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Home>토론게시판>주제토론방 |
생활 포괄수가제 도입후 정부의 사후조치를 믿습니다~
페이지 정보

본문
입원기간 중 실시해야 할 검사․치료의 외래 전이, 업코딩 문제 등은 분명 포괄수가제에서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긴 합니다. 하지만 유럽의 여러 국가들이 모니터링 등 강력한 질 관리 체계를 구축하여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한 사례가 있고, 현재 우리나라 또한 포괄수가제 하에서 의료서비스 질 저하를 막기 위한 노력으로 청구건에 대한 모니터링 실시, 코딩점검위원회 운영 등 의료의 질 관리 체계 강화를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하고 있습니다.
지난 10년간의 포괄수가 운영에서 놓쳤던 것 중의 하나는 질 수준을 모니터링 할 수 있는 기본적인 자료를 상시적으로 모으지 못했다는 것입니다. 그러나 올해 7. 1일부터는 질점검표, 입원 시 진단명 등을 기입하고 행위별 내역을 질 수준을 모니터링하기 위해 받음으로써 위와 질 관리시스템의 기본체계를 구축했다고 볼 수 있겠습니다.
체계적인 질 관리를 통해 위의 문제점들만 해결된다면 포괄수가제는 장점이 훨씬 더 많은 제도입니다. 실제로 포괄수가제를 실시하는 유럽 국가들은 제도 도입 이후 의료기관 자원분배의 효율성 및 성과의 투명성 향상, 보건의료통계의 신뢰도 제고 등의 효과가 있었다고 보고하고 있습니다.
댓글목록

파프리님의 댓글
파프리 작성일
님과의 소통을위해 남겨봅니다
저는 포괄수가제 시행을 먼저 하고 나서, 그다음에 보완을 하면 안되고
포괄수가제에 대한 보완을 먼저 한 다음에 시행을 하는것이좋다고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