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Home>토론게시판>주제토론방 |
독서 다독과 정독중 어떤 독서습관이 더 좋은가?
페이지 정보

본문
모든 학생들은 책을 읽습니다.
저도 현재 책 한권을 보고 있습니다.
저는 현재 계획을 세워서 일주일에 한 권의 책을 읽고 있습니다.
제 친구는 한달에 한 권 읽는 친구도 있고 한 달에 한 권도 읽지 않는 친구도 있습니다.
책을 읽으면서 한 가지 의문점이 생겼습니다.
책은 여러가지 책을 짧은시간에 두루두루 많이 읽는 다독하는 독서습관이 좋을까요?
많이 읽는 것 보단 정독을 해서 자세하게 뜻을 음미하면서 천천히 읽는 독서습관이 더 좋을까요?
여러분의 의견이 궁금합니다.
oneinmen:
독서의 목적이 우선 결정되는 것이 좋습니다.
독서량이 어느 정도 쌓이면 빠른 독서가 되고
가끔 이해하기 어려운 부분을 정독하는 것이 보통입니다.
다독과 정독 보다 더 중요한 것은 읽은 것을 일상에서 생각해 보는 습독에 있겠습니다. -[06/30]-
redpoint: 전 지금도 다독과 정독의 딜레마에 빠져 있답니다. 책을 읽긴 읽어야 하는데 그렇지 못한 환경이나 제 게으름 때문에 항상 고뇌합니다... 전 개인적으로 한 시대의 현대인으로 살아가며 정독보다는 다독을 권유하고 싶습니다. 이 주장의 근거는 정독의 경우 그 의미를 세세하게 파악하는 노력이 따르므로 학습하는 자세와 차이가 없어져 독서하는 사람에게 스트레스를 줄 확률이 높습니다. 우리가 시험공부 하는 모습을 연상하면 될 것입니다. 이런 독서의 자세는 진정한 독서의미가 아닐 것입니다. 가볍게 자신이 읽고 싶은 책을 시간가는 줄도 모르고 편안 마음과 상태로 읽어가는 모습이 제가 권장하는 독서의 자세입니다. 그러면 다독의 경지에 올라갈 수 있고요... -[07/02]-
윤동혁: 다독과 정독은 서로 비례를 맞추며 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많이 읽으면서도 무슨 내용인지 파악 해내지 못하면 헛수고이고 또 한권의 책만 너무 지체하는 것도 문제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양쪽을 잘 맞추며 읽는 습관이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07/25]-
저도 현재 책 한권을 보고 있습니다.
저는 현재 계획을 세워서 일주일에 한 권의 책을 읽고 있습니다.
제 친구는 한달에 한 권 읽는 친구도 있고 한 달에 한 권도 읽지 않는 친구도 있습니다.
책을 읽으면서 한 가지 의문점이 생겼습니다.
책은 여러가지 책을 짧은시간에 두루두루 많이 읽는 다독하는 독서습관이 좋을까요?
많이 읽는 것 보단 정독을 해서 자세하게 뜻을 음미하면서 천천히 읽는 독서습관이 더 좋을까요?
여러분의 의견이 궁금합니다.

독서의 목적이 우선 결정되는 것이 좋습니다.
독서량이 어느 정도 쌓이면 빠른 독서가 되고
가끔 이해하기 어려운 부분을 정독하는 것이 보통입니다.
다독과 정독 보다 더 중요한 것은 읽은 것을 일상에서 생각해 보는 습독에 있겠습니다. -[06/30]-


댓글목록

장윤빈님의 댓글
장윤빈 작성일
정독이 먼저 선행되고 습관이 되고 몸에 익으면, 익숙해져 빨리 읽게 됩니다.
정독을 하면서 독서에 흥미를 가지면 시간이 지나 자연스레 다독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