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Home>커뮤니티>예화우화모음 |
추천 담배 피우는 버릇과 정체
페이지 정보

본문
옛날, 어떤 선비가 길을 가다가 산골 주막에 들어 갔다.
주막 안에는 어른은 없고, 조그마한 여자 아이가 혼자 주막을 지키고 있었다.
선비가 밥을 주문하자,
여자 아이는 쪼르르 부엌으로 달려가 밥상을 차려 왔다.
그 때, 주막 집에 세 사람이 들어 왔다.
그들은 여자 아이에게 불씨가 담긴 화로를 내 오라고 했다.
여자 아이가 화로를 내 오자,
세 사람은 화로 주위에 앉아 담배 한 대씩 피우고는 그냥 가 버렸다.
술도 시키지 않고, 밥도 시키지 않고,
화로를 달라고 해서 담배만 피우고 가다니 참 이상한 사람들이었다.
세 사람이 나가자,
여자 아이는 마당에 쪼그리고 앉아 흙장난을 했다.
그 때, 마침 아이의 어머니가 돌아 왔다.
“얘, 내가 없는 동안에 손님이 많이 다녀 갔니?”
그러자 여자 아이가 말했다.
“예, 조금 전에 세 분이 오셨는데,
한 분은 산골에 사는 사람이고,
한 분은 들에 사는 사람이고,
또 한 분은 큰 고을에 사는 양반이었어요.”
그 말을 들은 선비는 아이가 거짓말을 하는구나 생각했다.
조금 전에 들어 왔던 세 사람은
그저 담배만 피우고, 아무 말 없이 그냥 가 버렸으니,
아이가 그 사람들이 사는 곳을 알 턱이 없었다.
선비는 아이를 혼내 줄 생각으로 이렇게 말했다.
“애야, 내가 조금 전에 보니 세 사람이 들어 와서 담배만 피우고 갔지.
자기들이 어디서 산다는 이야기는 않던데,
너는 그 사람들이 사는 곳을 어떻게 알았느냐?”
여자 아이가 방긋 웃더니 또렷하게 대답했습니다.
“예, 그 분들이 담배를 피우는 모습을 보고 알았어요.”
“담배를 피우는 모습을 보고, 어떻게 그 사람들이 사는 곳을 안단 말이냐?”
여자 아이의 설명
1.1. 아까 불씨 아까운 줄을 모르고 담뱃대를 화로에 푹 쳐 박고 담뱃불을 붙이던 사람 있죠?
바로 그 분이 산골에 사는 사람이에요. 나무가 많은 산골에 사니 불씨를 소중하게 여기지 않는 것이지요.
옳거니! 그럼 들에 사는 사람은?
1.2. 담배불을 붙이고는 불이 꺼질까 봐 다시 꼭꼭 다듬어 놓는 분이지요.
나무가 귀한 들에 살다 보니 그런 버릇이 생긴 것이지요.
1.3. 화로 한 가운데 함부로 헤치지 않고,
한쪽 귀퉁이에서 점잖게 담뱃불을 붙이는 모습을 보고,
예절을 따지는 양반이란 것을 알았지요.
윤기현 선생님이 쓰신 동화 “두 개의 수수께끼”에 나오는 이야기.
한 가지를 배우고 열가지를 아는
주막 안에는 어른은 없고, 조그마한 여자 아이가 혼자 주막을 지키고 있었다.
선비가 밥을 주문하자,
여자 아이는 쪼르르 부엌으로 달려가 밥상을 차려 왔다.
그 때, 주막 집에 세 사람이 들어 왔다.
그들은 여자 아이에게 불씨가 담긴 화로를 내 오라고 했다.
여자 아이가 화로를 내 오자,
세 사람은 화로 주위에 앉아 담배 한 대씩 피우고는 그냥 가 버렸다.
술도 시키지 않고, 밥도 시키지 않고,
화로를 달라고 해서 담배만 피우고 가다니 참 이상한 사람들이었다.
세 사람이 나가자,
여자 아이는 마당에 쪼그리고 앉아 흙장난을 했다.
그 때, 마침 아이의 어머니가 돌아 왔다.
“얘, 내가 없는 동안에 손님이 많이 다녀 갔니?”
그러자 여자 아이가 말했다.
“예, 조금 전에 세 분이 오셨는데,
한 분은 산골에 사는 사람이고,
한 분은 들에 사는 사람이고,
또 한 분은 큰 고을에 사는 양반이었어요.”
그 말을 들은 선비는 아이가 거짓말을 하는구나 생각했다.
조금 전에 들어 왔던 세 사람은
그저 담배만 피우고, 아무 말 없이 그냥 가 버렸으니,
아이가 그 사람들이 사는 곳을 알 턱이 없었다.
선비는 아이를 혼내 줄 생각으로 이렇게 말했다.
“애야, 내가 조금 전에 보니 세 사람이 들어 와서 담배만 피우고 갔지.
자기들이 어디서 산다는 이야기는 않던데,
너는 그 사람들이 사는 곳을 어떻게 알았느냐?”
여자 아이가 방긋 웃더니 또렷하게 대답했습니다.
“예, 그 분들이 담배를 피우는 모습을 보고 알았어요.”
“담배를 피우는 모습을 보고, 어떻게 그 사람들이 사는 곳을 안단 말이냐?”
여자 아이의 설명
1.1. 아까 불씨 아까운 줄을 모르고 담뱃대를 화로에 푹 쳐 박고 담뱃불을 붙이던 사람 있죠?
바로 그 분이 산골에 사는 사람이에요. 나무가 많은 산골에 사니 불씨를 소중하게 여기지 않는 것이지요.
옳거니! 그럼 들에 사는 사람은?
1.2. 담배불을 붙이고는 불이 꺼질까 봐 다시 꼭꼭 다듬어 놓는 분이지요.
나무가 귀한 들에 살다 보니 그런 버릇이 생긴 것이지요.
1.3. 화로 한 가운데 함부로 헤치지 않고,
한쪽 귀퉁이에서 점잖게 담뱃불을 붙이는 모습을 보고,
예절을 따지는 양반이란 것을 알았지요.
윤기현 선생님이 쓰신 동화 “두 개의 수수께끼”에 나오는 이야기.
한 가지를 배우고 열가지를 아는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