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Home>토론게시판>주제토론방 |
뉴스 국정홍보처 기자 송고실 패쇄
페이지 정보

본문

국정홍보처는 27일 서울 세종로 정부 중앙청사 기사송고실에 있던 출입기자들의 개인 물품과 책상.의자들을 송고실 밖으로 모두 들어냈다. 홍보처는 22일 정부 중앙청사 출입기자들에게 A4 용지 한 장짜리 e-메일 통지문을 보내 "26일 오후 6시까지 기존 부처별 기사송고실 안에 있는 개인 물품들을 모두 빼라"고 요구한 시한이 지나자마자 송고실 철거를 실행에 옮겼다.
홍보처 관계자는 "기자들의 짐을 임의로 빼낼 경우 법적인 문제가 발생할 소지가 있다는 판단에 따라 그동안 출입기자들이 자발적으로 짐을 가져갈 시간적 여유를 뒀던 것"이라며 "마냥 기다릴 수는 없다고 결론 내렸다"고 주장했다.
홍보처는 출입기자들의 개인 사물을 정부 중앙청사 10층의 기존 총리실 기사송고실에 모두 옮겨 놓았다. 홍보처 관계자는 "정부 중앙청사 본관 5층과 10층의 송고실 자리는 정부 부처 사무실로, 별관의 외교통상부 송고실 자리는 접견실로 사용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홍보처는 12일 정부 중앙청사 내 기사송고실을 모두 폐쇄한 뒤 기자들의 송고실 출입을 전면 통제했다. 15일에는 경찰과 방호요원까지 동원해 기자들의 출입을 막아 강한 반발을 불렀다. 홍보처는 다음달 1일부터는 출입기자들이 갖고 있는 정부 중앙청사 출입증도 모두 무효화해 기자들의 청사 출입을 원천 봉쇄할 방침이다.
기자실 폐쇄는 국민에 대한 선전포고"=열린우리당 최재성 대변인은 "대통령이 '취재 선진화 방안'에 대해 토론하자고 해놓고 금감원 등이 기자들의 사무실 출입을 제한한 것은 앞뒤가 맞지 않는다"고 말했다. 범여권의 대선 주자 중 한 명인 한명숙 전 총리도 "이번 조치를 하려면 공무원의 내실 있는 브리핑이 필수적인데 지금까지 부족했었다"며 "급격한 변화를 감수해야 할 언론계와 사전 조율이 없어 아쉽다"고 말했다. 통합신당의 양형일 대변인은 "언론을 물리적으로 제압하려는 정부의 처사는 권력에 의한 폭력이나 마찬가지"라고 했다.
지난 5월 정부는 ‘취재지원 선진화 방안’을 내놓았다. 취재지원 선진화 방안은 그 동안 폐쇄적으로 운영되어 오던 기자단의 운영 방식을 개선하여, 그 효율성과 투명성을 높이기 위한 것이다. 그러나 언론계는 이에 대해 국민의 알 권리를 내세우며 거세게 반발하고 있다. 우리는 이러한 정부와 언론의 대립 속에서, 언론의 문제점은 무엇인지를 검토해보고 정부의 정책 취지를 살펴보아야 한다.
정부입장>>>
과거의 기자실은 기존 주요 언론사들의 독점 아래 운영되었다. 그리하여 군소 언론매체의 활동을 제한하고, 획일화된 담합식 기사를 쏟아내었다. 정부는 이에 대해 2003년 브리핑 제도를 도입하여, 기자실을 폐쇄하고 기사 송고실을 운영하였다. 그러나 송고실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점차 기존의 기자실과 같이 비효율적인 방식으로 운영되었다. 그리하여 정부는 합동 브리핑실 운영을 통해 이와 같은 폐단을 방지하고, 모든 언론에 공평하게 정보 접근의 기회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그리하면 언론사간 경쟁은 불가피해질 것이고, 기자들은 보다 다양하고 심층적인 취재를 위해 발 빠르게 뛰어다녀야 할 것이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