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Home>토론게시판>주제토론방 |
게임 우리사회에 깊숙히 들어가는 게임!
페이지 정보

본문
토론해보고싶습니다.
바람의나라와 스타크래프트 라는 게임을 아시는 분이 많이있으실것입니다.
우리나라의 정보통신을 2개의 게임을 기준으로 나눠도 될만큼 그 시대에 갑작스러운 정보통신 혁명이라는것이라고 불리울만큼 커져버렸습니다 PC방이라는 것도 생겼지요? 처음에는 단순히 다들 신기하고 재미있으니까 즐겼습니다.
이것은 아마 동네에서 오락실에서 하는것과는 달리 자신이 표현하고 자신의 능력이 된다면 얼마든지 사람을 사귀고 그 안에서 제한없이 능력을 발휘할수있었습니다.
하지만 이상하게 이게 점점 사회문제로 들어가고있습니다. 오락실에서 게임하던 시절 그렇게 오래해도 단지 부모님께 혼나는정도에 잘못을 저질렀지 범죄까지는 일어나지 않았습니다. 왜?.... 게임은 사람의 운명을 뒤흔들정도로 이토록 커진것일까요? 그리고 그것을 왜 보고도 방치해뒀을까요?그리고 어떻게 하면 해결할수있을까요?
제생각에는..
저는 이것부터 생각하기전에 왜 우리는 게임을 했는지 먼저 생각해보고싶습니다. 단순히 즐거움이라는 편안한 단어를위해 하는지 호기심을 위해서 하는지 확실히 어떠한 기준을 선택하고 나서 말입니다.
게임은 우리에게 즐거움을 줍니다 그 즐거움은 상업적 목적을위해서 나온게 더 크죠
그리고 많은 이익이 나오니까 이것은 저절로 사회로 흘러들어갑니다.그리고 결국에는 정착하게되죠.하지만 이것을 받아들이는 소비자도 책임이있습니다. 아무런 의심없이 각자 자기가 즐거우니까
결국에는 전체가 받고 쓰고있습니다.
지금의 게임은 비공식적으로 사회화 개개인이 힘을 합쳐있는 상태이라고 말씀드리고싶습니다.
이것을 해결하기위해서는 앞서 말한거와 같이 개개인이 자신만의 인생을 꾸려나가면서 기준이
있는것처럼 게임을 할때도 자기가 어떠한 목적으로 게임을 해야 하는지 기준을 세우고 나아가야
한다고생각합니다. 기준은 자신만의 가상속에서 자신의 캐릭을 만들어낼수있기때문입니다.
댓글목록

프로즌좀비님의 댓글
프로즌좀비 작성일게임 한번시작하면 멈출수 없다는...

의마지재님의 댓글
의마지재 작성일바람.. 하는 사람 아직 많나요? 난 초딩때하다 관뒀는데.. 쨌든, 현실과 다르기에 게임을 하는 거겠죠.ㅋ 무의식적으로. 목적은 뻔할 뻔 유희, 쾌락. 너무 탐닉하다보면 게임을 현실로 착각, 그러니까 게임과 현실이 뒤바뀌어 인식되는, 가끔 뉴스에 나오는 사건들.. 일정한 목적.. 까진 모르겠고, 확실히 무작정 게임만 하는건 좋지 않을 것 같네요. 생각해보니. 게임 카테고리에 목적의식을 군데군데 부여하든가, 하면.. 그것도 하나의 방법일 듯. 죽이고 싶어서 죽이는게 아닌, 특정한 목적달성을 위해(지구를 구한다든가 ㅡㅡ, 물론 비교적 현실적인게 좋겠죠.) 총으로 쏴 죽이는.. 그런 거?

이수님의 댓글
이수 작성일
님께선 그렇다면 포스트 모더니즘을 아신다면 훨씬더 이해가 쉽습니다.
현실과 가상의 공간은 구분하기 어렵다는 것이죠.(미래가 될수록)
게임이라는 가상의 시간을 많이 소비할수록, 우리는 그것에 대한 생각을
많이 하게 됩니다. 어쩌면 이런 세상이 되었으면 하는 바램을 가지며 상상을
해보죠. 이런 상상이 현실과 뒤섞이면서 폐인을 만들기도 하며,
현실을 착각하여 총질을 하는 현상도 일어나는 것입니다.
또 한 좀비님 말처럼 게임은 시작하면 멈출수 없도록
중독이 일어나도록 설계가 되어있구요(돈을 벌어야하므로)
자신만의 캐릭터를 만들어서 뜻대로 움직이게 하는데에서
절대자의 쾌감을 느낄수도 있기 때문에 게임을 하는것 이기 때문입니다.
게임을 어떤 목적으로 해야하는지는 저도 잘 모르겠습니다만은,
게임은 "휴식"과 스트레스 해소의 목적으로 1~2시간씩 가끔 하는것으로 하는것
을 정상으로 하는 것이라고 생각을 합니다/// ///
기준이 자신의 캐릭이 만들어지는것으로 생각하시면 안되죠..(그것이 가상을
현실과 구분 못하게 하는 요인)
또한 친구를 사귀는 것을 목적으로 해도 무방하겠구요.
다만 "즐기고 레벨을 올리거나 욕하는것" 을 목적으로 하는것만 방지되면
좋은 목적이라고 할수 있죠.
그렇다면 왜 방치 해 두었을까요//
그것은 자신의 아들이나 가족이 아니기 때문이 아닐까요
또한 자신의 절제가 부족하여 저런 현상이 일어났다고
생각하기 때문일수도 있겠군요..
그런경우는 소수이기 때문에 사회가 묵인을 할수도 있으며
거의다 정부가 그런것을 규제하면 (법률 만들기도 어려움)
온라인 게임사가 큰 타격을 입어서 100억원의 수입을
날릴수도 있다는 우려가 아닐런지요.
해결을 하는것은, 국가가 기초적으로 게임에 대한
교육을 하며, 연령층에 맞는 게임을 추천을 해주는 것이 좋구요
너무 잔인하거나 비현실적인 게임은 약간씩의 규제를 가해서
(타격이 미묘할 만큼) 포스트 모더니즘으로 빠져들지 않게 하는 것이죠.
또한 포털사에서도 관리를 해주어야 되는거구요...

이수님의 댓글의 댓글
이수 작성일
말이 안되는 건가요..??
그렇다면 ㅈㅅ

한말씀님의 댓글
한말씀 작성일
게임아이템 유료화 금지
잔인성 폭력성 검열기준 강화
중독은 개인의 문제...지속적인 캠페인과 대체오락문화에 대한 지원
기타 등등 할 수 있는 것은 얼마든지 있지요.
하지 않으니까 문제지.
아예 할 생각도 없으니까 문제지.
그런다고 선거때 표주는 거 아니니까...

minecraft님의 댓글
minecraft 작성일
게임에 돈을 지르는 기능은 사라져야 한다.
잔인하고 폭력적인 검사 기준을 강화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