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Home>토론게시판>주제토론방 |
기타 문화는 선진문화에서 들어오는 것인가?
페이지 정보

본문
과연 문화는 선진문화에서 들어오는것일까요?
문화에 대한 여러분의 의견을 듣고 싶습니다.
문화 [文化, culture]란?
문화라는 용어는 라틴어의 cultura에서 파생한 culture를 번역한 말로
본래의 뜻은 경작(耕作)이나 재배(栽培)였는데,
나중에 교양·예술 등의 뜻을 가지게 되었다.
영국의 인류학자 E.B.타일러는 저서 《원시문화 Primitive Culture》(1871)에서
문화란 “지식·신앙·예술·도덕·법률·관습 등
인간이 사회의 구성원으로서 획득한 능력 또는 습관의 총체”라고 정의를 내렸다.
일반적으로 문화는
① 구미풍(歐美風)의 요소나 현대적 편리성(문화생활 ·문화주택 등),
② 높은 교양과 깊은 지식, 세련된 생활, 우아함, 예술풍의 요소(문화인 ·문화재 ·문화국가 등)
③ 인류의 가치적 소산으로서의 철학 ·종교 ·예술 ·과학 등을 가리킨다.
③의 경우는 독일의 철학이나 사회학에 전통적인 것이며,
인류의 물질적인 소산을 문명이라 부르고 문화와 문명을 구별하고 있다.
①과 ②의 경우는 문화가 없는 인류가 과거에 존재하였고,
현재도 존재하고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현재의 사회과학, 특히 문화인류학에서는 미개(未開)와 문명(文明:高文化)을 가리지 않고,
모든 인류가 문화를 소유하며 인류만이 문화를 가진다고 생각한다.
여기에서 문화란 인류에서만 볼 수 있는 사유(思惟), 행동의 양식(생활방식) 중에서
유전에 의하는 것이 아니라 학습에 의해서 소속하는 사회(협동을 학습한 사람들의 집단)로부터 습득하고
전달받은 것 전체를 포괄하는 총칭이다. 여러분은 문화가 선진문화로 부터 들어오는 것이라고 생각하십니까?
댓글목록

토돌이님의 댓글
토돌이 작성일
문화는 전이 되는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전이란 물이 위에서 아래로 흐르듯이 문화 또한
위에서 아래로, 높은데서 낮은 곳으로... 옮겨진다는 뜻입니다.
역사를 보더라도 우리가 먹는 것, 입는 것, 생각하는 것 등이
모두 선진문화의 영향을 받았던 것이었습니다.
문화가 정체되어 있는 것이라면...
그런 문화는 썩게 됩니다. 북한 등의 독재국가들을 보면 알 수 있습니다.
하지만, 우리나라의 개고기문화는 선진국에 수출되지 못했습니다.
이와같이 죽은문화 보편적으로 향유할 수 없는 문화는
국가가 나서서 발전시킬 필요가 없습니다.
한국이 개고기문화를 보호하는 바람에 지금 보신탕가게와 애견샵이
공존하는 이상한 문화가 만들어졌습니다.
국민들은 개를 두고도 먹는 개와 애견을 나눈지 오래입니다.

코알라님의 댓글
코알라 작성일
《Re》토돌이 님,
나라마다 그리고 각문화마다 각자의 특성이 있다고 생각합니다.
우리나라의 개고기 문화를 선진국에 수출하지 못했다고 꼭 그 문화를 죽었다고 표현할수만은 없다고 생각이 듭니다.
가령, 프랑스요리의 거위간요리? 원숭이뇌요리? 같은 경우, 우리나라나 일본 같은 곳에 수출하지 못했으나 죽은문화 라고 표현할수는 없다고 말씀드리는겁니다
보신탕가게와 애견샵이 공존하는 이상한 문화라고 칭하셨는데, 그렇다면 인도도 마찬가지로 이상한 문화가 됩니다
'신성시되는 소'와 '먹어도 되는 소'가 나눠져 있으니까요

bagdad님의 댓글
bagdad 작성일
개고기에 관한 것이라면 문화의 질적 차이라기보다 국가적 위상에 의한 것이 크겠지요? 중국인들이 거위간 요리를 먹을때와 프랑스인들이 거위간 요리를 먹는 것에 대한 태도는 분명 다르죠? 기본적으로 모든 음식문화는 그에 상응하는 가치를 지닌다고 보구요...
다만 고유의 가치를 지니는 문화뿐 아니라 분명 위계가 존재하는 문화도 있다고 생각합니다.
이는 분명 나아지는, 발전하는 흐름이 있다는 전제를 하고 있는데요. 가령 말을 타는 것보다는 자동차를 타는 것이 훨씬 빠르고 편하죠...(차사고, 환경오염 등의 문제를 접어둔다면)
가령 석기 도구보다는 철기 도구를 다루는 편이 여러모로 우수한 면이 많으며...
나아가 이러한 문화는 시대적 패러다임과 관련이 있다고 생각합니다.
세상을 보는 시각을 다르게 만든다는 생각입니다.
가령 차를 가진 사람은 말을 가진 사람과는 다른 거리, 시간 감각을 가지게 되고
철기 도구를 쓰는 사람은 석기보다는 다양한 획득물과 활동을 할 수 있겠죠
다음으로 이러한 문화도 경쟁을 통해서, 그리고 그 과정에 따라 형성되고 변화되는 패러다임, 사상 안에서, 도태되는 문화가 자연스레 생긴다고 봅니다. 하지만 때때로 이 과정안에서 과거에 대한 향수, 현실로부터의 도피에 의해서 과거 문화의 복권을 꿈꾸기도 하죠(2차 대전후의 파시즘, 옛날로 돌아가기 운동 등등)
결론적으로 이러한 큰 흐름 속에서 살아남는 문화들은 그 문화의 소유권자에게 힘과 세력을 형성해주며, 그러한 문화의 주력 세력을 오늘날의 선진국이라 이해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선진국의 문화는 타 문화를 잠식, 소멸시키는 힘이 어느정도 있다고 생각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