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Home>토론게시판>주제토론방 |
생활 한글과 한자의 동침은 합법적인가?
페이지 정보

본문
요즘은 한글 표기를 많이 써서 한자를 모르는 사람이 많아졌다.
그래서 인지 우리의 고대문화를 모르는 경우도 많아졌다. 문제의 심각성 때문인지 교과서의 한자병용을 주장하는 국어학자들이 있다.
그런데 한쪽에서는 한글전용을 주장하고 있다. 과연 한자병용은 이루어지는 것이 좋겠는가?
한글의 우수성, 영어의 공용성, 한자의 고유성 우리는 도대체 무엇을 써야 한단 말인가?
전 지금 엄청나게 해깔립니다...
oneinmen:
한반도에서 사용하는 글은 한글입니다.
헷갈리지 마시고요.
이웃나라의 말을 쓰더라도 정확한 뜻을 알고 쓴다면 우리말에 없는 표현을 쓸 수 있겠죠.
영어의 경우에는 어원과 생성원리에 대한 연구가 많이 소개되어 있습니다만,
그 보다 더 친근한 한자의 경우 오히려 학습을 방해한 역사가 있어서 나쁜 감정을 가지고 있습니다.
한자에 대해서도 그런 연구가 많이 소개되어 더 체계적으로 이해할 수 있어야 하겠습니다. -[05/05]-
yoo6786: 한자를 안다고 해서 고대사를 잘알수있는것도 아니다. 한국의 모든 고대사가 한글로 번역되어 나와 있는데 왜 한자를 배워야하는지 이해가 가질않습니다. 한자를 병용하게되면 학생들 없는시간에 또 시간내서 한자공부 해야하고 모르는단어는 일일이 옥편에서 찾아야하는데 왜 일부러 그렇게 힘든일을 하려드는건지 이해가 가질 않습니다. 한국어로도 모든 표현이 가능한데 뭐하라고 중국인도 배우기 어려운 한자를 따로 배워야 하는지... 이는 한자를 읽을줄 앎으로서 자신이 더욱 지적이고 고상해 보이게 하려는 아주 겉멋만든 고지식한 어른들의 파렴치한 발상입니다 -[05/21]-
그래서 인지 우리의 고대문화를 모르는 경우도 많아졌다. 문제의 심각성 때문인지 교과서의 한자병용을 주장하는 국어학자들이 있다.
그런데 한쪽에서는 한글전용을 주장하고 있다. 과연 한자병용은 이루어지는 것이 좋겠는가?
한글의 우수성, 영어의 공용성, 한자의 고유성 우리는 도대체 무엇을 써야 한단 말인가?
전 지금 엄청나게 해깔립니다...

한반도에서 사용하는 글은 한글입니다.
헷갈리지 마시고요.
이웃나라의 말을 쓰더라도 정확한 뜻을 알고 쓴다면 우리말에 없는 표현을 쓸 수 있겠죠.
영어의 경우에는 어원과 생성원리에 대한 연구가 많이 소개되어 있습니다만,
그 보다 더 친근한 한자의 경우 오히려 학습을 방해한 역사가 있어서 나쁜 감정을 가지고 있습니다.
한자에 대해서도 그런 연구가 많이 소개되어 더 체계적으로 이해할 수 있어야 하겠습니다. -[05/05]-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