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Home>토론게시판>주제토론방 |
생활 연기가 적절한 이유
페이지 정보

본문
전작권 환수시기가 2012년 4월에서 2015년 12월로 연기되었다.
천안함 사건을 봐도 그렇고 북한의 위협이 끊이지 않고 발생하는 상황에서 전작권 전환 시기를 이 같이 넉넉히 잡은 것은 한반도의 어려운 정세가 고려되지 않았나 싶다.
사실 전작권 환수시기에 대해선 그동안 정말 말이 많았다.
하지만 현재 우리 군이 전작권을 단독으로 수행하려 한다면 북한 전체를 독자적으로 정밀 감시하는 능력은 물론 북한의 공격을 격퇴할 수 있는 충분한 능력이 갖춰져야 하는데 안타깝게도 현실은 아직 그에 미치지 못하고 있어 지금은 시기가 좀 이르다고 볼 수 있다.
더욱이 2012년은 김일성의 탄생 100주년의 해로 북한이 강성대국의 대개막을 선언한 해이다.
아마 북한은 우리가 전작권을 환수하기를 속으로 꾀나 바라고 있었을 것이다.
그도 그럴 것이 우리가 전작권을 환수하게 된다면 미국이란 강력한 보호막이 거둬지게 됨으로 그들의 바람대로 2012년 강성대국은 문제없다고 확신하고 있기 때문이다.
지금 우리는 한가로이 전작권 환수시기에 대한 논쟁을 펼치고 있을 때가 아니다.
현실을 직시하고 연기한 시간 내에 우리가 스스로 전작권을 충분히 수행해 낼 수 있는 능력을 갖춰나가는데 집중해야 할 것이다.
천안함 사건을 봐도 그렇고 북한의 위협이 끊이지 않고 발생하는 상황에서 전작권 전환 시기를 이 같이 넉넉히 잡은 것은 한반도의 어려운 정세가 고려되지 않았나 싶다.
사실 전작권 환수시기에 대해선 그동안 정말 말이 많았다.
하지만 현재 우리 군이 전작권을 단독으로 수행하려 한다면 북한 전체를 독자적으로 정밀 감시하는 능력은 물론 북한의 공격을 격퇴할 수 있는 충분한 능력이 갖춰져야 하는데 안타깝게도 현실은 아직 그에 미치지 못하고 있어 지금은 시기가 좀 이르다고 볼 수 있다.
더욱이 2012년은 김일성의 탄생 100주년의 해로 북한이 강성대국의 대개막을 선언한 해이다.
아마 북한은 우리가 전작권을 환수하기를 속으로 꾀나 바라고 있었을 것이다.
그도 그럴 것이 우리가 전작권을 환수하게 된다면 미국이란 강력한 보호막이 거둬지게 됨으로 그들의 바람대로 2012년 강성대국은 문제없다고 확신하고 있기 때문이다.
지금 우리는 한가로이 전작권 환수시기에 대한 논쟁을 펼치고 있을 때가 아니다.
현실을 직시하고 연기한 시간 내에 우리가 스스로 전작권을 충분히 수행해 낼 수 있는 능력을 갖춰나가는데 집중해야 할 것이다.
댓글목록

여성부폐지님의 댓글
여성부폐지 작성일
적절한이유라 하면
우리나라 출산율을 한번 봐봅시다 그러면 이해가 갈거예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