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Home>커뮤니티>예화우화모음 |
추천 랍비 아키바와 학교 보존
페이지 정보

본문
Jerusalem이 로마군에 의해서
완전히 포위되어 점령당할 당시인 기원 70원경의 애기다.
그 때 예루살렘의 정신적인 지도자 랍비 아키바라는 사람이 있었는데,
그는 내일 모레면 로마의 대군이 예루살렘성을 빠져 나간다.
몰래 빠져 나가서 천신만고 끝에 당시의 로마군 사령관 막사를 찾아가서
자기가 예루살렘의 정신적인 지도자 랍비 아키바라는 것을 밝히고
한가지 간청이 있어서 찾아 왔다고 로마 군사령관에게 청을 드리게 된다.
그 때 로마 군사령관은 ‘베스 베지안’이라는 사람이었는데
대단히 도량이 넓고 후에 로마의 황제까지 되는 사람이다.
그 사람이 랍비 아키바를 반가히 맞아 들여서 무슨 청이 있어서 찾아 왔느냐고 묻게 된다.
그 때 랍비 아키바는 내일 모레면 로마의 대군이 Jerusalem성에서 진주해서
점령군으로서 방화도 하고 파괴도 하고 여러 가지 많은 살상을 하게 되리라고 생각을 한다.
모든 것을 파괴해도 좋지만 단 하나, Jerusalem성 안에 있는
학교 건물만은 파괴하지 말라고 보존해 달라는 간청을 하게 된다.
그 때 그 베스베지안 장군은 대단히 깊은 감동을 받아서 그렇게 하겠다고 약속을 하고
전군에 명령을 내려 Jerusalem성에 진격한 후에도 Jerusalem 성전까지도 파괴가 되고
서쪽 벽 한귀퉁이 밖에 남아 있지 않고 모든 것이 파괴되었지만
Jerusalem 안의 조그마한 학교 건물만은 보존이 되었다는 그런 역사적인 기록이 있다.
그날밤으로 Jerusalem성으로 다시 돌아온 랍비 아키바는
유대인들에게 다음과 같은 말을 남긴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 말은 유명한 말이다.
‘예루살렘성은 멸망할지라도 이스라엘의 교육은 계속되어야 한다’라는 것이 그의 말이다.
바로 이러한 랍비 아키바의 전통은 그 후에 면면히 이어지고
그들이 Jerusalem성을 다 빠져 나가서 전세계에 흩어져서 사는 그런 이산 생활속에서도
그 전통을 지켜 가면서 결국 유대의 교육을 계속했던 것이
오늘날 근 2,000년 후에 팔레스타인 지방에 이스라엘 공화국을 세우고
그들의 생존을 기약 받았을 뿐만 아니라 그들이 지금까지 주장해 왔던
시오니즘(Zionism)의 목표를 달성한 결과를 가져온 힘이 되었다고 해석할 수 있다.
완전히 포위되어 점령당할 당시인 기원 70원경의 애기다.
그 때 예루살렘의 정신적인 지도자 랍비 아키바라는 사람이 있었는데,
그는 내일 모레면 로마의 대군이 예루살렘성을 빠져 나간다.
몰래 빠져 나가서 천신만고 끝에 당시의 로마군 사령관 막사를 찾아가서
자기가 예루살렘의 정신적인 지도자 랍비 아키바라는 것을 밝히고
한가지 간청이 있어서 찾아 왔다고 로마 군사령관에게 청을 드리게 된다.
그 때 로마 군사령관은 ‘베스 베지안’이라는 사람이었는데
대단히 도량이 넓고 후에 로마의 황제까지 되는 사람이다.
그 사람이 랍비 아키바를 반가히 맞아 들여서 무슨 청이 있어서 찾아 왔느냐고 묻게 된다.
그 때 랍비 아키바는 내일 모레면 로마의 대군이 Jerusalem성에서 진주해서
점령군으로서 방화도 하고 파괴도 하고 여러 가지 많은 살상을 하게 되리라고 생각을 한다.
모든 것을 파괴해도 좋지만 단 하나, Jerusalem성 안에 있는
학교 건물만은 파괴하지 말라고 보존해 달라는 간청을 하게 된다.
그 때 그 베스베지안 장군은 대단히 깊은 감동을 받아서 그렇게 하겠다고 약속을 하고
전군에 명령을 내려 Jerusalem성에 진격한 후에도 Jerusalem 성전까지도 파괴가 되고
서쪽 벽 한귀퉁이 밖에 남아 있지 않고 모든 것이 파괴되었지만
Jerusalem 안의 조그마한 학교 건물만은 보존이 되었다는 그런 역사적인 기록이 있다.
그날밤으로 Jerusalem성으로 다시 돌아온 랍비 아키바는
유대인들에게 다음과 같은 말을 남긴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 말은 유명한 말이다.
‘예루살렘성은 멸망할지라도 이스라엘의 교육은 계속되어야 한다’라는 것이 그의 말이다.
바로 이러한 랍비 아키바의 전통은 그 후에 면면히 이어지고
그들이 Jerusalem성을 다 빠져 나가서 전세계에 흩어져서 사는 그런 이산 생활속에서도
그 전통을 지켜 가면서 결국 유대의 교육을 계속했던 것이
오늘날 근 2,000년 후에 팔레스타인 지방에 이스라엘 공화국을 세우고
그들의 생존을 기약 받았을 뿐만 아니라 그들이 지금까지 주장해 왔던
시오니즘(Zionism)의 목표를 달성한 결과를 가져온 힘이 되었다고 해석할 수 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