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Home>토론게시판>주제토론방 |
학교 학교 교육과정 유지 해야 하나?
페이지 정보

본문
반대합니다!
사교육 또한 학교 교육의 본 목적과 효과를 약화시키므로 막아야한다고 생각합니다.
학벌주의도 사교육이 어느 정도 그 영향을 부추겼다고 생각합니다. 초등학교에서의 교육은 어느 정도 창의력이 부가된 교육이라고 봅니다. 수업에서 토론시간도 많이 늘리고 있고 학생의 생각이나 의견을 묻는 수업을 많이 진행합니다.
수업 방식은 주입식이지만 교과서의 구성은 주입식이 아니라고 봅니다. 교과서의 구성을 꼼꼼히 보면 상당히 사고력을 중시한 다는 것을알 수 있습니다. 이론과 관련된 여러가지 사례들을 보여주고 그와 관련된 궁금증을 문제로 만들어 냄으로써 학생들이 생각해보도록 하는 것이지요. 수업 본래는 주입식이 강하지만 창의적 수업이 적다고 볼 수는 없습니다. 학교 교육 목표 중 하나가 '창의적 인재 양성'이기 때문에 교사들도 이를 따르고 있습니다.그리고 이에 맞추어 진도를 나가고 있지요. 배울 범위가 좀 많고 이론이 중심인 수업이고 기존의 사지선다형시험이기때문에 주입식이라는 말이 나오는 것 같습니다. 학교 교육을 꾸준히 그리고 성실하게 하다보면 창의력과 사고력이 증진될 것입니다. 다만 우리의 교육 여건이 아직은 선진국에 비해 부족하기때문에어느 정도의 불리함은 있는 것이지요. 창의력과 비판적 사고력을 증진시키는데에는 학교 교육에 쿤 문제는 없다고 봅니다.하지만 우리 학생들은 지나친 사교육으로 교과서와 학교 수업 중심으로 공부를 하지 않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그들의 창의력이 약화되는 것이지요.
인생은 다섯가지중 하나를 고르는게 아니라 자신이 길을 만드는 건데 그러다 보니 창의력이 부족하고 그래서 우리나라 사람들 머리는 유태인 저리가라 할 정도로 좋은데 외국에서 빛을 발하지 못하는 까닭도 거기에 있지 않을까 싶습니다.
임일균(oneinmen):
인재 독점이 아니라 인재 양성이 되어야 합니다.
기업이 학교에 실재로 필요한 지식과 그렇지 않은 지식에 대한 의견을 내는 것도 중요하구요.
결국 현장에서 쓰이는 지식을 배우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정부는 또 인문계에 너무 집중되어 있는 특수목적고등학교를
실업계에 적용하여 창업형 목적고 또는 대학교를 도입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학교에서 입시하느라 공부하고 기업 들어가서 기업에 필요한 지식 또 공부하고
정말 피곤한 일이고 낭비입니다. -[10/17]-
사교육 또한 학교 교육의 본 목적과 효과를 약화시키므로 막아야한다고 생각합니다.
학벌주의도 사교육이 어느 정도 그 영향을 부추겼다고 생각합니다. 초등학교에서의 교육은 어느 정도 창의력이 부가된 교육이라고 봅니다. 수업에서 토론시간도 많이 늘리고 있고 학생의 생각이나 의견을 묻는 수업을 많이 진행합니다.
수업 방식은 주입식이지만 교과서의 구성은 주입식이 아니라고 봅니다. 교과서의 구성을 꼼꼼히 보면 상당히 사고력을 중시한 다는 것을알 수 있습니다. 이론과 관련된 여러가지 사례들을 보여주고 그와 관련된 궁금증을 문제로 만들어 냄으로써 학생들이 생각해보도록 하는 것이지요. 수업 본래는 주입식이 강하지만 창의적 수업이 적다고 볼 수는 없습니다. 학교 교육 목표 중 하나가 '창의적 인재 양성'이기 때문에 교사들도 이를 따르고 있습니다.그리고 이에 맞추어 진도를 나가고 있지요. 배울 범위가 좀 많고 이론이 중심인 수업이고 기존의 사지선다형시험이기때문에 주입식이라는 말이 나오는 것 같습니다. 학교 교육을 꾸준히 그리고 성실하게 하다보면 창의력과 사고력이 증진될 것입니다. 다만 우리의 교육 여건이 아직은 선진국에 비해 부족하기때문에어느 정도의 불리함은 있는 것이지요. 창의력과 비판적 사고력을 증진시키는데에는 학교 교육에 쿤 문제는 없다고 봅니다.하지만 우리 학생들은 지나친 사교육으로 교과서와 학교 수업 중심으로 공부를 하지 않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그들의 창의력이 약화되는 것이지요.
인생은 다섯가지중 하나를 고르는게 아니라 자신이 길을 만드는 건데 그러다 보니 창의력이 부족하고 그래서 우리나라 사람들 머리는 유태인 저리가라 할 정도로 좋은데 외국에서 빛을 발하지 못하는 까닭도 거기에 있지 않을까 싶습니다.

인재 독점이 아니라 인재 양성이 되어야 합니다.
기업이 학교에 실재로 필요한 지식과 그렇지 않은 지식에 대한 의견을 내는 것도 중요하구요.
결국 현장에서 쓰이는 지식을 배우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정부는 또 인문계에 너무 집중되어 있는 특수목적고등학교를
실업계에 적용하여 창업형 목적고 또는 대학교를 도입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학교에서 입시하느라 공부하고 기업 들어가서 기업에 필요한 지식 또 공부하고
정말 피곤한 일이고 낭비입니다. -[10/17]-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