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Home>토론게시판>주제토론방 |
생활 조기교육 바람직한가??
페이지 정보

본문
전 조기교육 바람직한가? 에 대해 반대하는 바입니다.
요새 어린나이에 조기교육, 조기유학등을 많이 합니다.
그러나 이러한 조기교육들은 어린아이에도 우리 청소년에게도 안 좋습니다.
어른들은 우리의 미래를 위해서, 우리가 사회에 기죽지 않고 살기위해서 조기교육을 시키는 것이라고 강요합니다.
이렇게 어른들은 무조건 공부를 잘 해야만 사회에서 잘 나가는 줄 압니다.
하지만 우린 어린나이에도 사회생활은 공부를 잘 해서만이 최고가 되는것이 아닌 것을 잘 압니다.
우선 인간성이 좋아야 사회에서 잘 생활하는 것 같습니다.
벌써부터 조기교육을 받는다면 성격도 안좋아지고, 너무 공부만 한다면 건강도 안좋아집니다.
그래서 전 공부도 하면서 많이 뛰어 놀아야 된다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학원에선 공부를 조금만 못해도 아이를 무시하고 짓밟습니다.
그러한 학원에서 우리 아이들과 청소년들은 무엇을 배우고 사회생활을 하겠습니까?
보통 학원에서는 10시 전에 끝나는 것으로 법에 나와있습니다.
그러나 학원에서는 보충이니 뭐니 하면서 보통에도 10시가 넘어서 끝납니다.
또 시험기간엔 새벽 12시가 넘어야 끝납니다.
이렇게 늦게 끝나면 우리들은 쉴 새도 없고, 우리의 꿈에 대해서 생각도 못합니다.
또한 우리는 현재 급격히 성장할 시기입니다.
그런데 이렇게 늦게 끝나면 우리의 건강 또한 나빠 질 것입니다.
전 이러한 내용들로 조기교육 바람직한가?에는 반대 하는 바 입니다.
여기까지 밖에 근거를 대지 못했습니다.
여러분들이 더 많은 근거를 대 주세요...
박종우(redpoint): 조기교육은 원래 좋은 것이었습니다. 하지만, 한국의 조기교육에 가장 큰 문제점은 아이들을 팔방미인으로 교육시킨다는 것이죠! 아이들의 적성이나 특기를 무시하고 좋은거라고 생각하면 다 교육시켜서 문제가 됩니다. 거기에 대학입시라는 것을 염두해 두고 교육시키니 아이들이 자신의 적성을 찾기도 전에 공부가 질리게 만들었죠! 피아노, 미술, 영어, 태권도, 산수(수학) 등등...아이들의 적성은 학무모들에겐 그다지 중요한 것이 못 되고 있습니다. 차라리 조기 교육을 하지 말고 아이들을 그냥 내버려 두는 것이 큰 인물을 키우는 데 있어서는 더 중요할 수 있을지 모른다는 생각이 듭니다...전문가가 필요한 시대에는 더욱 그렇습니다. -[11/04]-
임일균(oneinmen):
태어나자 마자 아이가 배우고자 하는 것은 가르쳐야 합니다.
몸과 마찬가지로 생각과 마음도 자라는 것이니까요.
적당한 운동으로 몸을 튼튼히 하듯이
알맞은 공부로 마음을 넓게 알 수 있습니다. -[11/10]-
신성진(ko2742): 조기교육 자체는 좋은 것이였습니다. 하지만 박종우님께서 말씀하신것과 같이 대학입시만을 중시한 한국의 조기교육은 나쁘다고 생각됩니다. -[12/10]-
즐: 조기 교육은 좋은 것입니다, 예를 들어 조기유학같은 경우에는 50:50 의 비율인데요,
한 아이는 조기유학을 갔다가, 더 많은 것을 꺠우쳐 올수 있고 한 아이는 아예 자신을
내던저 버리고 올 수도 있는 것입니다, 하지만,어릴 떄부터 자신의 개성에 맞추어
알맞는 어떠한 재주등을 찾는다면 ,, 그 아이는 미래에 대해 더욱 빨리 내달을 수있고
발전도 있을 수 있습니다, 지금 부모님들과 우리나라의 관점만 바뀐다면은 조기교육은
종요합니다. -[12/27]-
요한(taijibebe): 저는 지금의 막무가네의 교육을 조금만 개선한다면 조기교육에 대해 찬성합니다.
자녀의 적성을 찾아주는 일은, 부모의 역할에 큰 비중을 갖고 있다고 생각하는데요. 그냥 가만히 내버려두면 도무지 자녀의 적성이 무엇인지 알길이 없습니다. 물론 어쩌다 우연히 발견하는 경우도 있긴 하겠지만 말입니다. 모든걸 완벽히 소화해내는 그런 교육보다는 자녀의 적성이 무엇인지 찾아가는 그런 것으로써 이것저것 여러가지를 시켜보는게 현명하다고 판단됩니다. 그렇게 하다보면 분명 무엇인가는 자녀의 적성에 맞는 것을 찾게 될테고, 그 방향을 위주로 교육을 시키는 것이죠. 따라서 저는 이런식으로 개선된 조기교육이라면 찬성하는 바입니다. -[12/27]-
요새 어린나이에 조기교육, 조기유학등을 많이 합니다.
그러나 이러한 조기교육들은 어린아이에도 우리 청소년에게도 안 좋습니다.
어른들은 우리의 미래를 위해서, 우리가 사회에 기죽지 않고 살기위해서 조기교육을 시키는 것이라고 강요합니다.
이렇게 어른들은 무조건 공부를 잘 해야만 사회에서 잘 나가는 줄 압니다.
하지만 우린 어린나이에도 사회생활은 공부를 잘 해서만이 최고가 되는것이 아닌 것을 잘 압니다.
우선 인간성이 좋아야 사회에서 잘 생활하는 것 같습니다.
벌써부터 조기교육을 받는다면 성격도 안좋아지고, 너무 공부만 한다면 건강도 안좋아집니다.
그래서 전 공부도 하면서 많이 뛰어 놀아야 된다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학원에선 공부를 조금만 못해도 아이를 무시하고 짓밟습니다.
그러한 학원에서 우리 아이들과 청소년들은 무엇을 배우고 사회생활을 하겠습니까?
보통 학원에서는 10시 전에 끝나는 것으로 법에 나와있습니다.
그러나 학원에서는 보충이니 뭐니 하면서 보통에도 10시가 넘어서 끝납니다.
또 시험기간엔 새벽 12시가 넘어야 끝납니다.
이렇게 늦게 끝나면 우리들은 쉴 새도 없고, 우리의 꿈에 대해서 생각도 못합니다.
또한 우리는 현재 급격히 성장할 시기입니다.
그런데 이렇게 늦게 끝나면 우리의 건강 또한 나빠 질 것입니다.
전 이러한 내용들로 조기교육 바람직한가?에는 반대 하는 바 입니다.
여기까지 밖에 근거를 대지 못했습니다.
여러분들이 더 많은 근거를 대 주세요...


태어나자 마자 아이가 배우고자 하는 것은 가르쳐야 합니다.
몸과 마찬가지로 생각과 마음도 자라는 것이니까요.
적당한 운동으로 몸을 튼튼히 하듯이
알맞은 공부로 마음을 넓게 알 수 있습니다. -[11/10]-


한 아이는 조기유학을 갔다가, 더 많은 것을 꺠우쳐 올수 있고 한 아이는 아예 자신을
내던저 버리고 올 수도 있는 것입니다, 하지만,어릴 떄부터 자신의 개성에 맞추어
알맞는 어떠한 재주등을 찾는다면 ,, 그 아이는 미래에 대해 더욱 빨리 내달을 수있고
발전도 있을 수 있습니다, 지금 부모님들과 우리나라의 관점만 바뀐다면은 조기교육은
종요합니다. -[12/27]-

자녀의 적성을 찾아주는 일은, 부모의 역할에 큰 비중을 갖고 있다고 생각하는데요. 그냥 가만히 내버려두면 도무지 자녀의 적성이 무엇인지 알길이 없습니다. 물론 어쩌다 우연히 발견하는 경우도 있긴 하겠지만 말입니다. 모든걸 완벽히 소화해내는 그런 교육보다는 자녀의 적성이 무엇인지 찾아가는 그런 것으로써 이것저것 여러가지를 시켜보는게 현명하다고 판단됩니다. 그렇게 하다보면 분명 무엇인가는 자녀의 적성에 맞는 것을 찾게 될테고, 그 방향을 위주로 교육을 시키는 것이죠. 따라서 저는 이런식으로 개선된 조기교육이라면 찬성하는 바입니다. -[12/27]-
댓글목록

kim1004q님의 댓글
kim1004q 작성일
모 조기교육은 필요하다고 생각하는데요. 그치만 지금 입시경쟁이다 모다 해가지고 학부모 사이에 너무 심하게 과열되어 아이들을 혹사시키는게 문제라고 생각합니다그치만 일부 강남권등에서 애들을 놀지 못하게 혹사시키는듯 이 언론에 만이보도됐느만. 아직은 소수인것 같고요.. 적당한 조기교육은 필요하죠..
그리고 조기유학은 모 너나나나 할것없이 무조건 보내려하니..
정말 중요한건 가족과 함깨 공부하는 분위기를 어려서부터 길들이는 것이
정말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줄넘기짱님의 댓글
줄넘기짱 작성일선생님이 일기를 보는것은 정말 바람직하지가 않아요.

데이브웨클님의 댓글
데이브웨클 작성일박종우님 논거가 참 적절해서... 써먹을께요^^ 헤헤;;

귐둥이님의 댓글
귐둥이 작성일근데 저 찬성팀이라서 찬성팀 정보를 얻어야 하는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