넣 었다고 한다.
디자이너 앙드레 김은 초등학교 때부터 학예회 등에서 노래, 연극, 그림 등
다양한 재능을 가진 학생이었다.
그는 고양공립중학교에 입학해서도 노래 , 연극 등에서 재능을 발휘했다.
하루는 미술시간에 미술 선생님이 앙드레 김의 그림을 보고
『이 그림은 독창적이고 창의적이다. 굉장하다』는 극찬 을 아끼지 않았다.
이름은 잘 기억나지 않지만 그 선생님의 칭찬에 앙드레 김은 예술가가 되겠다는 꿈을 키웠다고 한다.
탤런트 崔佛岩씨는 老役(노역)을 소화해 내는 데는 단연 으뜸이다.
그가 老役을 전문적으로 맡기 시작한 것은 서라벌예술대학 재학 시절 은사인 이광 래 교수의 한마디 때문이다.
그 한마디에 그는 연출자 지망생에서 연기자가 되었던 것이다.
그는 대학 시절 연기보다는 연출을 공부하고 있었다.
당시 연기자의 조건은 지금과는 달라서 신성일처럼 잘생겨야만 했다.
하루는 「어느 하늘빛」이라는 창작극의 연출을 맡아 연습을 하고 있는데,
극중 할아버지 배역을 맡은 친구의 연기가 영 엉망이었다고 한다.
연출을 하고 있던 崔佛岩씨가 연기 시범을 보였는데, 그것을 지켜보던 이광래 교수는
『아예 네가 연기도 하고 연출도 해라』고 말했다.
이 말 한마디에 그는 연출자 崔佛岩이 아닌 연기자 崔佛岩이 된 것이다.
KBS 성우 裵漢星씨는 영화배우 지망생이었다.
그는 영화를 즐겨보고 영화에 서 본 장면을 쉬는 시간이면 어김없이 흉내내곤 했다.
친구들 사이에서는 이미 영화배우로 불릴 정도로 연기력을 인정받았다.
그런 그의 재능도 선생 님의 칭찬 한마디가 없었다면 계발되지 않았을 수도 있다.
서울 고명중학교 2학년 국어시간이었다.
전시균 선생님이 「신숙주와 그의 부인」이라는 희곡으로 연극을 한번 해보자고 했다.
배역을 정하는데, 아 이들의 강력한 추천에 의해 그가 신숙주 역할을 맡게 되었다.
그가 연기하 는 것을 보고 난 선생님은 이렇게 말했다.
『裵漢星은 앞으로 연기 쪽으로 성공하겠다. 내가 알고 있는 아나운서도 있 으니까 열심히 해라』
친구들에게도 늘 듣던 말이지만 절대적으로 존중을 하던
선생님의 인정을 받았다는 것이 裵漢星씨에게는 크나큰 기쁨이었다.
그는 어렵게 공부를 하 면서도 중학교 국어 선생님의 칭찬이 계기가 되어
일찌감치 진로를 정해 노 력할 수 있었다고 한다.
시인 金光林씨의 문학적 재능을 일깨워주신 분은 개성 송도중학교에 다닐 무렵 국어 선생님이다.
일제 강점기라 학생들은 종종 근로활동을 나가곤 했 다. 한번은 모내기를 다녀온 후
작문시간에 근로활동을 한 소감을 적어내라 고 했는데, 金光林 시인은 거머리에 대해서 썼다고 한다.
「거머리가 다리를 뜯고 피를 빠는 게 아프거나 두렵다는 게 아니라 첫째가 기분 문제다」라는 표현이었는데,
국어 선생님은 「기분 문제」라는 그의 표현을 보고 이렇게 칭찬했다.
『정말 독특한 표현인데? 첫째가 기분 문제 다? 참 좋다』 하면서 허허 웃었다.
그 이후로 金시인은 글쓰기에 자신감이 붙었다고 한다.
그냥 지나칠 수도 있는 작은 일에도 관심을 가져준 국어 선생님의 칭찬이
金시인에게는 글에 대한 자부심과 용기 그리고 표현에 대한 열정과 호기심 을 심어준 계기가 되었다고 한다.
소설가 朴婉緖씨는 서울 숙명여자고등중학부 5~6학년 때(지금으로 말하면 고등학교 2~3학년)
국어를 가르치던 월북 소설가인 박노갑 선생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
선생님은 글쓰는 방법을 가르쳐 주었는데, 특히 문장에 엄격 해 일본식의 문장,
남의 흉내를 내는 허황된 美文(미문)을 싫어했다.
그래서 항상 강조한 것이,「어떤 물건을 표현하는 데 적절한 말이 하나가 있다 」는
뜻의 플로베르의 말 「一事一言」이었다.
당시 글쓰기 수업이 따로 정 해진 것도 아니고 작가 양성기관이 있는 것도 아니어서
선생님의 가르침은 곧 朴婉緖씨가 소설가가 되는 계기가 되었다고 한다.
시인 鄭浩承씨는 대구 계성중학교 2학년 때까지만 해도 평범한 소년이었다고 한다.
생활이 어려워 집에 늘 빚쟁이가 들끓었는데, 그것이 싫어 학교 수업을 마치면
하염없이 수성천변을 쏘다니다 집에 늦게 들어가곤 했다.
그 무렵 어느 국어시간에 소설가인 김진태 선생님이 느닷없이 詩를 써오라 는 숙제를 내주었다.
詩가 무엇인지도 모르고, 써본 적은 더더욱 없는 鄭浩承 시인은 숙제를 제출해야 하는
일주일의 기간 동안 내내 걱정만 하다가, 하루 전날 「자갈밭에서」라는 詩를 써가지고 갔다.
어린 마음에 느꼈던 가난의 체험을 여름날 자갈밭에 나뒹구는 자갈들에 비유해 썼던 것이다.
鄭浩承 시인이 숙제해 간 詩를 발표하자 선생님은 교단 아래로 내려와 그의 머리를 쓰다듬어 주면서 말했다.
『넌 훌륭한 시인이 될 수 있을 것 같구나,
앞으로 열심히 써봐』鄭浩承 시인은 이 말이 너무도 충격적이었고,
이후 자신의 인생을 바꾸어 놓을 줄은 몰랐다고 한다.
오늘날 동양화가 金炳宗씨를 있게 한 칭찬 한마디이다.
전남 남원 송정초등 학교 4학년 때 정문자 선생님은 그의 재능을 일찍이 발견해 준 분이었다.
미술시간에 金炳宗씨의 그림을 지켜본 선생님이 해준 그 말은 단순히 칭찬 을 받았다는 기쁨 그 이상이었다.
고등학교 2학년 때 자신의 진로를 결정하 기 위해 깊은 고민에 빠져 있던 金炳宗씨에게
정문자 선생님의 말이 떠올라 한 줄기 빛처럼 강하게 삶의 좌표가 되었다.
당시 조언자가 없는 시골에서 예술 분야를 강력히 추천해 준
선생님의 안목 과 사랑은 서울대 美大(미대) 교수가 된 지금까지 정신적 자신감을 불어넣 었다고 한다.
디자이너 앙드레 김은 초등학교 때부터 학예회 등에서 노래, 연극, 그림 등
다양한 재능을 가진 학생이었다.
그는 고양공립중학교에 입학해서도 노래 , 연극 등에서 재능을 발휘했다.
하루는 미술시간에 미술 선생님이 앙드레 김의 그림을 보고
『이 그림은 독창적이고 창의적이다. 굉장하다』는 극찬 을 아끼지 않았다.
이름은 잘 기억나지 않지만 그 선생님의 칭찬에 앙드레 김은 예술가가 되겠다는 꿈을 키웠다고 한다.
탤런트 崔佛岩씨는 老役(노역)을 소화해 내는 데는 단연 으뜸이다.
그가 老役을 전문적으로 맡기 시작한 것은 서라벌예술대학 재학 시절 은사인 이광 래 교수의 한마디 때문이다.
그 한마디에 그는 연출자 지망생에서 연기자가 되었던 것이다.
그는 대학 시절 연기보다는 연출을 공부하고 있었다.
당시 연기자의 조건은 지금과는 달라서 신성일처럼 잘생겨야만 했다.
하루는 「어느 하늘빛」이라는 창작극의 연출을 맡아 연습을 하고 있는데,
극중 할아버지 배역을 맡은 친구의 연기가 영 엉망이었다고 한다.
연출을 하고 있던 崔佛岩씨가 연기 시범을 보였는데, 그것을 지켜보던 이광래 교수는
『아예 네가 연기도 하고 연출도 해라』고 말했다.
이 말 한마디에 그는 연출자 崔佛岩이 아닌 연기자 崔佛岩이 된 것이다.
KBS 성우 裵漢星씨는 영화배우 지망생이었다.
그는 영화를 즐겨보고 영화에 서 본 장면을 쉬는 시간이면 어김없이 흉내내곤 했다.
친구들 사이에서는 이미 영화배우로 불릴 정도로 연기력을 인정받았다.
그런 그의 재능도 선생 님의 칭찬 한마디가 없었다면 계발되지 않았을 수도 있다.
서울 고명중학교 2학년 국어시간이었다.
전시균 선생님이 「신숙주와 그의 부인」이라는 희곡으로 연극을 한번 해보자고 했다.
배역을 정하는데, 아 이들의 강력한 추천에 의해 그가 신숙주 역할을 맡게 되었다.
그가 연기하 는 것을 보고 난 선생님은 이렇게 말했다.
『裵漢星은 앞으로 연기 쪽으로 성공하겠다. 내가 알고 있는 아나운서도 있 으니까 열심히 해라』
친구들에게도 늘 듣던 말이지만 절대적으로 존중을 하던
선생님의 인정을 받았다는 것이 裵漢星씨에게는 크나큰 기쁨이었다.
그는 어렵게 공부를 하 면서도 중학교 국어 선생님의 칭찬이 계기가 되어
일찌감치 진로를 정해 노 력할 수 있었다고 한다.
시인 金光林씨의 문학적 재능을 일깨워주신 분은 개성 송도중학교에 다닐 무렵 국어 선생님이다.
일제 강점기라 학생들은 종종 근로활동을 나가곤 했 다. 한번은 모내기를 다녀온 후
작문시간에 근로활동을 한 소감을 적어내라 고 했는데, 金光林 시인은 거머리에 대해서 썼다고 한다.
「거머리가 다리를 뜯고 피를 빠는 게 아프거나 두렵다는 게 아니라 첫째가 기분 문제다」라는 표현이었는데,
국어 선생님은 「기분 문제」라는 그의 표현을 보고 이렇게 칭찬했다.
『정말 독특한 표현인데? 첫째가 기분 문제 다? 참 좋다』 하면서 허허 웃었다.
그 이후로 金시인은 글쓰기에 자신감이 붙었다고 한다.
그냥 지나칠 수도 있는 작은 일에도 관심을 가져준 국어 선생님의 칭찬이
金시인에게는 글에 대한 자부심과 용기 그리고 표현에 대한 열정과 호기심 을 심어준 계기가 되었다고 한다.
소설가 朴婉緖씨는 서울 숙명여자고등중학부 5~6학년 때(지금으로 말하면 고등학교 2~3학년)
국어를 가르치던 월북 소설가인 박노갑 선생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
선생님은 글쓰는 방법을 가르쳐 주었는데, 특히 문장에 엄격 해 일본식의 문장,
남의 흉내를 내는 허황된 美文(미문)을 싫어했다.
그래서 항상 강조한 것이,「어떤 물건을 표현하는 데 적절한 말이 하나가 있다 」는
뜻의 플로베르의 말 「一事一言」이었다.
당시 글쓰기 수업이 따로 정 해진 것도 아니고 작가 양성기관이 있는 것도 아니어서
선생님의 가르침은 곧 朴婉緖씨가 소설가가 되는 계기가 되었다고 한다.
시인 鄭浩承씨는 대구 계성중학교 2학년 때까지만 해도 평범한 소년이었다고 한다.
생활이 어려워 집에 늘 빚쟁이가 들끓었는데, 그것이 싫어 학교 수업을 마치면
하염없이 수성천변을 쏘다니다 집에 늦게 들어가곤 했다.
그 무렵 어느 국어시간에 소설가인 김진태 선생님이 느닷없이 詩를 써오라 는 숙제를 내주었다.
詩가 무엇인지도 모르고, 써본 적은 더더욱 없는 鄭浩承 시인은 숙제를 제출해야 하는
일주일의 기간 동안 내내 걱정만 하다가, 하루 전날 「자갈밭에서」라는 詩를 써가지고 갔다.
어린 마음에 느꼈던 가난의 체험을 여름날 자갈밭에 나뒹구는 자갈들에 비유해 썼던 것이다.
鄭浩承 시인이 숙제해 간 詩를 발표하자 선생님은 교단 아래로 내려와 그의 머리를 쓰다듬어 주면서 말했다.
『넌 훌륭한 시인이 될 수 있을 것 같구나,
앞으로 열심히 써봐』鄭浩承 시인은 이 말이 너무도 충격적이었고,
이후 자신의 인생을 바꾸어 놓을 줄은 몰랐다고 한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